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지역 정의에 따른 도시숲의 공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 = Study on Spatial Change of Urban Forest Considering Definition of Urban Area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93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도시숲은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자연공원을 제외한모든 산림과 수목으로 정의되고 있으나, 일반적인 인식으로서의 도시 내 존재하는 숲의 개념과...

      우리나라 도시숲은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자연공원을 제외한모든 산림과 수목으로 정의되고 있으나, 일반적인 인식으로서의 도시 내 존재하는 숲의 개념과는이질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을“도시 내에 존재하는 산림과 수목”으로 규정하였으며, 도시의 경계를 설정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제안하고 그에 따른 도시숲의 면적 변화를 모의하였다. 법률상 도시지역의 정의, WHO에서 제안한 주거지로부터 도시숲에 접근 가능한 거리(300m), 산림유역을 고려한 네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각 시나리오에 따라 도시숲의 양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용도지역상 도시지역”의 최외곽 경계와 연접하는 산림유역까지를 도시숲 경계로규정한 경우, 도시숲 면적은 약 183만ha, 1인당 도시숲 면적은 약 386㎡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로“용도지역상 도시지역”의 최외곽 경계로부터 300m 이내까지 도시로 규정하고 해당 경계와연접한 산림유역 내에 존재하는 숲을 도시숲으로 규정한 경우, 도시숲 면적은 약 192만ha, 1인당도시숲 면적은 약 405㎡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로“행정구역 상 읍‧동 지역”내“용도지역상 도시지역”의 최외곽 경계와 연접하는 산림유역까지를 도시숲 경계로 규정한 경우, 도시숲 면적은 약108만ha, 1인당 도시숲 면적은 약 230㎡로 분석되었다. 네 번째로“행정구역 상 읍·동 지역” 내“용도지역상 도시지역”의 최외곽으로부터 300m 경계와 연접하는 산림유역까지를 도시로 규정한 경우, 도시숲 면적은 약 120만ha, 1인당 도시숲 면적은 약 256㎡로 분석되었다. 이렇듯 도시의 정의에 따라 도시숲의 면적이 다양하게 추정될 수 있기 때문에, 국가통계를 집계하기 위해서는 도시에 대한 정의가 먼저 정립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현실적‧과학적 분석에 근거하여 도시숲의면적이 산출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산림청, "제2차 도시림기본계획2018~ 2027" 61-, 2018

      2 윤민호 ; 안동만,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녹지의 기온저감 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 37 (37): 46-53, 2009

      3 산림청, "산지관리기본계획 2013~2017" 34-, 2013

      4 석영선 ; 송기환 ; 한효주 ; 이정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요소 도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 한국조경학회 49 (49): 79-96, 2021

      5 진촨핑 ; 김태경, "도시표면의 물리적 요소가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중국 창춘을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49 (49): 1-11, 2021

      6 윤희천 ; 김민규 ; 정갑용,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녹지증가에 따른 온도변화 분석" 한국측량학회 30 (30): 143-150, 2013

      7 유리화, "도시숲의 이용형태별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11 (11): 1-6, 2007

      8 김인호, "도시숲·도시임업 육성을 위한 법제화 연구 대전" 221-, 2011

      9 이동근 ; 김대현 ; 김은영 ; 정지철 ; 오영출 ; 주신하 ; 김경목, "도시숲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도시숲 건전성 평가지표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104-113, 2008

      10 산림청, "도시림기본계획 2008~ 2017" 71-, 2008

      1 산림청, "제2차 도시림기본계획2018~ 2027" 61-, 2018

      2 윤민호 ; 안동만,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녹지의 기온저감 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 37 (37): 46-53, 2009

      3 산림청, "산지관리기본계획 2013~2017" 34-, 2013

      4 석영선 ; 송기환 ; 한효주 ; 이정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요소 도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 한국조경학회 49 (49): 79-96, 2021

      5 진촨핑 ; 김태경, "도시표면의 물리적 요소가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중국 창춘을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49 (49): 1-11, 2021

      6 윤희천 ; 김민규 ; 정갑용,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녹지증가에 따른 온도변화 분석" 한국측량학회 30 (30): 143-150, 2013

      7 유리화, "도시숲의 이용형태별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11 (11): 1-6, 2007

      8 김인호, "도시숲·도시임업 육성을 위한 법제화 연구 대전" 221-, 2011

      9 이동근 ; 김대현 ; 김은영 ; 정지철 ; 오영출 ; 주신하 ; 김경목, "도시숲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도시숲 건전성 평가지표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104-113, 2008

      10 산림청, "도시림기본계획 2008~ 2017" 71-, 2008

      11 구민아, "도시근린공원 미세먼지(PM)저감과 공간차폐율과의 관계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47 (47): 67-77, 2019

      12 김기중 ; 김동준 ; 이창효 ; 이승일, "도시공원의 규모와 형태별 주변지역의 지표온도・건물에너지소비저감 영향범위 분석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30 (30): 155-176, 2018

      13 조희선 ; 정유진 ; 최막중, "도시공간특성이 열섬현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정책학회 22 (22): 27-43, 2014

      14 이주경 ; 손용훈, "구글맵리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공원 이용자의 인식 및 평가- 서울숲, 보라매공원,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9 (49): 15-29, 2021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Urban green spaces and health: A review of evidence" WHO 80-, 2016

      16 Calvo, E., "Urban and periurban forests management, monitoring and ecosystem services—EMoNFUr LIFE+ project experiences" Pares 146-149, 2014

      17 Da Schio, N.,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use of and attitudes towards urban forests and green spaces: Exploring the instigators of change in belgium" 65 : 127305-, 2021

      18 Weinbrenner, H., "The forest has become our new living room”-The critical importance of urban fores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4 : 672909-, 2021

      19 Koo, J. C., "Preferences of urban dwellers on urban forest recreational services in South Korea" 12 : 200-210, 2013

      20 조장환 ; 박소희 ; 구자춘 ; 노태우 ; Lim Emily Marie ; 윤여창, "Preferences for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urban forests in South Korea" 한국산림과학회 16 (16): 86-103, 2020

      2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2 Geng, D. C., "Impacts of COVID‑19 pandemic on urban park visitation: A global analysis" 32 : 553-567, 2021

      23 Beckmann-Wübbelt, A., "High public appreciation for the cultural ecosystem services of urban and peri‑urban fores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74 : 103240-, 2021

      24 Alvarez, S., "Heterogeneous preferences and economic values for urban forest structural and functional attributes" 215 : 104234-, 2021

      25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Forest Service, "Forest inventory and analysis national urban FIA plot field guide: Field data collection procedures for urban FIA plots version 9.0.1" USDA Forest Service 535-, 2020

      26 Ugolini, F.,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use and perceptions of urban green space: An international exploratory study" 56 : 126888-, 2020

      27 Tree Canada, "Canadian urban forest strategy 2019-2024" Tree Canada 14-, 2019

      28 Derks, J., "COVID-19-induced visitor boom reveals the importance of forests as critical infrastructure" 118 : 102253-, 2020

      29 국토교통부, "2021 도시계획현황" 47-55,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