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주택 내 안전사고 발생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afety-Related Accidents in Elderly People’s Houses: A Case in Jeollabouk-do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5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이 주택 내에서 경험하는 안전사고의 빈도와 사고 유형, 사고 장소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택 개조 및 보수에 관한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방법은 노인의 주택 내 안전사고 빈도와 유형, 주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개조 및 보수해야 할 주택 구조와 시설을 파악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 대상자 234명 중 최근 1년간 안전사고를 경험한 사람은 총 87명(37.2%), 중복 경험을 포함하여 총 129회의 안전사고를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중 사고 유형은 미끄러짐에 의한 손상이 60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고 장소는 욕실이 41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미끄럼 방지 바닥, 안전 손잡이, 적절한 조명 설치 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실제 노인이 경험한 주택 내 안전사고의 실태와 이를 예방하기 위한 주택 개선 및 보수 사항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이를 제시하였다. 추후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노인 주택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택 개발 및 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이 주택 내에서 경험하는 안전사고의 빈도와 사고 유형, 사고 장소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택 개조 및 보수에 관한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이 주택 내에서 경험하는 안전사고의 빈도와 사고 유형, 사고 장소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택 개조 및 보수에 관한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방법은 노인의 주택 내 안전사고 빈도와 유형, 주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개조 및 보수해야 할 주택 구조와 시설을 파악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 대상자 234명 중 최근 1년간 안전사고를 경험한 사람은 총 87명(37.2%), 중복 경험을 포함하여 총 129회의 안전사고를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중 사고 유형은 미끄러짐에 의한 손상이 60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고 장소는 욕실이 41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미끄럼 방지 바닥, 안전 손잡이, 적절한 조명 설치 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실제 노인이 경험한 주택 내 안전사고의 실태와 이를 예방하기 위한 주택 개선 및 보수 사항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이를 제시하였다. 추후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노인 주택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택 개발 및 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s safety-related accidents that occur in elderly people’s homes in terms of their frequency, type, and place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housing renovations and repairs that can address these problems. Methods : Regarding the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s houses and the frequency and types of safety-related accidents that occur in them.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understand which housing structures and facilities need to be renovated and repaired for the prevention of safety-related acci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 Among the 234researchsubjects, 87 (37.2%) had experienced a safety-related accident during the past year in their homes. The survey allowed for multiple responses from the same respondent, which resulted in the reporting of 129 accidents. Injury by slipping was the most frequent accident type (60 cases), and the bathroom was the most frequent place for accidents (41 cases). It was determined that, for the prevention of safety-related accidents, the installation of non-slip flooring, safety door knobs, and appropriate lighting were needed. Conclusion : This study examined safety-related accidents that elderly people experience at home and suggested preventive measures, including home improvement measures and renovations. In the future, this study’s results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nd planning houses with features that prevent elderly people’s in-home accidents.
      번역하기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s safety-related accidents that occur in elderly people’s homes in terms of their frequency, type, and place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housing renovations and repairs that can address these problems. Methods : Regar...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s safety-related accidents that occur in elderly people’s homes in terms of their frequency, type, and place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housing renovations and repairs that can address these problems. Methods : Regarding the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s houses and the frequency and types of safety-related accidents that occur in them.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understand which housing structures and facilities need to be renovated and repaired for the prevention of safety-related acci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 Among the 234researchsubjects, 87 (37.2%) had experienced a safety-related accident during the past year in their homes. The survey allowed for multiple responses from the same respondent, which resulted in the reporting of 129 accidents. Injury by slipping was the most frequent accident type (60 cases), and the bathroom was the most frequent place for accidents (41 cases). It was determined that, for the prevention of safety-related accidents, the installation of non-slip flooring, safety door knobs, and appropriate lighting were needed. Conclusion : This study examined safety-related accidents that elderly people experience at home and suggested preventive measures, including home improvement measures and renovations. In the future, this study’s results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nd planning houses with features that prevent elderly people’s in-home acci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원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노인복지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0 (10): 31-39, 2018

      2 임광빈,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67-479, 2018

      3 문희정, "재가노인 단독세대의 주택내 안전사고 실태 및 실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5 (15): 75-84, 2004

      4 김진원, "신체적ㆍ정신적 장애에 대응한 농촌지역 노인주거의 개조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10 (10): 17-26, 2008

      5 하해화, "단독주택 거주 노인의 주택개조 요구에 관한 연구-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41-151, 2012

      6 이윤재, "농촌지역의 노인 주거 공용 공간 실태조사 연구-현관과 거실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2 (12): 13-30, 2013

      7 정금호, "농촌 주거취약계층 주택 개보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15 (15): 17-24, 2013

      8 강혜경, "농촌 고령자의 안전위협에 관한 주거실태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 25 (25): 21-32, 2014

      9 안혁, "노인주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디자인 체크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583-597, 2017

      10 곽인숙, "노인의 주택내 사고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55-66, 2009

      1 이원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노인복지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0 (10): 31-39, 2018

      2 임광빈,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67-479, 2018

      3 문희정, "재가노인 단독세대의 주택내 안전사고 실태 및 실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5 (15): 75-84, 2004

      4 김진원, "신체적ㆍ정신적 장애에 대응한 농촌지역 노인주거의 개조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10 (10): 17-26, 2008

      5 하해화, "단독주택 거주 노인의 주택개조 요구에 관한 연구-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41-151, 2012

      6 이윤재, "농촌지역의 노인 주거 공용 공간 실태조사 연구-현관과 거실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2 (12): 13-30, 2013

      7 정금호, "농촌 주거취약계층 주택 개보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15 (15): 17-24, 2013

      8 강혜경, "농촌 고령자의 안전위협에 관한 주거실태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 25 (25): 21-32, 2014

      9 안혁, "노인주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디자인 체크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583-597, 2017

      10 곽인숙, "노인의 주택내 사고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55-66, 2009

      11 장신재,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사회서비스 이용, 우울, 자존감을 중심으로-"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0 (10): 65-74, 2018

      12 김주홍, "노인의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주거안전 영향 요인도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 (13): 341-351, 2019

      13 고영아, "노인 안심주택에 관한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7 (37): 101-123, 2019

      14 유인영, "노인 단독가구의 낙상과 주거환경 문제" 한국생활환경학회 12 (12): 199-205, 2005

      15 오찬옥, "그룹 홈과 공유주택 개념을 중심으로 본 Aging in Place를위한 노인주거대안 개발을 위한 연구- 부산광역시 단독주택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19 (19): 59-70, 2008

      16 김태경, "공간특성에 따른 지역별 주거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국토연구원 53 : 131-146, 2007

      17 변정순, "경남지역 일부 갱년기·폐경기 여성의 식사와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신념-포커스그룹 심층면접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239-252, 2011

      18 Wiles, J. L., "The meaning of"aging in place"to older people" 52 (52): 357-366, 2012

      19 Pynoos, J., "J Housing the aged; Design directives and policy consideration" Elsevier 277-303, 1987

      20 김형빈, "ICT를 활용한 고령자 주거안전정책 방안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 (20): 127-151, 2017

      21 Shin, K. J., "Housing approach for safety in dwellings Ⅱ-Analysis on actual conditions of home accidents of city of P" 4 (4): 23-31, 1993

      22 Korea Consumer Agency, "An in-depth analysis of elderly safety accidents" Risk Analysis Team 2017

      23 Yang, Y. 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living environment in th elderly group-home in jeollanamdo" 30 (30): 299-302, 2018

      24 Kim, S. H., "A study on the changes and needs of housing in rural areas against the aged society" 210-215, 2010

      25 Statistics Korea, "2017 Static on the Aged"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9-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