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9~2014년 KLIPS 통합자료를 이용하여 고정임금계약(Fixed-Wage contracts)제 하에서 기업특수적 인적자본 투자와 관련된 성별, 연령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인적자본 투자에 미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4488
-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9~2014년 KLIPS 통합자료를 이용하여 고정임금계약(Fixed-Wage contracts)제 하에서 기업특수적 인적자본 투자와 관련된 성별, 연령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인적자본 투자에 미치는 ...
본 연구는 2009~2014년 KLIPS 통합자료를 이용하여 고정임금계약(Fixed-Wage contracts)제 하에서 기업특수적 인적자본 투자와 관련된 성별, 연령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인적자본 투자에 미치는 이직률의 영향을 고려하여 이직성향의 성별 차이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서 직장 이직률에는 성별차이가 존재한다는 가정을 지지하였다. 기업 잔류자의 임금-근속프로파일(wage-tenure profiles)을 추정한 결과에서는 여성 잔류자의 근속기울기가 남성 잔류자의 것보다 더 가파르다(steeper)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여성이 기업특수적 인적자본 투자를 요구하는 기업에서 남성보다 더 많은 훈련비용을 분담하고 더 빠른 임금상승을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고연령층 여성에 비해 젊은 연령층 여성에게서 근속계수의 기울기가 더 크게 추정되었다. 이 역시, 기업외부, 즉 가정재 생산에서 높은 생산성을 가지는 저연령층 여성이 기업특수적 인적자본 투자비용을 더 많이 떠안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들이 기업특수적 인적자본 축적을 회피한다는 기존 주장과 다른 것으로 다소 놀라운 결과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variation in tenure-slope by sex and age associated with firm-specific human capital investment under the wage-fixed contracts, using 2009~2014 years KLIPS integrated data. First, we estimated gender differences in turnover behavi...
This study analyzed variation in tenure-slope by sex and age associated with firm-specific human capital investment under the wage-fixed contracts, using 2009~2014 years KLIPS integrated data. First, we estimated gender differences in turnover behavior considering the turnover rate influence on human capital investment. Work on the estimated turnover results supported the assumption that gender differences exist. The results of estimating the wage-tenure profile in remaining workers to firms confirmed that the female tenure slope is steeper than the male enure slope. It means that female have experience sharing of large training costs and faster wage increases more than male in firms required firm-specific human capital investment. Also, tenure slope of young female is steeper than in older female's. This, too, provide fact that young female with high productivity outside the firm, that is home production, are required more share to cost-sharing of firm-specific human capital investment. These results are somewhat surprisingly, and are different from existing arguments that female will avoid firm-specific human capital accu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