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퇴계 인본주의와 노비관(奴婢觀)의 상치성(相馳性) = A Study on the Dissimilarity of Toegye’s Humanism and His Viewpoint of the Nob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20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퇴계의 인본주의와 노비관의 상치성(相馳性)에 관해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인본주의의 핵심은 인간의 존엄성 추구와 인간 중심의 세계관에 있다. 『퇴계전서』를 검토해보면 그는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였고, 인간중심의 세계관을 주장한 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퇴계는 인본주의 사상가였음에 틀림이 없다. 이 글에서 연구자는 『퇴계전서』속의 여러 자료를 토대로 퇴계가 과연 노비를 ‘독립된 인격적 주체성을 가진 존재’로 보았는가를 추적함으로써, 그의 인본주의가 노비에게는 확장되지 않았음을 논증하여 그의 인본주의와 노비관이 상호 배치됨을 논구하려 하였다. 연구자는 노비를 보는 네 가지 시각 -①‘충(忠) 이념의 전형’으로서의 노비, ②‘작고 연약한 대상’으로서의 노비, ③‘독립된 인격적 주체’로서의 노비, ④‘희생하는 예속인’으로서의 노비- 을 토대로, 각각의 시각 속에 나타난 퇴계의 노비관을 다루었다.
      퇴계는 조선 최고의 성리학자이자 교육자이기는 했으나, 당시 사회의 제도적 문제점을 비판하고 그 틀을 깨려고 한 개혁론자는 아니었다. 그는 ‘독립된 인격적 주체성을 가질 수 없는 존재’로서의 노비라는 당시의 시각을 교정하기보다는, 오랜기간 고착화된 노비제도를 수용해온 인물이었다. 그는 노비를 연민의 대상으로는 이해하고 있었으나, 그에게 노비는 본질적으로 ‘몹쓸’ 대역죄인의 후손이자 ‘비인격체’인, ‘한 울타리’의 안과 밖에서 생구로서 살아가는 마소와 같은 등급의 존재였을 뿐이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퇴계의 인본주의와 노비관의 상치성(相馳性)에 관해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인본주의의 핵심은 인간의 존엄성 추구와 인간 중심의 세계관에 있다. 『퇴계전서』를 검토해보면 그...

      이 글은 퇴계의 인본주의와 노비관의 상치성(相馳性)에 관해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인본주의의 핵심은 인간의 존엄성 추구와 인간 중심의 세계관에 있다. 『퇴계전서』를 검토해보면 그는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였고, 인간중심의 세계관을 주장한 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퇴계는 인본주의 사상가였음에 틀림이 없다. 이 글에서 연구자는 『퇴계전서』속의 여러 자료를 토대로 퇴계가 과연 노비를 ‘독립된 인격적 주체성을 가진 존재’로 보았는가를 추적함으로써, 그의 인본주의가 노비에게는 확장되지 않았음을 논증하여 그의 인본주의와 노비관이 상호 배치됨을 논구하려 하였다. 연구자는 노비를 보는 네 가지 시각 -①‘충(忠) 이념의 전형’으로서의 노비, ②‘작고 연약한 대상’으로서의 노비, ③‘독립된 인격적 주체’로서의 노비, ④‘희생하는 예속인’으로서의 노비- 을 토대로, 각각의 시각 속에 나타난 퇴계의 노비관을 다루었다.
      퇴계는 조선 최고의 성리학자이자 교육자이기는 했으나, 당시 사회의 제도적 문제점을 비판하고 그 틀을 깨려고 한 개혁론자는 아니었다. 그는 ‘독립된 인격적 주체성을 가질 수 없는 존재’로서의 노비라는 당시의 시각을 교정하기보다는, 오랜기간 고착화된 노비제도를 수용해온 인물이었다. 그는 노비를 연민의 대상으로는 이해하고 있었으나, 그에게 노비는 본질적으로 ‘몹쓸’ 대역죄인의 후손이자 ‘비인격체’인, ‘한 울타리’의 안과 밖에서 생구로서 살아가는 마소와 같은 등급의 존재였을 뿐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dissimilarity of Toegye"s humanism and his viewpoint of the Nobi(奴婢, traditional slaves in Joseon Dynasty). The core of humanism lies in the pursuit of human dignity and the human-centered world view. In Toegyejeonseo (退溪全書), Toegye emphasizes human dignity and suggests a human-centered world view, which implies that he must have been a humanistic thinker. In this study, I tracked whether Toegye saw the Nobi as ‘having an independent personality identity’ based on various data in Toegyejeonseo . I argued that his humanism did not extend to the Nobi and attempted to prove that his humanism and points of view on the Nobi were in conflict. An existing research has analyzed Toegye’s points of view regarding the four perspectives of the Nobi: 1)as a model of ‘Loyalty(忠)’ ideology, 2)as a small and fragile subject, 3)as an independent personality subject, and 4)as a sacrificial. Based on the above four perspectives of the Nobi, I have dealt with Toegye"s points of view on Nobi in each perspective.
      Although Toegye was one of Joseon’s greatest scholars and educators, he was not a reformist who criticized existing institutional problems and tried to break their framework. He accepted the long-established stance of the Nobi system, rather than changing his viewpoint of the Nobi as ‘beings that cannot have independent personality subjectivity’. He regarded the Nobi with compassion, but it was only the same grade like horse and cattle which lives as a living creatures both inside and outside of a ‘same fence’. Toegye viewed the Nobi as descendants of the "wicked" treasoners and "non-personalitie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dissimilarity of Toegye"s humanism and his viewpoint of the Nobi(奴婢, traditional slaves in Joseon Dynasty). The core of humanism lies in the pursuit of human dignity and the human-centered world view. In Toegyejeonseo (退...

