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모음-자음-모음의 구조에서 첫번째 모음이 두번째 모음에 영향을 미친다는 순행동시조음 현상이 모음 공간이나 운율구조의 차이를 모이는 한국어와 일본어 화자들의 음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2370
-
200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모음-자음-모음의 구조에서 첫번째 모음이 두번째 모음에 영향을 미친다는 순행동시조음 현상이 모음 공간이나 운율구조의 차이를 모이는 한국어와 일본어 화자들의 음성...
본 연구의 목적은 모음-자음-모음의 구조에서 첫번째 모음이 두번째 모음에 영향을 미친다는 순행동시조음 현상이 모음 공간이나 운율구조의 차이를 모이는 한국어와 일본어 화자들의 음성생성과 음성인지 양상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 지 고찰하는 것이다. 우선 음성생성실험에 있어서는 두 언어의 화자들을 대상으로 모음-자음-모음의 환경에서 순행동시조음이 실제로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보기위해 두번째 모음의 포만트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음의 갯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일본어 화자들이 한국어 화자들보다 동시조음의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가. 이는 각 언어의 모음 구조가 동시조음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Manuel (1999)등의 이전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하겠다. 인지실험에서는 영어원어민 화자의 녹음을 토대로 동시조음이 제대로 이루어진 자료와 그렇지 않은 자료들을 두 언어의 청자들에게 들려주고 해당 소리를 인지하도록 하는 4 IAX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예상과는 달리 두 언어 청자들의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실제로 두 언어의 청자들 모두 비슷한 정도의 인지보상 효과를 보였고 반응시간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는 음성생성의 단계에 있어서는 해당 언어의 모음 구조가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러한 차이가 인지의 단계까지 이르지는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전에 Pierrehumbert (2002) 등의 연구자들이 주장했던 것과 같이 인지보상효과는 불완전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test whether production and perceptual compensation in V-to-V carryover coarticulatory effects differ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at are distinguished in terms of the crowdedness of vowel space, and prosodic patte...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test whether production and perceptual compensation in V-to-V carryover coarticulatory effects differ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at are distinguished in terms of the crowdedness of vowel space, and prosodic pattern. In Experiment 1, the V-to-V carryover coarticulation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F2 changes over time course of a vowel trajector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Japansese speakers with less crowded vowel space showed stronger carryover coarticulatory effects than Korean, largely compatible with the previous claim on language-specific coarticulation (Manuel, 1999). However, when a 4 IAX discrimination task (Experiment 2), where English coarticulatory effects were spliced into different coarticulatory contexts, was given to these two language listeners, both Korean and Japanese listeners showed similar compensatory responses to the stimuli; they also showed similar reaction times to the stimuli.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even though systematic language-specific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arryover V-to-V coarticulatory patterns for Korean and Japanese speakers, these differences were not directly linked to their patterns of perceptual compensation, suggesting that perceptual compensation is not complete (Beddor et al.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