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國語 敎科 지도와 漢字語 교육 = Teaching Korean Subject and Chinese Lette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61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Chinese Letter an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inspecting the reality of Chinese Letter Education within Korean Education and surveying the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For analyzing and surveying, three studying contents were selected such as theories and research results, national curriculum and Chinese Letter education within Korean education in term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for Korean Education.
      There are not any books which were made based on the current teaching theory and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Letter education. In other words, there are not any comment about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teaching Chinese Letter, level and category of teaching contents, rationale and methods for Chinese Letter educatio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ome Korean educators have negative opinion about Chinese Character and Letter education. After surveying text books, some problems of Chinese Letter education were found in terms of description way, words and section for Chinese learning.
      Teaching theory, Koran curriculum and teaching elements of text books which are related with Chinese Letter, were limited and not enough in the field of contents and format. Researches of Korean educators, curriculum and text books had a negative interrelationship in the level of teaching Chinese Letter. The academic and systematic ways should be made for developing and enhancing Korean teacher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teaching Korean contents. And researches for developing the contents structure on the basic, rationale and reality should be made.
      번역하기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Chinese Letter an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inspecting the reality of Chinese Letter Education within Korean Education and surveying the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For analyzing and su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Chinese Letter an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inspecting the reality of Chinese Letter Education within Korean Education and surveying the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For analyzing and surveying, three studying contents were selected such as theories and research results, national curriculum and Chinese Letter education within Korean education in term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for Korean Education.
      There are not any books which were made based on the current teaching theory and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Letter education. In other words, there are not any comment about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teaching Chinese Letter, level and category of teaching contents, rationale and methods for Chinese Letter educatio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ome Korean educators have negative opinion about Chinese Character and Letter education. After surveying text books, some problems of Chinese Letter education were found in terms of description way, words and section for Chinese learning.
      Teaching theory, Koran curriculum and teaching elements of text books which are related with Chinese Letter, were limited and not enough in the field of contents and format. Researches of Korean educators, curriculum and text books had a negative interrelationship in the level of teaching Chinese Letter. The academic and systematic ways should be made for developing and enhancing Korean teacher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teaching Korean contents. And researches for developing the contents structure on the basic, rationale and reality should be ma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한자어 교육의 實態를 點檢하고, 문제점을 도출하며 그 代案으로 국어교육에서 한자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세 가지 層位 곧, 國語敎育學의 이론과 그 연구 성과, 국가 수준의 국어과 敎育課程,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次元에서 국어 교과에서의 漢字語 敎育 문제를 분석, 고찰하였다.분석 결과, 국어교육론, 국어과 교육과정, 교과서에 나타난 한자어 관련 지도 요소는 결론적으로 내용과 형식 兩者 모두 극히 제한적이고 不充分하다고 말 할 수 있다. 漢字語 敎育의 의의를 거듭 강조하고, 한자어의 본질, 원리, 실제에 대한 內容 體系를 구안하는 한편, 국어과 내용 영역에 대한 국어 교사의 資質을 培養시키기 위한 학문적, 제도적 장치가 절실히 要請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한자어 교육의 實態를 點檢하고, 문제점을 도출하며 그 代案으로 국어교육에서 한자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이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한자어 교육의 實態를 點檢하고, 문제점을 도출하며 그 代案으로 국어교육에서 한자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세 가지 層位 곧, 國語敎育學의 이론과 그 연구 성과, 국가 수준의 국어과 敎育課程,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次元에서 국어 교과에서의 漢字語 敎育 문제를 분석, 고찰하였다.분석 결과, 국어교육론, 국어과 교육과정, 교과서에 나타난 한자어 관련 지도 요소는 결론적으로 내용과 형식 兩者 모두 극히 제한적이고 不充分하다고 말 할 수 있다. 漢字語 敎育의 의의를 거듭 강조하고, 한자어의 본질, 원리, 실제에 대한 內容 體系를 구안하는 한편, 국어과 내용 영역에 대한 국어 교사의 資質을 培養시키기 위한 학문적, 제도적 장치가 절실히 要請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 : 1-17, 1995

      2 "한민족의 문자 생활과 20세기 국한문체,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창작과비평사 392-456, 2002

      3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서설:한문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대동한문학회 19 : 215-256, 2003

      4 "한문교육과정 개정변천 양상과 한문과의 위상:편제와 시간단위 배당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22 : 125-150, 2004

      5 "한문과 교육정책과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선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994

      6 "한국의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한문교육학회 21 : 239-266, 2003

      7 "한국어교육용 어휘 연구" 국학자료원 1994

      8 "한국교육과정변천사연구-조선조 말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교육과학사 2003190-191

      9 "한국 교과교육과정의 변천-중학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 1990

      10 "한국 교과교육과정의 변천-고등학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 1990

      1 "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 : 1-17, 1995

      2 "한민족의 문자 생활과 20세기 국한문체,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창작과비평사 392-456, 2002

      3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서설:한문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대동한문학회 19 : 215-256, 2003

      4 "한문교육과정 개정변천 양상과 한문과의 위상:편제와 시간단위 배당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22 : 125-150, 2004

      5 "한문과 교육정책과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선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994

      6 "한국의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한문교육학회 21 : 239-266, 2003

      7 "한국어교육용 어휘 연구" 국학자료원 1994

      8 "한국교육과정변천사연구-조선조 말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교육과학사 2003190-191

      9 "한국 교과교육과정의 변천-중학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 1990

      10 "한국 교과교육과정의 변천-고등학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 1990

      11 "한국 20세기의 한문교육과 그 당면 과제" 한국한문교육학회 23 : 219-242, 2004

      12 "초중고등학교 국어과한문과 교육과정 기준" 323-, 20001946~1997191~193

      13 "초중고등학교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총론" 186-, 1999

      14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 감성적 사고,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 민족어의 장래" 고려대학교출판부 1998

      15 "초등 한자 교육의 지도 내용" 한국국어교육학회 58 : 19-25, 1999

      16 "중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국어생활 국어" (1-1) : 42-, 2001

      1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157-160, 1999

      18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 실천상의 쟁점과 해결 방안" 한국한문교육학회 18 : 21-22, 2002

      19 "제6차 한문과 교육과정 중 ‘내용 체계’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한국한문교육학회 10 : 89-114, 1999

      20 "언어 교과의 ‘내용 체계 ’의 몇 가지 쟁점 <한문교육연구> 24" 한국한문교육학회 117-, 2005

      21 "새로운 한문교육의 지평:한문교육의 이론과 실제" 문자향 240-, 2002

      22 "국한문의 전통과 현실적 교육 상황" 한국한문교육학회 22 : 191-218, 2004

      23 "국어교육학원론" 박이정 349-, 2003

      24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1999

      25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26 "국어과교육론" 갑을출판사 117-, 1991

      27 "국어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251, 2004

      28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28-75, 1998

      29 "교과교육학 탐구" 교육과학사 6-9,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