      This study analyzes the dissimilarity of Toegye"s humanism and his viewpoint of the Nobi(奴婢, traditional slaves in Joseon Dynasty). The core of humanism lies in the pursuit of human dignity and the human-centered world view. In Toegyejeonseo (退溪全書), Toegye emphasizes human dignity and suggests a human-centered world view, which implies that he must have been a humanistic thinker. In this study, I tracked whether Toegye saw the Nobi as ‘having an independent personality identity’ based on various data in Toegyejeonseo . I argued that his humanism did not extend to the Nobi and attempted to prove that his humanism and points of view on the Nobi were in conflict. An existing research has analyzed Toegye’s points of view regarding the four perspectives of the Nobi: 1)as a model of ‘Loyalty(忠)’ ideology, 2)as a small and fragile subject, 3)as an independent personality subject, and 4)as a sacrificial. Based on the above four perspectives of the Nobi, I have dealt with Toegye"s points of view on Nobi in each perspective.
      Although Toegye was one of Joseon’s greatest scholars and educators, he was not a reformist who criticized existing institutional problems and tried to break their framework. He accepted the long-established stance of the Nobi system, rather than changing his viewpoint of the Nobi as ‘beings that cannot have independent personality subjectivity’. He regarded the Nobi with compassion, but it was only the same grade like horse and cattle which lives as a living creatures both inside and outside of a ‘same fence’. Toegye viewed the Nobi as descendants of the "wicked" treasoners and "non-persona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퇴계의 인본주의
      • Ⅲ. 노비를 보는 네 가지 시각
      • Ⅳ. 퇴계의 노비관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퇴계의 인본주의
      • Ⅲ. 노비를 보는 네 가지 시각
      • Ⅳ. 퇴계의 노비관
      • Ⅴ. 퇴계 인본주의와 노비관의 상치성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건태, "李滉의 家産經營과 治産理財" 퇴계학연구원 (130) : 159-204, 2011

      2 "한국농어민신문 2018년 4월 3일자 3면기사"

      3 네이버 국어사전, "표준대국어사전"

      4 "태종실록"

      5 李成妊, "조선중기 吳希文家의 商行爲와 그 성격" 조선시대사학회 (8) : 1999

      6 세종&황희 리더십연구소, "조선시대물가"

      7 김종성, "조선노비들, 천하지만 특별한" 역사의 아침 2013

      8 이우연, "조선 후기 노비 가격의 구조와 수준, 1678-1889" 한국경제학회 58 (58): 99-132, 2010

      9 池承鍾, "조선 전기의 主奴 관계와 私奴婢 성격" 한국사회사학회 (3) : 1986

      10 최병조, "조선 전기 奴婢와 主人 관계에 대한 지배층의 관념: - 成宗 8년(1477) 主人 謀害 사건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53 (53): 215-265, 2012

      1 김건태, "李滉의 家産經營과 治産理財" 퇴계학연구원 (130) : 159-204, 2011

      2 "한국농어민신문 2018년 4월 3일자 3면기사"

      3 네이버 국어사전, "표준대국어사전"

      4 "태종실록"

      5 李成妊, "조선중기 吳希文家의 商行爲와 그 성격" 조선시대사학회 (8) : 1999

      6 세종&황희 리더십연구소, "조선시대물가"

      7 김종성, "조선노비들, 천하지만 특별한" 역사의 아침 2013

      8 이우연, "조선 후기 노비 가격의 구조와 수준, 1678-1889" 한국경제학회 58 (58): 99-132, 2010

      9 池承鍾, "조선 전기의 主奴 관계와 私奴婢 성격" 한국사회사학회 (3) : 1986

      10 최병조, "조선 전기 奴婢와 主人 관계에 대한 지배층의 관념: - 成宗 8년(1477) 主人 謀害 사건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53 (53): 215-265, 2012

      11 池承鍾, "조선 전기 主奴 관계와 노비 통제 - 本主에 의한 통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43) : 1994

      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외거노비"

      13 "순자"

      14 "세종실록"

      15 "세조실록"

      16 "성종실록"

      17 "서경"

      18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19 "논어"

      20 김수진, "노비를 보는 몇 개의 시각" 민족문학사학회 (53) : 224-254, 2013

      21 "국역퇴계전서"

      22 네이버 지식백과, "교육학용어사전"

      23 韓容根, "高麗律" 書景文化社 1999

      24 尹絲淳, "退溪의 人間觀" 퇴계학부산연구원 1 : 1995

      25 한우근, "譯註經國大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26 김재호, "自賣奴婢와 인간에 대한 재산권, 1750-1905" 경제사학회 38 : 3-39, 2005

      27 "經國大典"

      28 安承俊, "朝鮮時代 私奴婢 推刷와 그 實際 - 榮州 仁同張氏所藏 古文書를 中心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8 : 1996

      29 金容晩, "朝鮮時代 士族의 奴婢所有權 硏究 - 그 性格과 이동형태를 중심으로 -" 대구사학회 35 : 1988

      30 延正悅, "朝鮮初期 奴婢의 經濟的 技能과 刑律" 한국노동경제학회 6 : 1983

      31 "大明律直解"

      32 文丞益, "主體理論-序文-" 亞人閣 1970

      33 林英正, "14 ․ 5世紀의 奴婢制度"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9 :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KCI등재후보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정치사상사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9-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1 1.83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