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내러티브의 본질과 학교교육에의 실천적 함의 탐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90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내러티브는 인간 세계를 재현하는 형태 중 하나로 인간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방식이며 다양한 접근방식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허구나 실제 사건의 진술인 문어로 된 내러티브를 토대로 내러티브의 구조와 속성을 살펴보았다. 특정 입장(수업의 목표)에 따라 등장인물(수업주체인 학습자)이 종결(수업의 산출)을 향해 이동하며 경험하는 사건들(교육내용의 투입과 그룹별 협업)의 재현형태인 내러티브는 학습자들이 수업에 몰입할 수 있는 마음의 문을 여는 동인이 되며 내러티브 수업 모형(목표-주체-투입-숙의-산출-목표)을 창출하고 감성교육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내러티브 기반의 학교교육에서 학습은 지식과 기능의 습득을 넘어서 해석과 이해를 통해 의미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내러티브 자체의 특성이 반영되어 내러티브 학교교육은 변형잠재력을 갖추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간의 그리고 학생과 학생간의 내러티브 교환을 통해 존재의 가치 발견과 구성 및 재구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요컨대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하는 학교교육은 학생들의 전인적이고 총체적인 발달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내러티브 감수성(민감성)과 이해력이 요구되며 다양한 내러티브의 수집과 교과별, 학년별, 그리고 주제별 분류 작업뿐만 아니라 내러티브 활용시 주의사항과 평가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내러티브는 인간 세계를 재현하는 형태 중 하나로 인간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방식이며 다양한 접근방식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허구나 실제 사건의 진...

      내러티브는 인간 세계를 재현하는 형태 중 하나로 인간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방식이며 다양한 접근방식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허구나 실제 사건의 진술인 문어로 된 내러티브를 토대로 내러티브의 구조와 속성을 살펴보았다. 특정 입장(수업의 목표)에 따라 등장인물(수업주체인 학습자)이 종결(수업의 산출)을 향해 이동하며 경험하는 사건들(교육내용의 투입과 그룹별 협업)의 재현형태인 내러티브는 학습자들이 수업에 몰입할 수 있는 마음의 문을 여는 동인이 되며 내러티브 수업 모형(목표-주체-투입-숙의-산출-목표)을 창출하고 감성교육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내러티브 기반의 학교교육에서 학습은 지식과 기능의 습득을 넘어서 해석과 이해를 통해 의미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내러티브 자체의 특성이 반영되어 내러티브 학교교육은 변형잠재력을 갖추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간의 그리고 학생과 학생간의 내러티브 교환을 통해 존재의 가치 발견과 구성 및 재구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요컨대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하는 학교교육은 학생들의 전인적이고 총체적인 발달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내러티브 감수성(민감성)과 이해력이 요구되며 다양한 내러티브의 수집과 교과별, 학년별, 그리고 주제별 분류 작업뿐만 아니라 내러티브 활용시 주의사항과 평가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rrative, as a form of representing human world,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natural ways to understand and express human beings, which has had a variety approaches. This paper studied elements and properties of narrative as a fictional or factual written account. Narrative represents the events(inputs of contents and deliberations about tasks) that characters (students) experience moving toward the end(outputs), based on specific plights or intentions(lesson goals). It can be the drive that opens the door to students' engagement or deep learning. Also it creates a narrative based learning model including goals, agents, inputs, deliberations and outputs, and facilitates emotional education. Learning through narrative based schooling means constructing meanings assisted by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beyond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s. Since narrative changes continually, narrative based schooling is equipped with transformative potential, which encourages finding, building and rebuilding the value of gexistence through narrative exchang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promote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rough narrative based schooling, teachers should understand narrative and possess narrative sensitivity. Also it should be preceded to collect and classify narratives according to subjects, grades and topics as well as to examine instructions and evaluation methods before narrative based schooling is implemented.
      번역하기

      Narrative, as a form of representing human world,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natural ways to understand and express human beings, which has had a variety approaches. This paper studied elements and properties of narrative as a fictional or factual ...

      Narrative, as a form of representing human world,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natural ways to understand and express human beings, which has had a variety approaches. This paper studied elements and properties of narrative as a fictional or factual written account. Narrative represents the events(inputs of contents and deliberations about tasks) that characters (students) experience moving toward the end(outputs), based on specific plights or intentions(lesson goals). It can be the drive that opens the door to students' engagement or deep learning. Also it creates a narrative based learning model including goals, agents, inputs, deliberations and outputs, and facilitates emotional education. Learning through narrative based schooling means constructing meanings assisted by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beyond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s. Since narrative changes continually, narrative based schooling is equipped with transformative potential, which encourages finding, building and rebuilding the value of gexistence through narrative exchang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promote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rough narrative based schooling, teachers should understand narrative and possess narrative sensitivity. Also it should be preceded to collect and classify narratives according to subjects, grades and topics as well as to examine instructions and evaluation methods before narrative based schooling is implemen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teiner, R.,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앎" 밝은 누리 2012

      2 Soesman, A., "영혼을 깨우는 12감각" 섬돌 2009

      3 김상봉, "감성의 홀로주체성" 한국기호학회 (14) : 9-52, 2003

      4 노상우, "감성담론과 그의 교육철학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학회 34 (34): 71-97, 2012

      5 Sutton-Smith, B., "The ambiguity of pla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6 Ricoeur, P., "On narrati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7 Sarbin, T. R., "Narrative psychology: The storied nature of human Conduct" Praeger Publishers 1986

      8 Sherwood, P., "Emotional literacy: The heart of classroom management" ACER Press 2008

      1 Steiner, R.,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앎" 밝은 누리 2012

      2 Soesman, A., "영혼을 깨우는 12감각" 섬돌 2009

      3 김상봉, "감성의 홀로주체성" 한국기호학회 (14) : 9-52, 2003

      4 노상우, "감성담론과 그의 교육철학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학회 34 (34): 71-97, 2012

      5 Sutton-Smith, B., "The ambiguity of pla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6 Ricoeur, P., "On narrati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7 Sarbin, T. R., "Narrative psychology: The storied nature of human Conduct" Praeger Publishers 1986

      8 Sherwood, P., "Emotional literacy: The heart of classroom management" ACER Press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9-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Narrative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Narrative Education: KSN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788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