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인취업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 한국ㆍ미국ㆍ일본의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986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 Korean government is striving to provide the old with the opportunity to work, and as a result, various programs are suggested to the old people. However, current programs are likely to fail to succeed to provide the old with worthy opportunity to work.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provision of the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now it's time for us to suggest the sustainable direction by which the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The ideal solution is, to compare the current programs of our country with the foreign policies of providing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of the developed nations. The objectives of the policies of providing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of Korea, America, and Japan are all similar, and the old people in the countries are agonizing factors of the countries. So, the policies of providing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of the three nations will be compared in this study.
      The objectives of this dissertation are, to compare the programs of providing the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of America and Japan, to figure out what are important matters, and to suggest the ideal solution to achieve the way the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to develop the programs qualitatively. The difference of the circumstances may exist, but the phenomenon or the desire that the old people face is not so different, regardless of the country where the old people belong.
      Comparing the cases is needed, because it has the pragmatic aspect to find out the novel approach regarding the policy. The difference of time and place exist between the countries, and the countries try to review and improve the policy. So knowing how the other countries are doing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olicy and what effect they got as a result helps solving our policy.
      Regarding the range and method of the study, the comparable standards by which the policies of the programs can be compared were selected, and according to the standard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policies will be figured out. And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descriptively, based on the literatures which concern the policies of providing the old people with the working opportunity of Korea, America, and Japan. First, the approaching method of comparing the cases will be reviewed, and the need to compare the cases will be also figured out.
      Second, the theoretical review will be done to set the comparing variables. Third, the frame of analyzing the programs of Korea, America, and Japan will be suggested. Last, the status of the programs of the three countries will be analyz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ll be explored according to the comparing standards. And ultimately, the ideal plan to improve the program of providing the old with working opportunity of Korea will be suggested.
      The comparing standards are categorized by the three natures. First, the behavioral approach is the cooperating existence, the department in charge. Second, the institutional approach is important in the aspect of the related law and conveying system. Third, by the functional approach, how the assets and programs are prepared can be figured out. The three approaches have the complementary nature, and are necessary to compare the matters specifically. Regard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grams, the jobs that the old people can have are somewhat restricted, so it can be seen that the jobs are similar. The departments in charge consisted of central government, regional government, private enterprises, and the welfare institution for the old, so they can be seen as the similar existences.
      Regarding the differences, first, as the cooperating existence, the governmental body was centered in the program in Korea. However, in America, the private institutions were centered and in Japan, the self-help institution of the old people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ere centered, so there were differences. Second, as the conveying system, Korea have the strata-based system,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 Do, Sigungu, and the designated institutions. In Japan, the conveying system consisted of central governmen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elf-help institutions, regional communities, and regional government.
      In America, the conveying system consisted of the private institutions, mediating centers, and governments(federal, state, and regional governments). Third, regarding the related law, in Korea, the focus were, establishing the law that supports the old directly and indirectly and revising it. In Japan, the focus was, revising the law that concerns prolongation of the retiring age to help the old people work more, followed by the compromise with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America, the focus were the provision of working opportunity to the old, arranging the jobs, and mediating function, based on the prohibition against the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age.
      Fourth, regarding the preparation of the assets, the focuses of this dissertation are, what existence constitutes to the assets more, and the existence of the difference of the point of view toward the subsidy. In Korea, the assets which support the program of the provision of working opportunity to the old were provided by the government, but in Japan, although the assets were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e membership fee and the amount of the investment of the self-help institution of the old were the great portion of the assets. In America, the use of the state subsidy was restricted, and the assets were used mediating between the private institutions and the old, supervising, and evaluating.
      As a suggestion of the policies, first, the cooperating system between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private institutions should be reinforced. Seco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conveying system of hiring the old is important. Third, the regulation and law that concern employment of the old should be revised. And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old should be standardized, and it should be improved institutionally. Fourth, regarding the preparation of the assets that support the programs of providing the working opportunity to the old, the government should induce the private entities and enterprises to provide the fund, because the burden of assets can be reduced by the method, and the assets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Through this method of comparing the cases, the programs of providing the old people with the working opportunity of Korea, America, and Japan can be reviewed, and the ideal solution can be suggested, so this study is meaningful academically and pragmatically. Furthermore, comparing the policies of providing the old with the working opportunity helps us to have the comprehensive knowledge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related theories. The analyzation through comparing the cases is necessary to study the welfare policies, and now, the importance of it is well-recognized.
      번역하기

      Now, Korean government is striving to provide the old with the opportunity to work, and as a result, various programs are suggested to the old people. However, current programs are likely to fail to succeed to provide the old with worthy opportunity t...

