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도입을 위한 선행 과제 탐색 = Exploring prerequisite for stabl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47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도입을 위한 학교 운영 체제와 학교 문화의 모습을 탐색하고, 선행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 후 고등학교 교장, 교사, 학생, 학부...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도입을 위한 학교 운영 체제와 학교 문화의 모습을 탐색하고, 선행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 후 고등학교 교장, 교사, 학생, 학부모가 참여하는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는 정권의 변화와 무관한 지속성과 일관성 있는 교육철학과 신념의 형성이 중요하고,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어야 한다. 둘째, 고교학점제와 대학입시제도의 연계가 필요하다. 즉 학생들의 진로와 연관된 과목을 이수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대학입시제도 개혁이 필요하다. 셋째, 안정적인 교원 수급이 중요하다. 고교학점제와 관련한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들의 공통적 요구사항 중의 하나가 바로 교사 수급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장기적 관점에서 교원수급 정책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고교학점제를 위한 인적, 물적, 제도적 차원의 교육인프라 구축이 긴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chool operating system and school culture for the stabl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SCS), and to suggest prior tasks.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in which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chool operating system and school culture for the stabl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SCS), and to suggest prior tasks.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in which the principal,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participated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for the HSCS to form an educational philosophy and belief that is consistent with continuity regardless of changes in government, and social consensus must be drawn. Second, it is critical to link the HSCS and the college entrance exam system.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so that students can complete courses related to their career path and enter the desired university. Third, a prerequisit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SCS is to secure a stable supply of teachers. Since one of the common requirements of HSCS research schools and leading schools is related to teacher supply and demand,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teacher supply and demand polic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Lastly,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educational infrastructure for the HSCS. Educational infrastructure includes human, materi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Ⅴ. 결론 및 함의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Ⅴ. 결론 및 함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현영, "호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남호주 Norwood High School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97-220, 2018

      2 대학저널, "핵심공약 ‘고교학점제’, 현장조사는 ‘들쑥날쑥’"

      3 김진숙, "학점제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요구 조사"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75-103, 2019

      4 임유나, "캐나다 온타리오 주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학점제 기반 교육과정 재구조화에 주는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77-406, 2019

      5 Morgan, D. L., "질적연구로서의 포커스 그룹" 군자출판사 2007

      6 이범, "영국의 고교학점제와 고교교육-대입시험의 구조" 133-138, 2017

      7 주영효,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을 적용한 학교 조직 변화 과정 분석: 질적 사례 연구" 안암교육학회 27 (27): 247-280, 2021

      8 김혜영,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6 (56): 245-277, 2018

      9 강현석, "교육과정 쟁점에 기반한 고교 학점제 가능성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25-633, 2018

      10 박균열,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32 (32): 87-113, 2019

      1 조현영, "호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남호주 Norwood High School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97-220, 2018

      2 대학저널, "핵심공약 ‘고교학점제’, 현장조사는 ‘들쑥날쑥’"

      3 김진숙, "학점제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요구 조사"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75-103, 2019

      4 임유나, "캐나다 온타리오 주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학점제 기반 교육과정 재구조화에 주는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77-406, 2019

      5 Morgan, D. L., "질적연구로서의 포커스 그룹" 군자출판사 2007

      6 이범, "영국의 고교학점제와 고교교육-대입시험의 구조" 133-138, 2017

      7 주영효,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을 적용한 학교 조직 변화 과정 분석: 질적 사례 연구" 안암교육학회 27 (27): 247-280, 2021

      8 김혜영,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6 (56): 245-277, 2018

      9 강현석, "교육과정 쟁점에 기반한 고교 학점제 가능성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25-633, 2018

      10 박균열,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32 (32): 87-113, 2019

      11 김대영, "고교학점제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 안암교육학회 25 (25): 1-27, 2019

      12 우옥희, "고교학점제를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기준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31 (31): 305-332, 2019

      13 교육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계획[안]"

      14 교육부,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

      15 김한솔, "고교학점제 정책 실행과정에서의 패러독스 현상 연구: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대학원 2021

      16 교육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안내서(연구자료 ORM 2020-22)"

      17 우원재, "고교학점제 성공적 실행 및 정착에 대한 선결조건, 외적환경 및 운영방법의 영향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11-330, 2019

      18 이상은, "고교학점제 선택과목 확대 가능성 탐색: 교사 전공별 담당교과 현황 및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49-73, 2019

      19 박균열, "고교학점제 도입의 쟁점과 과제 탐색" 한국교육학회 56 (56): 1-29, 2018

      20 이부하,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초․중등교육법의 법적 문제와 개정방향" 법학연구소 (84) : 77-104, 2019

      21 김정빈,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및 학생평가 재구조화방안"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2017

      22 김남은,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가정과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및 선택과목 체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21-637, 2021

      23 박균열,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운영체제 및 학교문화 혁신 방향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8

      24 안상진, "고교학점제 도입과 고교평가 혁신" 교육비평 (40) : 76-98, 2017

      25 이현,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비평 (41) : 77-144, 2018

      26 한국대학신문, "고교학점제 도입 빨라졌는데 교원수급은?"

      27 김영은, "고교학점제 교과 이수 기준에 관한 국외 사례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103-129, 2020

      28 김천홍, "고교 학점제의 학생평정 방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79-301, 2018

      29 홍후조, "고교 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99-724, 2018

      30 김란주, "‘고교학점제’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13-138, 2018

      31 Hennink, M.,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age 2020

      32 조선일보, "2022년 고교학점제 시행… 대학처럼 수강신청·학점 채우면 졸업"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6 1.068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