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Levels Measured at Ovulation Triggering Day In Intrauterine Insemination Cyc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760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erum level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measured at ovulation triggering day reflect ovarian response in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cycles. Methods: Forty-nine fertile women who undergoing superovulation and IUI were included. Superovulation was performed using clomiphene citrate (100 mg/d on day 3$\sim$7) in combination with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150 IU every other day starting on day 5). Serum samples were obtained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and the levels of VEGF-A and estradiol were measured. The numbers of mature follicle $\geq$17 mm in diameter were also counted. Results: Serum VEGF-A levels did not correlate with the numbers of mature follicle count nor serum estradiol levels. Serum estradiol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ture follicle count. Serum VEGF-A levels tended to be lower in women with mature follicle count less than three or women with more than five.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serum VEGF-A levels do not have an association with superovulation outcome in IUI cycles. However, a tendency of lower VEGF-A level in poor and high responder suggests that those with extreme response to superovulation may be related with abnormal angiogenesis. Further studies should be warranted in larger populations.
      번역하기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erum level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measured at ovulation triggering day reflect ovarian response in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cycles. Methods: Forty-nine fe...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erum level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measured at ovulation triggering day reflect ovarian response in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cycles. Methods: Forty-nine fertile women who undergoing superovulation and IUI were included. Superovulation was performed using clomiphene citrate (100 mg/d on day 3$\sim$7) in combination with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150 IU every other day starting on day 5). Serum samples were obtained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and the levels of VEGF-A and estradiol were measured. The numbers of mature follicle $\geq$17 mm in diameter were also counted. Results: Serum VEGF-A levels did not correlate with the numbers of mature follicle count nor serum estradiol levels. Serum estradiol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ture follicle count. Serum VEGF-A levels tended to be lower in women with mature follicle count less than three or women with more than five.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serum VEGF-A levels do not have an association with superovulation outcome in IUI cycles. However, a tendency of lower VEGF-A level in poor and high responder suggests that those with extreme response to superovulation may be related with abnormal angiogenesis. Further studies should be warranted in larger popul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자궁강 내 인공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 시 혈청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농도가 과배란유도의 결과를 반영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과배란유도 후 자궁강 내 인공수정을 시행 받은 49 명의 불임여성을 대상으로 hCG 투여 일에 혈청을 얻어 VEGF-A 및 estradiol 농도를 측정하였다. 과배란유도는 clomiphene citrate (100 mg/d on day 3$\sim$7) 와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150 IU every other day starting on day 5) 병합요법을 이용하였다. hCG 투여 일에 17mm 이상의 성숙난포 수와 자궁내막 두께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결 과: 혈청 VEGF-A 농도는 성숙난포 수, estradiol 농도 및 자궁내막 두께와는 무관하였던 반면 성숙난포 수와 estradiol 농도는 양의 비례관계를 보였다. 혈청 VEGF-A 농도는 성숙난포 수가 2 개 이하인 저 반응 군과 6 개 이상인 고 반응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낮은 수치를 보였다. 결 론: 혈청 VEGF-A 농도는 자궁강 내 인공수정 시술 시 과배란유도의 결과와 무관한 것으로 사료되지만 저 반응 군과 고 반응 군에서 낮은 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목 적: 자궁강 내 인공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 시 혈청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농도가 과배란유도의 결과를 반영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과배란유도 후 자...

      목 적: 자궁강 내 인공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 시 혈청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농도가 과배란유도의 결과를 반영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과배란유도 후 자궁강 내 인공수정을 시행 받은 49 명의 불임여성을 대상으로 hCG 투여 일에 혈청을 얻어 VEGF-A 및 estradiol 농도를 측정하였다. 과배란유도는 clomiphene citrate (100 mg/d on day 3$\sim$7) 와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150 IU every other day starting on day 5) 병합요법을 이용하였다. hCG 투여 일에 17mm 이상의 성숙난포 수와 자궁내막 두께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결 과: 혈청 VEGF-A 농도는 성숙난포 수, estradiol 농도 및 자궁내막 두께와는 무관하였던 반면 성숙난포 수와 estradiol 농도는 양의 비례관계를 보였다. 혈청 VEGF-A 농도는 성숙난포 수가 2 개 이하인 저 반응 군과 6 개 이상인 고 반응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낮은 수치를 보였다. 결 론: 혈청 VEGF-A 농도는 자궁강 내 인공수정 시술 시 과배란유도의 결과와 무관한 것으로 사료되지만 저 반응 군과 고 반응 군에서 낮은 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