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통합이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강조되던 시기, 언어는 "통일성을 위한 또는 욕망 실현을 위한"이라는 기준에 따라 위계화되고 그 과정에서 소수어인 로컬어는 소멸되어 왔다. 한편 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67746
2012
Korean
언어환경 ; 언어에 대한 시선 ; 권리 ; 자본 ; 컬어 육성 ; Language Environment ; Views on Language ; Right ; Capital ; Local Language Promotion
학술저널
145-180(36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민통합이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강조되던 시기, 언어는 "통일성을 위한 또는 욕망 실현을 위한"이라는 기준에 따라 위계화되고 그 과정에서 소수어인 로컬어는 소멸되어 왔다. 한편 세...
국민통합이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강조되던 시기, 언어는 "통일성을 위한 또는 욕망 실현을 위한"이라는 기준에 따라 위계화되고 그 과정에서 소수어인 로컬어는 소멸되어 왔다. 한편 세계화에 따른 일방적 단일화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생태주의적 사고의 확산은, 언어의 공생 및 다양성 추구, 소수어, 로컬어에 대한 가치 인식등 언어에 대한 인식 전환을 가져왔다. 그런데 이러한 언어환경 변화에 따른 로컬어에 대한 인식 변화의 기저에는, 언어를 인간이 가진 고유한 권리로 보는 관점과 ‘통일성을 위한 혹은 욕망 실현을 위한’과 같은 특정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보는 관점, 즉 시선의 차이가 존재한다.
제주도는 국내에서 처음 로컬어 육성 조례를 제정하는 등 민·관의 다층적 차원에서 로컬어 보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주도의 로컬어 보전 활동에서는, 언어를 권리로서 인식하는 태도와 수단 특히 자본으로서 인식하는 태도가 복합적으로 드러난다. 현재 프랑스 공식언어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고 있는 브르타뉴어의 육성 과정 역시, 언어를 권리로서 인식함과 동시에 자본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제주어의 경우와 다르지 않다. 그러나 제주어와 달리 브르타뉴어의 경우는, 언어를 정치적 자산으로 인식하는 태도가 강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인식이 브르타뉴어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언어사용자들을 정치질서에 따르는 수동적 사용자로 전락시킨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로컬어의 육성 전략은 권리로서의 언어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이것이 보전될 수 있는 언어환경의 조성은 물론, 자본으로의 언어적 가치나 언어가 가진 정치성도 일정 부분 수용하되 그것이 로컬어의 토대를 부식시키지는 않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the time when national integration and neoliberal globalization was emphasized, language was hierarchicalized according to the so-called standard for "unity or realization of desire," and, in the process, local language, which is the language of th...
At the time when national integration and neoliberal globalization was emphasized, language was hierarchicalized according to the so-called standard for "unity or realization of desire," and, in the process, local language, which is the language of the minority, have perished. Meanwhile, the spread of ecological thinking warning about the dangers of unilateral unification in accordance to globalization, brought about perceptional change of language such as the pursuit for symbiosis and diversity of language and recognition of the value of minority language and local language. However, underlying such perceptional change in accordance to the changes in the language environment, two different views exist, one that views language as human being"s inherent right and another that views it as a mean for specific purpose such as the "unity or realization of desire."
