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국제자유도시’ 의제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gend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3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Jeju media has dealt with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genda, which was the national policy and the core development policy of Jeju Self-Governing Province for the past 20 years, through editoria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Agenda-Setting Period, which was the early stage of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Jeju media focused on the Policy Inefficiency, Government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genda. On the other hand, in the Agenda-Maintaining Period, Policy Inefficiency was highly used, and agendas for requesting various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nd asking for Government Support were relatively utilized high. In the Agenda-Decreasing Period, skepticism about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began to emerge as the discussion of incompetence due to Policy Inefficiency was materialized. Via the whole period of research, the Policy Inefficiency and Incompetence Agenda was the most used. Although the Government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genda emerged at different periods, the Policy Inefficiency and Incompetence Agenda increased over the years. It indicated that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genda was disappearing from editorials. In other words,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genda, which has been promoting for over 20 years, was moving away from the public agend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Jeju media has dealt with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genda, which was the national policy and the core development policy of Jeju Self-Governing Province for the past 20 years, through editorials. 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Jeju media has dealt with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genda, which was the national policy and the core development policy of Jeju Self-Governing Province for the past 20 years, through editoria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Agenda-Setting Period, which was the early stage of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Jeju media focused on the Policy Inefficiency, Government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genda. On the other hand, in the Agenda-Maintaining Period, Policy Inefficiency was highly used, and agendas for requesting various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nd asking for Government Support were relatively utilized high. In the Agenda-Decreasing Period, skepticism about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began to emerge as the discussion of incompetence due to Policy Inefficiency was materialized. Via the whole period of research, the Policy Inefficiency and Incompetence Agenda was the most used. Although the Government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genda emerged at different periods, the Policy Inefficiency and Incompetence Agenda increased over the years. It indicated that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genda was disappearing from editorials. In other words,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genda, which has been promoting for over 20 years, was moving away from the public agend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가 정책이자 제주도의 핵심 개발정책인 ‘제주국제자유도시’ 의제를제주지역 언론이 지난 20여 년 동안 어떻게 다루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제주국제자유도시 준비 및 시행 초기인 ‘의제 생성기’에서는 성공적인 국제자유도시 추진을위한 발전적 견제라 할 수 있는 제도수정 및 보완 의제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가운데 정책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정부지원에 대한 의제가 주를 이루었다. 반면, ‘의제 유지기’에서는 정책의 비효율성 및 무능 의제가 높은 가운데 각종 제도수정 및 보완의 필요성에대한 문제제기와 정부지원 요청에 대한 의제가 많았다. ‘의제 쇠퇴기’에서는 정책의 비효율성 및 무능에 대한 논의가 구체화되면서 국제자유도시 조성에 대한 회의론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처럼 제주국제자유도시 의제는 생성기에서 쇠퇴기까지 정책의 비효율성및 무능 의제가 중심을 이루었다. 정부지원과 제도수정 및 보완 의제가 시기를 달리하면서 부각되기는 했으나, 정책의 비효율성 및 무능 의제가 후반기로 갈수록 더욱 많아지면서 사설에서 국제자유도시 의제가 사라져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20여 년 동안추진해왔던 국제자유도시가 공공의제에서 멀어져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국가 정책이자 제주도의 핵심 개발정책인 ‘제주국제자유도시’ 의제를제주지역 언론이 지난 20여 년 동안 어떻게 다루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제주국제자유도시 ...

      본 연구에서는 국가 정책이자 제주도의 핵심 개발정책인 ‘제주국제자유도시’ 의제를제주지역 언론이 지난 20여 년 동안 어떻게 다루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제주국제자유도시 준비 및 시행 초기인 ‘의제 생성기’에서는 성공적인 국제자유도시 추진을위한 발전적 견제라 할 수 있는 제도수정 및 보완 의제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가운데 정책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정부지원에 대한 의제가 주를 이루었다. 반면, ‘의제 유지기’에서는 정책의 비효율성 및 무능 의제가 높은 가운데 각종 제도수정 및 보완의 필요성에대한 문제제기와 정부지원 요청에 대한 의제가 많았다. ‘의제 쇠퇴기’에서는 정책의 비효율성 및 무능에 대한 논의가 구체화되면서 국제자유도시 조성에 대한 회의론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처럼 제주국제자유도시 의제는 생성기에서 쇠퇴기까지 정책의 비효율성및 무능 의제가 중심을 이루었다. 정부지원과 제도수정 및 보완 의제가 시기를 달리하면서 부각되기는 했으나, 정책의 비효율성 및 무능 의제가 후반기로 갈수록 더욱 많아지면서 사설에서 국제자유도시 의제가 사라져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20여 년 동안추진해왔던 국제자유도시가 공공의제에서 멀어져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호, "효율 중심적 지역발전과 지방화의 역설 : 제주국제자유도시와 제주특별자치도 추진에 대한 비판적 검토" 21세기정치학회 17 (17): 311-335, 2007

      2 이서현, "지방정부의 보도자료는 중앙지와 지방지에 어떻게 반영되었나? : 제주지역 폭설재난에 대한 프레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7 (17): 28-55, 2017

