본 연구는 도시 공간구조 분석에서 가중 ERAM 모델의 가중개념을 다각적으로 적용하여 그 유효성과 차이점을 분석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본 연구는 기존 가중 ERAM 모델들이 분석 대상지에 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17974
문성훈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친환경디자인연구팀) ; PIAO GENSONG (창원대학교) ; 최재필 (서울대학교)
2020
Korean
KCI우수등재,SCOPUS
학술저널
15-24(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도시 공간구조 분석에서 가중 ERAM 모델의 가중개념을 다각적으로 적용하여 그 유효성과 차이점을 분석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본 연구는 기존 가중 ERAM 모델들이 분석 대상지에 따...
본 연구는 도시 공간구조 분석에서 가중 ERAM 모델의 가중개념을 다각적으로 적용하여 그 유효성과 차이점을 분석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본 연구는 기존 가중 ERAM 모델들이 분석 대상지에 따라 분석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공간구조적 차이가 있는 도시지역에 대해 가중개념을 다각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ERAM 모델의 가중개념 적용의 결합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도시지역 공간구조에 따라 유기적인 자연발생적 도시 공간구조에서는 건물인구 가중 ERAM 모델, 유기적인 도시 공간구조를 가진 계획형 도시 공간구조에서는 건물인구·거리 다중 가중 ERAM 모델, 직교로 계획된 도시 공간구조에서는 건물인구·각도 다중 가중 ERAM 모델이 기타 가중 ERAM 모델에 비해 유동인구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에서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differences of the weighted concepts of the weighted ERAM models within urban spatial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xisting weighted ERAM models differed in analytical power depending on the a...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differences of the weighted concepts of the weighted ERAM models within urban spatial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xisting weighted ERAM models differed in analytical power depending on the analysis target. Thisstudy also applied the weighted concepts in various ways to urban areas with different spatial structur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has a variety of approaches to the combination of weighted concepts applied to the ERAM model. The organically-occurring urban spatialstructure was the most effective with the building population-weighted ERAM model. The planned urban spatial structure containing organicstructures was most effective with the building population-distance multi-weighted ERAM model. Finally, the orthogonally planned urbanspatial structure was the most effective with the building population-angle multi-weighted ERAM model. Each weighted concept showed arelatively higher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urban spatial structures than other weighted concepts in the analysis between ERAMresults and floating popul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재필, "확률과정에 기초한 ERAM 이론의 재해석 및 검증" 대한건축학회 20 (20): 115-122, 2004
2 최재필, "인접행렬의 고유벡터 성분비를 이용한 공간 분석" 대한건축학회 19 (19): 2003
3 Hillier, B.,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4 Kim, M., "The ERAM Model Based on Visibility of Space: Predication of Sapce Use Pattern in Large-Scale Multi-Complex Spac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5 Space Syntax Laboratory, "Space Syntax Software Manuals"
6 Seoul, "Seoul Land Readjustment White Paper" 1990
7 Min, H., "Improving Evacuation Measures in Multiple-user Building and Zoning the Concentrated Areas for Fire Safety Management"
8 문성훈, "GIS 데이터에 기반한 건물인구 가중치 적용 ERAM 모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5 (35): 47-54, 2019
9 Turner, B., "From isovists to visibility grahps : a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architectural space" 28 : 103-121, 2001
10 Turner, B., "From axial to road-centre lines: a new representation for space syntax and a new model of route choice for transport network analysis" 34 (34): 2007
1 최재필, "확률과정에 기초한 ERAM 이론의 재해석 및 검증" 대한건축학회 20 (20): 115-122, 2004
2 최재필, "인접행렬의 고유벡터 성분비를 이용한 공간 분석" 대한건축학회 19 (19): 2003
3 Hillier, B.,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4 Kim, M., "The ERAM Model Based on Visibility of Space: Predication of Sapce Use Pattern in Large-Scale Multi-Complex Spac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5 Space Syntax Laboratory, "Space Syntax Software Manuals"
6 Seoul, "Seoul Land Readjustment White Paper" 1990
7 Min, H., "Improving Evacuation Measures in Multiple-user Building and Zoning the Concentrated Areas for Fire Safety Management"
8 문성훈, "GIS 데이터에 기반한 건물인구 가중치 적용 ERAM 모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5 (35): 47-54, 2019
9 Turner, B., "From isovists to visibility grahps : a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architectural space" 28 : 103-121, 2001
10 Turner, B., "From axial to road-centre lines: a new representation for space syntax and a new model of route choice for transport network analysis" 34 (34): 2007
11 Dalton, N., "Franctional configurational analysis and a solution to the Manhattan problem" 2001
12 PIAO GENSONG, "ERAM 모델의 거리가중치 도입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0 (30): 119-126, 2014
13 PIAO GENSONG, "ERAM 모델에의 거리 및 각도 가중치 통합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2 (32): 33-40, 2016
14 Cho, H., "Angular-Weighted ERAM Model for Sapce Analy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15 Turner, B., "Angular analysis: a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space, Centre for Advanced Spatial Analysis" 2000
16 Turner, B., "Angular analysis"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30-31, 2001
17 Youn, E., "A Study on the Formation of Urban Space in Gangnam Area and the Urban Discourse in the 1960s" Hanyang University 2009
18 Korea Information Technology Agency, "2015Seoul Metropolitan Population Survey Report" 2015
델파이 조사에 기반한 육아가구 공동체주택 계획을 위한 패턴언어 추출 연구
국립서울대학교의 종합화와 캠퍼스 계획론의 도입, 1946-1975
온실가스 감축기술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축인정량 평가 DB 구축
경사지 노후 주거지역 리모델링 효과를 통한 시나리오 분석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1-03-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6-08-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5-10-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38 | 0.38 | 0.38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41 | 0.4 | 0.742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