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 : 1-17, 1995
2 "한민족의 문자 생활과 20세기 국한문체,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창작과비평사 392-456, 2002
3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서설:한문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대동한문학회 19 : 215-256, 2003
4 "한문교육과정 개정변천 양상과 한문과의 위상:편제와 시간단위 배당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22 : 125-150, 2004
5 "한문과 교육정책과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선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994
6 "한국의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한문교육학회 21 : 239-266, 2003
7 "한국어교육용 어휘 연구" 국학자료원 1994
8 "한국교육과정변천사연구-조선조 말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교육과학사 2003190-191
9 "한국 교과교육과정의 변천-중학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 1990
10 "한국 교과교육과정의 변천-고등학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 1990
1 "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 : 1-17, 1995
2 "한민족의 문자 생활과 20세기 국한문체,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창작과비평사 392-456, 2002
3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서설:한문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대동한문학회 19 : 215-256, 2003
4 "한문교육과정 개정변천 양상과 한문과의 위상:편제와 시간단위 배당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22 : 125-150, 2004
5 "한문과 교육정책과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선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994
6 "한국의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한문교육학회 21 : 239-266, 2003
7 "한국어교육용 어휘 연구" 국학자료원 1994
8 "한국교육과정변천사연구-조선조 말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교육과학사 2003190-191
9 "한국 교과교육과정의 변천-중학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 1990
10 "한국 교과교육과정의 변천-고등학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 1990
11 "한국 20세기의 한문교육과 그 당면 과제" 한국한문교육학회 23 : 219-242, 2004
12 "초중고등학교 국어과한문과 교육과정 기준" 323-, 20001946~1997191~193
13 "초중고등학교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총론" 186-, 1999
14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 감성적 사고,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 민족어의 장래" 고려대학교출판부 1998
15 "초등 한자 교육의 지도 내용" 한국국어교육학회 58 : 19-25, 1999
16 "중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국어생활 국어" (1-1) : 42-, 2001
1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157-160, 1999
18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 실천상의 쟁점과 해결 방안" 한국한문교육학회 18 : 21-22, 2002
19 "제6차 한문과 교육과정 중 ‘내용 체계’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한국한문교육학회 10 : 89-114, 1999
20 "언어 교과의 ‘내용 체계 ’의 몇 가지 쟁점 <한문교육연구> 24" 한국한문교육학회 117-, 2005
21 "새로운 한문교육의 지평:한문교육의 이론과 실제" 문자향 240-, 2002
22 "국한문의 전통과 현실적 교육 상황" 한국한문교육학회 22 : 191-218, 2004
23 "국어교육학원론" 박이정 349-, 2003
24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1999
25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26 "국어과교육론" 갑을출판사 117-, 1991
27 "국어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251, 2004
28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28-75, 1998
29 "교과교육학 탐구" 교육과학사 6-9,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