      3 구재숙,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지역언론의 역활과 과제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 일간지 사설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4 신동일,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따른 도민소득 증대방안" 제주발전연구원 2016

      5 최낙진, "제주지역 일간지의 ‘제2공항 건설’ 관련 사설 분석" 10 (10): 287-314, 2019

      6 고영철, "제주지역 신문 뉴스의 다양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제자유도시’와 ‘평화의 섬’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6 (6): 5-42, 2006

      7 한라일보, "제주도민들 부글부글… 제주성당 피습으로 유커 향한 시선 싸늘"

      8 이승욱, "제주국제자유도시, 신자유주의 예외공간, 그리고 개발자치도" 한국지역지리학회 23 (23): 269-287, 2017

      9 김부찬,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 5주년 정책세미나 토론문" 85-90, 2007

      10 이두원, "정책홍보의 언론관계 활동에 대한 행정기관 공무원과 기자 집단의 인식도 비교 연구"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1 (21): 93-111, 2013

      1 김진호, "효율 중심적 지역발전과 지방화의 역설 : 제주국제자유도시와 제주특별자치도 추진에 대한 비판적 검토" 21세기정치학회 17 (17): 311-335, 2007

      2 이서현, "지방정부의 보도자료는 중앙지와 지방지에 어떻게 반영되었나? : 제주지역 폭설재난에 대한 프레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7 (17): 28-55, 2017

      3 구재숙,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지역언론의 역활과 과제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 일간지 사설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4 신동일,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따른 도민소득 증대방안" 제주발전연구원 2016

      5 최낙진, "제주지역 일간지의 ‘제2공항 건설’ 관련 사설 분석" 10 (10): 287-314, 2019

      6 고영철, "제주지역 신문 뉴스의 다양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제자유도시’와 ‘평화의 섬’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6 (6): 5-42, 2006

      7 한라일보, "제주도민들 부글부글… 제주성당 피습으로 유커 향한 시선 싸늘"

      8 이승욱, "제주국제자유도시, 신자유주의 예외공간, 그리고 개발자치도" 한국지역지리학회 23 (23): 269-287, 2017

      9 김부찬,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 5주년 정책세미나 토론문" 85-90, 2007

      10 이두원, "정책홍보의 언론관계 활동에 대한 행정기관 공무원과 기자 집단의 인식도 비교 연구"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1 (21): 93-111, 2013

      11 신호창, "정책 PR"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2 이서현,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 전조 현상과 경계 제주언론의 ‘제주사람들의 삶’ 뒤돌아보기" 한국언론정보학회 88 : 77-109, 2018

      13 이영윤, "언론의 특정 지역공간 담론화에 대한 분석 -‘제주올레’를 중심으로" 탐라문화연구원 (36) : 301-331, 2010

      14 서정우, "신문학이론" 박영사 2001

      15 강근복, "사회과정형 정책의제 형성과 정부의 대응관리" 5 : 66-90, 1994

      16 김호준, "사설이란" LG상남문고 1998

      17 최낙진, "백두산총서(叢書)와 한라산총서(叢書) 비교 연구" 한국출판학회 40 (40): 217-242, 2014

      18 김성해, "동아시아 공동체와 담론 전쟁: 한국 언론의 동북공정과 독도분쟁 재구성"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1 (21): 64-106, 2013

      19 강대중,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 과정을 다룬 신문 사설의 프레임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9 (29): 1-35, 2019

      20 이서현, "규범적 시대정신과 현실적 이해관계의 충돌: ‘김영란법’ 보도를 통해 살펴본 한국 언론의 담론정치"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44) : 85-120, 2017

      21 이서현, "‘유네스코 3관왕’ 관련 ≪한라일보≫ 기획보도의 특징과 정책의제 형성과정에서 미디어의 역할"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51) : 53-98, 2018

      22 조성찬, "‘공유자원 사유화 모델’에 기댄 제주국제자유도시 발전전략의 비판적 검토 : 토지 및 지대의 사유화를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6 (26): 44-79, 2016

      23 최낙진, "[월요논단] 국제자유도시 담론과 중국자본"

      24 Gmelch, S. B., "Tourists and tourism" Waveland Press 2004

      25 김용하, "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ACE)을 적용한 교장공모제 정책변동 분석" 동아대학교 2015

      26 Cobb, R. W., "Participation in American Politics: The dynamics of agenda building" Allyn and Bacon 1972

      27 Levine, C. H., "Organization design : A post Minnowbrook perspective for the 'New' public administration" 35 (35): 425-435, 1975

      28 Simon, H. A., "Human Nature in Politics : The Dialogue of Psychology with Political Science" 79 : 293-304, 1985

      29 Archer, B., "Global Tourism" Elsevier Inc. 2005

      30 Kingdon, J. W., "Agendas,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Brown and Company 1984

      31 Soroka, S. N., "Agenda-setting dynamics in Canada" UBC press 2002

      32 통계청, "<관광 1번지> 제주도를 읽다: 통계로 본 제주의 변화상"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