      Now, Korean government is striving to provide the old with the opportunity to work, and as a result, various programs are suggested to the old people. However, current programs are likely to fail to succeed to provide the old with worthy opportunity to work.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provision of the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now it's time for us to suggest the sustainable direction by which the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The ideal solution is, to compare the current programs of our country with the foreign policies of providing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of the developed nations. The objectives of the policies of providing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of Korea, America, and Japan are all similar, and the old people in the countries are agonizing factors of the countries. So, the policies of providing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of the three nations will be compared in this study.
      The objectives of this dissertation are, to compare the programs of providing the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of America and Japan, to figure out what are important matters, and to suggest the ideal solution to achieve the way the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to develop the programs qualitatively. The difference of the circumstances may exist, but the phenomenon or the desire that the old people face is not so different, regardless of the country where the old people belong.
      Comparing the cases is needed, because it has the pragmatic aspect to find out the novel approach regarding the policy. The difference of time and place exist between the countries, and the countries try to review and improve the policy. So knowing how the other countries are doing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olicy and what effect they got as a result helps solving our policy.
      Regarding the range and method of the study, the comparable standards by which the policies of the programs can be compared were selected, and according to the standard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policies will be figured out. And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descriptively, based on the literatures which concern the policies of providing the old people with the working opportunity of Korea, America, and Japan. First, the approaching method of comparing the cases will be reviewed, and the need to compare the cases will be also figured out.
      Second, the theoretical review will be done to set the comparing variables. Third, the frame of analyzing the programs of Korea, America, and Japan will be suggested. Last, the status of the programs of the three countries will be analyz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ll be explored according to the comparing standards. And ultimately, the ideal plan to improve the program of providing the old with working opportunity of Korea will be suggested.
      The comparing standards are categorized by the three natures. First, the behavioral approach is the cooperating existence, the department in charge. Second, the institutional approach is important in the aspect of the related law and conveying system. Third, by the functional approach, how the assets and programs are prepared can be figured out. The three approaches have the complementary nature, and are necessary to compare the matters specifically. Regard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grams, the jobs that the old people can have are somewhat restricted, so it can be seen that the jobs are similar. The departments in charge consisted of central government, regional government, private enterprises, and the welfare institution for the old, so they can be seen as the similar existences.
      Regarding the differences, first, as the cooperating existence, the governmental body was centered in the program in Korea. However, in America, the private institutions were centered and in Japan, the self-help institution of the old people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ere centered, so there were differences. Second, as the conveying system, Korea have the strata-based system,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 Do, Sigungu, and the designated institutions. In Japan, the conveying system consisted of central governmen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elf-help institutions, regional communities, and regional government.
      In America, the conveying system consisted of the private institutions, mediating centers, and governments(federal, state, and regional governments). Third, regarding the related law, in Korea, the focus were, establishing the law that supports the old directly and indirectly and revising it. In Japan, the focus was, revising the law that concerns prolongation of the retiring age to help the old people work more, followed by the compromise with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America, the focus were the provision of working opportunity to the old, arranging the jobs, and mediating function, based on the prohibition against the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age.
      Fourth, regarding the preparation of the assets, the focuses of this dissertation are, what existence constitutes to the assets more, and the existence of the difference of the point of view toward the subsidy. In Korea, the assets which support the program of the provision of working opportunity to the old were provided by the government, but in Japan, although the assets were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e membership fee and the amount of the investment of the self-help institution of the old were the great portion of the assets. In America, the use of the state subsidy was restricted, and the assets were used mediating between the private institutions and the old, supervising, and evaluating.