Jeju Islan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legislated a local language promotion ordinance and making efforts at both private and governmental multi-layered level to preserve the local language. In the local language preservation activities in Jeju Island, the attitude that perceives language as a right and the attitude that perceives language as a means, or in particular, as a capital complexly revealed. The process of promoting Breton language, which is currently securing the status as the official language of France, is not different from the case of Jeju language in that language is simultaneously perceived as a right and as a capital. However, unlike Jeju language, Breton language reveals a strong attitude towards perceiving language as political asset. It is true that such perception contributed to raising the status of Breton language, but the problem in this case is that such attitude degraded the language users to passive users following the political order. Therefore, promotional strategies for local language should spread the perception of language as a right, create a language environment where such perception can be preserved. And while partially accepting the value of language as a capital or for its political quality, promotional strategies for local language should be developed in ways that do not corrode the foundation of the local langua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예영, "프랑스의 지방어 보호와 육성 정책" 프랑스학회 (46) : 401-420, 2008
2 오정숙, "프랑스의 유럽, 유럽화된 프랑스 : 프랑스와 유럽연합의 문화정책" 프랑스학회 (41) : 223-247, 2007
3 이재영, "프랑스의 언어정책-회고와 전망(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EU연구소 10 : 2002
4 김용현, "프랑스어 보호와 다언어주의" 한국불어불문학회 (70) : 261-290, 2007
5 최은순, "프랑스 이언어 사용 상황과 지역언어정책에 관한 고찰" 프랑스학회 33 : 2003
6 선효숙, "프랑스 방언의 통시적 고찰"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16 : 2003
7 조규태, "표준어 교육과 지역 언어 교육" 한글학회 (262) : 247-288, 2003
8 김은희, "지역어 부흥운동의 일한 비교 연구― 오키나와와 제주의 경우 ―" 한국일본학회 (83) : 13-24, 2010
9 김은희, "지방자치단체의 언어정책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23-138, 2010
10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 "제주지역 간판 문화의 특성화를 위한 제주어 활용방안 컨설팅" 2009
1 정예영, "프랑스의 지방어 보호와 육성 정책" 프랑스학회 (46) : 401-420, 2008
2 오정숙, "프랑스의 유럽, 유럽화된 프랑스 : 프랑스와 유럽연합의 문화정책" 프랑스학회 (41) : 223-247, 2007
3 이재영, "프랑스의 언어정책-회고와 전망(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EU연구소 10 : 2002
4 김용현, "프랑스어 보호와 다언어주의" 한국불어불문학회 (70) : 261-290, 2007
5 최은순, "프랑스 이언어 사용 상황과 지역언어정책에 관한 고찰" 프랑스학회 33 : 2003
6 선효숙, "프랑스 방언의 통시적 고찰"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16 : 2003
7 조규태, "표준어 교육과 지역 언어 교육" 한글학회 (262) : 247-288, 2003
8 김은희, "지역어 부흥운동의 일한 비교 연구― 오키나와와 제주의 경우 ―" 한국일본학회 (83) : 13-24, 2010
9 김은희, "지방자치단체의 언어정책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23-138, 2010
10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 "제주지역 간판 문화의 특성화를 위한 제주어 활용방안 컨설팅" 2009
1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어보전 및 육성조례"
12 이상규, "절멸 위기의 언어 보존을 위한 정책" 국립국어원 2007
13 전병선, "언어환경연구" 박이정 2000
14 차윤정, "언어권리와 로컬의 주체형성―제주로컬어 부흥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0) : 3-30, 2011
15 홍정표, "세계화 이후 프랑스의 문화적 가치, 국민 의식, 교육의 변화에 대하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3) : 189-213, 2006
16 권영옥, "세계화 시대의 프랑스 언어정책"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EU연구소 10 : 2002
17 채영희, "생태학적 언어관에 의한 국어어휘 교육" 배달말학회 33 : 2003
18 강정희,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제주 사회 변화와 제주 방언의 변화1" 국립국어원 2007
19 강욱기, "브르타뉴어 현황과 전승문제 연구"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3) : 427-457, 2011
20 이상규, "방언의 미학" 살림 2007
21 차윤정, "로컬어의 위상정립을 위한 시론" 우리말학회 25 : 2009
22 Gemie, Sharif, "The Politics of Language : Debates and Identities in Contemporary Brittany" 13 : 2002
23 Williams, Heather, "Postcolonial Brittany : Literature between Languages" Peter Lang 2007
24 Batson, Charles R., "Panique Celtique : Manau's Celtic Rap, Breton Cultural Expression, and Contestatory Performance in Contemporary France" 27 (27): 2009
25 Francoise Gouriou-Son, "Europe est diversite linguistique et la France et la Charte Europeenne des langues minoritaires" 프랑스문화예술학회 14 : 357-368, 2005
26 김진수, "EU와 프랑스어"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EU연구소 14 : 2004
27 Hornsby, David, "Dedialectictalization in France : Convergence and Divergence" 196 (196): 2009
28 Gemie, Sharif, "Brittany 1750~1950 : The Invisible Nation" University of Wales 2007
29 Hoare, Rachel, "An Integrative Approach to Language Attitude and Identity in Brittany" 5 (5): 2001
Competing Futures: Legibility, Resistance, and the Redevelopment of Dharavi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5-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9 | 0.89 | 0.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78 | 1.247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