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ring the period of the Yuan intervention, some of the most rebellious acts against the Goryeo dynasty and the king included “ipseongchaekdong”, a movement to overturn the Goryeo dynasty and establish the Yuan’s provincial office in its place,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71940
2013
Korean
高麗 ; 원간섭기 ; 朝鮮 ; 列傳 ; 附元 ; 立省 책동 ; 德興君 ; 반역 ; Goryeo ; Joseon ; the period of the Yuan intervention ; a series of biographies ; Pro-Yuan ; Proposal to abolish the Goryeo state(ipseongchaekdong) ; Deokheung-gun ; revolt
KCI등재
학술저널
75-105(31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period of the Yuan intervention, some of the most rebellious acts against the Goryeo dynasty and the king included “ipseongchaekdong”, a movement to overturn the Goryeo dynasty and establish the Yuan’s provincial office in its place, ...
During the period of the Yuan intervention, some of the most rebellious acts against the Goryeo dynasty and the king included “ipseongchaekdong”, a movement to overturn the Goryeo dynasty and establish the Yuan’s provincial office in its place, and the forceful dethroning of the King Gongmin and the enthroning of Deokheung-gun in his place. However, the participants of the rebellious movement were included in the book of disloyal officers instead of treason. Later some of them including Cho Ikcheong were even recorded as the loyal officer of the King Gongmin. Also, the punishment for those who advocated the enthroning of Deokheunggun was rather meek. For example, Ki Sukryun and Moon Ikjeom recovered their official positions. Indeed there was no case of harshly punishing the Yuan-advocating officers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the fifth year of the King Gongmin, the Yuanadvocating groups were eliminated, but it only included Noh Chaek, Kwon Gyeom, Ki Cheol and his direct families. The descendents of Noh Chaek and Kwon Gyeom were merely exiled and some of them even restored official positions. Meanwhile, the book of treason in the History of Goryeo Dynasty shows that the Yuan-advocating movement was not among criteria to be listed in the book, nor did the Yuan-advocating act was seen as treacherou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은제, "??高麗史?? 편찬 후 고려에 대한 기억" 한국중세사학회 (23) : 61-89, 2007
2 鄭求福, "李齊賢의 歷史意識" 51 : 1981
3 金宗鎭, "李穀의 對元 意識" 1 : 1984
4 李楠福, "柳淸臣과 그 史料에 대하여 -高麗史世家紀事와 그 列傳의 一檢討-" 9 : 1984
5 邊太燮, "列傳의 分析, In <<高麗史>>의 硏究" 三英社 1982
6 高柄翊, "麗代 征東行省의 硏究(下)" 19 : 1962
7 高柄翊, "麗代 征東行省의 硏究(上)" 14 : 1961
8 이익주, "이색의 삶과 생각" 일조각 2013
9 채웅석, "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 한국역사연구회 (49) : 99-124, 2003
10 李範稷, "원 간섭기 立省論과 柳淸臣" 81 : 2002
1 신은제, "??高麗史?? 편찬 후 고려에 대한 기억" 한국중세사학회 (23) : 61-89, 2007
2 鄭求福, "李齊賢의 歷史意識" 51 : 1981
3 金宗鎭, "李穀의 對元 意識" 1 : 1984
4 李楠福, "柳淸臣과 그 史料에 대하여 -高麗史世家紀事와 그 列傳의 一檢討-" 9 : 1984
5 邊太燮, "列傳의 分析, In <<高麗史>>의 硏究" 三英社 1982
6 高柄翊, "麗代 征東行省의 硏究(下)" 19 : 1962
7 高柄翊, "麗代 征東行省의 硏究(上)" 14 : 1961
8 이익주, "이색의 삶과 생각" 일조각 2013
9 채웅석, "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 한국역사연구회 (49) : 99-124, 2003
10 李範稷, "원 간섭기 立省論과 柳淸臣" 81 : 2002
11 이강한, "공민왕 5년(1356) ‘反元改革’의 재검토" 대동문화연구원 (65) : 183-231, 2009
12 李貞信, "고려후기 對元관계 -입성책동과 상인-" 3 : 2005
13 이형우, "高麗末 新進士類의 정치적 역할―朝鮮 建國勢力의 정치?사회적 기반 재검토의 일환으로―" 고려사학회 12 : 9-306, 2002
14 白仁鎬, "高麗後期 附元勢力 硏究" 세종출판사 2003
15 "高麗墓誌銘集成"
16 "高麗史節要"
17 金光哲, "高麗史 姦臣列傳 所載人物에 대한 分析" 3 : 1981
18 "高麗史"
19 閔賢九, "高麗 恭愍王의 反元的 改革政治에 대한 一考察 -背景과 發端-" 68 : 1989
20 金塘澤, "高麗 忠肅王代의 瀋王 옹립 운동" 12 : 1993
21 金鐸敏, "譯註 唐律疏議 -名例編" 한국법제연구원 1994
22 "稼亭集"
23 "牧隱詩藁"
24 "東文選"
25 閔賢九, "新主(德興君)와 舊君(恭愍王)의 對決 -元의 國王廢立 획책에 대한 高麗의 軍事的 대응, In 高麗政治史論"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26 張東翼, "征東行省의 硏究" 67 : 1990
27 李命美, "奇皇后세력의 恭愍王 폐위시도와 高麗國王權 -奇三寶奴 元子책봉의 의미-" 206 : 2010
28 "太祖實錄"
29 "太宗實錄"
30 "動安居士集"
31 "元史"
32 金塘澤, "元 干涉期末 反元的 분위기와 高麗 政治史의 전개" 146 : 1995
33 "世宗實錄"
34 이정란, "『高麗史』 「辛禑傳」의 편찬방식과 자료적 성격" 고려사학회 (48) : 7-43, 2012
35 韓永愚, "<<高麗史>>와 <<高麗史節要>>의 비교, In 朝鮮前期史學史硏究" 서울大學校出版部 1981
36 姜聲媛, "<<高麗史>> 叛逆傳의 分析" 38 : 1990
37 李益柱, "14세기 전반 高麗・元關係와 政治勢力 동향 -忠肅王代의 瀋王擁立運動을 중심으로-" 9 : 200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2-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9-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2.254 | 0.21 |
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 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K-MOOC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한승훈꿈꾸는 조선(朝鮮)
고려대학교 강제훈한국 근현대문학 작가 열전(列傳)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김종훈, 이만영, 권보드래, 최호빈, 정재림, 김동희, 강은진, 김남규, 오연경, 양윤의한국 근현대문학 작가 열전(列傳)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김종훈, 이만영, 권보드래, 최호빈, 정재림, 김동희, 강은진, 김남규, 오연경, 양윤의Korean History
영진사이버대학교 이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