      As a suggestion of the policies, first, the cooperating system between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private institutions should be reinforced. Seco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conveying system of hiring the old is important. Third, the regulation and law that concern employment of the old should be revised. And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old should be standardized, and it should be improved institutionally. Fourth, regarding the preparation of the assets that support the programs of providing the working opportunity to the old, the government should induce the private entities and enterprises to provide the fund, because the burden of assets can be reduced by the method, and the assets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Through this method of comparing the cases, the programs of providing the old people with the working opportunity of Korea, America, and Japan can be reviewed, and the ideal solution can be suggested, so this study is meaningful academically and pragmatically. Furthermore, comparing the policies of providing the old with the working opportunity helps us to have the comprehensive knowledge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related theories. The analyzation through comparing the cases is necessary to study the welfare policies, and now, the importance of it is well-recogniz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한국 정부는 노인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많은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만으로 미래 노인일자리사업의 성공을 이루는 것은 아니다. 앞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이 발전하려면 지속가능한 방향을 제시할 시점이 되었다. 이를 위해 선진국의 노인고용정책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실시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다. 한국・미국・일본은 노인고용정책의 목표가 유사하고 노인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이 논문은 한국 노인일자리사업의 질적 성장을 목표로 미국과 일본을 비교 연구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환경의 차이가 있더라도, 어느 국가나 노인이 겪는 현상이나 욕구는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비교연구를 하는 이유는 정책에 대한 해결방안을 새롭게 찾을 수 있는 실용적 측면도 지니기 때문이다. 국가마다 정책의 시간적, 공간적 차이가 있으며 정책을 검토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한다. 다른 국가가 정책 문제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으며, 어떤 효과를 얻는지에 관한 지식과 정보는 정책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노인일자리사업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선정하고, 기준에 따라 정책의 이질성과 동질성을 도출했다. 한국, 미국, 일본의 노인고용정책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하는 서술적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첫째, 비교연구의 접근방법을 검토하고, 비교연구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비교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이론적 검토를 한다. 셋째, 한국․미국․일본의 노인일자리사업을 비교하는 분석틀을 제시했다. 이어서 세 국가의 노인일자리사업 현황을 분석하고, 분석기준에 맞게 동질성과 이질성을 탐색했다. 이로서 한국의 노인고용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비교 기준은 세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 행태적 접근은 협력 주체, 담당 부처로 볼 수 있다. 둘째, 제도적 접근은 근거 법률, 전달 체계가 중요한 기준이다. 셋째, 기능적 접근은 재정 확보, 프로그램을 알아보았다. 세 가지로 나누는 접근 방식은 상호 보완적이며, 구체적으로 비교를 하는데 필요하다.
      분석 결과, 동질성에서 프로그램은 노인이 할 수 있는 직종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동질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담당부서도 중앙, 지방, 민간 기업, 노인복지단체 등으로 비슷했다.
      이질성은 첫째, 협력주체에서 한국은 거의 정부 주도 중심의 주체가 중심이며, 미국은 민간단체 중심, 일본은 노인의 자조 조직과 중소기업 중심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달체계에서 한국은 중앙, 도, 시군구, 지정단체와 같이 계층적 형태였다. 일본은 중앙, 중소기업, 민간 자조 조직, 지역사회 단체, 지방 정부로 구성되었고, 미국은 민간단체, 중개 센터, 정부(연방, 주, 지방)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근거법률에서 한국은 정부가 노인을 직접․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법률을 제정하고 개정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일본은 노인이 일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과 협의한 다음에 정년 연장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며, 미국은 노인 차별 금지를 바탕으로 노인 일자리 기회 제공, 취업 알선, 중개 기능이 중심이었다. 넷째, 재정확보는 어느 주체가 재정 부분에 더 기여하는지, 보조금에 대한 관점의 차이가 다르다는 것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은 노인고용관련 재정은 정부에서 지원했으며, 일본은 정부가 지원하지만 노인의 자조 조직 구성에 따른 회비나 출자금 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미국은 정부 보조금을 되도록 사용하지 않고, 민간단체와 노인이 연결되도록 하는 중개 비용, 감독과 평가 기능에 재정을 활용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정책 제언은 첫째, 정부․기업․민간단체의 협력체제 강화가 필수적이다. 둘째, 노인고용전달체계의 일원화도 중요하다. 셋째, 노인고용제도와 법률의 개편도 이루어져야 한다. 노인에 대한 개념을 통합하고, 제도적인 보완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노인일자리사업의 재정 확보는 정부가 민간이나 기업의 협력을 유도해 재정 부담을 덜고, 더 효율적으로 재정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처럼 비교연구방법을 통해서 한국, 미국, 일본의 노인일자리사업을 검토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학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 노인고용정책을 비교하는 것은 행정학 지식 축적과 이론 정립도 가능하다. 이렇게 비교연구는 복지정책을 연구하는데 필요하며, 오늘날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번역하기

      현재 한국 정부는 노인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많은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만으로 미래 노인일자리사업의 성공...

      현재 한국 정부는 노인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많은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만으로 미래 노인일자리사업의 성공을 이루는 것은 아니다. 앞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이 발전하려면 지속가능한 방향을 제시할 시점이 되었다. 이를 위해 선진국의 노인고용정책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실시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다. 한국・미국・일본은 노인고용정책의 목표가 유사하고 노인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이 논문은 한국 노인일자리사업의 질적 성장을 목표로 미국과 일본을 비교 연구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환경의 차이가 있더라도, 어느 국가나 노인이 겪는 현상이나 욕구는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비교연구를 하는 이유는 정책에 대한 해결방안을 새롭게 찾을 수 있는 실용적 측면도 지니기 때문이다. 국가마다 정책의 시간적, 공간적 차이가 있으며 정책을 검토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한다. 다른 국가가 정책 문제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으며, 어떤 효과를 얻는지에 관한 지식과 정보는 정책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노인일자리사업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선정하고, 기준에 따라 정책의 이질성과 동질성을 도출했다. 한국, 미국, 일본의 노인고용정책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하는 서술적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첫째, 비교연구의 접근방법을 검토하고, 비교연구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비교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이론적 검토를 한다. 셋째, 한국․미국․일본의 노인일자리사업을 비교하는 분석틀을 제시했다. 이어서 세 국가의 노인일자리사업 현황을 분석하고, 분석기준에 맞게 동질성과 이질성을 탐색했다. 이로서 한국의 노인고용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비교 기준은 세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 행태적 접근은 협력 주체, 담당 부처로 볼 수 있다. 둘째, 제도적 접근은 근거 법률, 전달 체계가 중요한 기준이다. 셋째, 기능적 접근은 재정 확보, 프로그램을 알아보았다. 세 가지로 나누는 접근 방식은 상호 보완적이며, 구체적으로 비교를 하는데 필요하다.
      분석 결과, 동질성에서 프로그램은 노인이 할 수 있는 직종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동질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담당부서도 중앙, 지방, 민간 기업, 노인복지단체 등으로 비슷했다.
      이질성은 첫째, 협력주체에서 한국은 거의 정부 주도 중심의 주체가 중심이며, 미국은 민간단체 중심, 일본은 노인의 자조 조직과 중소기업 중심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달체계에서 한국은 중앙, 도, 시군구, 지정단체와 같이 계층적 형태였다. 일본은 중앙, 중소기업, 민간 자조 조직, 지역사회 단체, 지방 정부로 구성되었고, 미국은 민간단체, 중개 센터, 정부(연방, 주, 지방)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근거법률에서 한국은 정부가 노인을 직접․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법률을 제정하고 개정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일본은 노인이 일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과 협의한 다음에 정년 연장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며, 미국은 노인 차별 금지를 바탕으로 노인 일자리 기회 제공, 취업 알선, 중개 기능이 중심이었다. 넷째, 재정확보는 어느 주체가 재정 부분에 더 기여하는지, 보조금에 대한 관점의 차이가 다르다는 것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은 노인고용관련 재정은 정부에서 지원했으며, 일본은 정부가 지원하지만 노인의 자조 조직 구성에 따른 회비나 출자금 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미국은 정부 보조금을 되도록 사용하지 않고, 민간단체와 노인이 연결되도록 하는 중개 비용, 감독과 평가 기능에 재정을 활용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정책 제언은 첫째, 정부․기업․민간단체의 협력체제 강화가 필수적이다. 둘째, 노인고용전달체계의 일원화도 중요하다. 셋째, 노인고용제도와 법률의 개편도 이루어져야 한다. 노인에 대한 개념을 통합하고, 제도적인 보완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노인일자리사업의 재정 확보는 정부가 민간이나 기업의 협력을 유도해 재정 부담을 덜고, 더 효율적으로 재정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처럼 비교연구방법을 통해서 한국, 미국, 일본의 노인일자리사업을 검토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학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 노인고용정책을 비교하는 것은 행정학 지식 축적과 이론 정립도 가능하다. 이렇게 비교연구는 복지정책을 연구하는데 필요하며, 오늘날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 Ⅱ. 비교연구의 이론적 고찰 6
      • 1. 비교연구의 접근방법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 Ⅱ. 비교연구의 이론적 고찰 6
      • 1. 비교연구의 접근방법 6
      • (1) 비교연구의 특징 6
      • (2) 비교연구의 방법 9
      • 2. 노인고용정책 비교변수의 선정 13
      • (1) 노인고용정책의 특징 14
      • (2) 비교변수의 선정 17
      • 3. 선행연구와 비교분석의 틀 21
      • (1) 선행연구 21
      • (2) 비교분석의 틀 27
      • Ⅲ. 국가별 노인고용정책 현황 30
      • 1. 한국 31
      • 2. 미국 41
      • 3. 일본 50
      • Ⅳ. 비교 분석 결과와 정책 제언 60
      • 1. 비교 분석 결과 60
      • (1) 동질성 61
      • (2) 이질성 63
      • 2. 노인일자리사업의 정책 제언 69
      • (1) 정부기업민간단체의 협력체제 강화 70
      • (2) 노인고용전달체계의 일원화 74
      • (3) 노인고용제도와 법률의 개편 76
      • (4) 노인일자리사업의 재정 확보 80
      • Ⅴ. 결론 84
      • 참고문헌 87
      • ABSTRACT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