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강 정구의 회연초당(檜淵草堂) 건립과 교육활동의 의미 = The Meanings of Hangang(寒岡) Jeong Gu(鄭逑), 's Hoiyeon Chodang(檜淵草堂) Foundation and Educational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50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meanings of Hangang Jeong Gu(寒岡 鄭逑)'s foundation of Hoiyeon Seowon and educational activities. Hangang Jeong Gu (1543~1620) is considered one of Toigye(退溪)'s four eminent disciples and a great scholar who represents Yeongnam around the 17th century. He developed vigorous activities as a scholar based on his innate academic qualities, his pride in his family line as the greatgrandchild of Kim Goingpil(金宏弼) on his mother's side, and his scholastic status as the inheritor of Toigye and Nammyeong.
      H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owon education early on, engaging in active educational activities. Once he was appointed as head of Cheongok Seowon(川谷書院) in Seongju at the age of 26, he consolidated a foundation for its management by soliciting consultation from Toigye. At the age of 41, he built the Hoiyeon Chodang(檜淵草堂), where his educational activities became fullblown. This was the predecessor of the Hoiyeon Seowon(檜淵書院). At the age of 62, he took the lead in the construction of Dodong Seowon(道東書院) and completed the management system of Seowon education by writing Wongyu(院規). Furthermore, he restored the Hoiyeon Chodang that burned down during the war and used it as an educational space, making efforts to boost the academic traditions of the Seongju area.
      He devoted over 50 years of his life to educational activities for literary figures and his disciples in the area. Collectively called the “Hangang School,” the literary figures under his influence founded the Hoiyeon Seowon based on the Hoiyeon Chodang keeping their master's traces intact. They made efforts to cherish his studies and spirit and continue his teachings. They managed the Hoiyeon Seowon based on the Wongyu and Gangbeop(講法) left by their master as well as their learning experiences. Jeong Gu's studies and ideas were transmitted around the Hoiyeon Seowon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with their influence spreading to the ideological circles of the period beyond Yeongnam.
      번역하기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meanings of Hangang Jeong Gu(寒岡 鄭逑)'s foundation of Hoiyeon Seowon and educational activities. Hangang Jeong Gu (1543~1620) is considered one of Toigye(退溪)'s four eminent disciples and a great ...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meanings of Hangang Jeong Gu(寒岡 鄭逑)'s foundation of Hoiyeon Seowon and educational activities. Hangang Jeong Gu (1543~1620) is considered one of Toigye(退溪)'s four eminent disciples and a great scholar who represents Yeongnam around the 17th century. He developed vigorous activities as a scholar based on his innate academic qualities, his pride in his family line as the greatgrandchild of Kim Goingpil(金宏弼) on his mother's side, and his scholastic status as the inheritor of Toigye and Nammyeong.
      H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owon education early on, engaging in active educational activities. Once he was appointed as head of Cheongok Seowon(川谷書院) in Seongju at the age of 26, he consolidated a foundation for its management by soliciting consultation from Toigye. At the age of 41, he built the Hoiyeon Chodang(檜淵草堂), where his educational activities became fullblown. This was the predecessor of the Hoiyeon Seowon(檜淵書院). At the age of 62, he took the lead in the construction of Dodong Seowon(道東書院) and completed the management system of Seowon education by writing Wongyu(院規). Furthermore, he restored the Hoiyeon Chodang that burned down during the war and used it as an educational space, making efforts to boost the academic traditions of the Seongju area.
      He devoted over 50 years of his life to educational activities for literary figures and his disciples in the area. Collectively called the “Hangang School,” the literary figures under his influence founded the Hoiyeon Seowon based on the Hoiyeon Chodang keeping their master's traces intact. They made efforts to cherish his studies and spirit and continue his teachings. They managed the Hoiyeon Seowon based on the Wongyu and Gangbeop(講法) left by their master as well as their learning experiences. Jeong Gu's studies and ideas were transmitted around the Hoiyeon Seowon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with their influence spreading to the ideological circles of the period beyond Yeongn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강 정구의 회연서원 건립과 교육활동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는 퇴계의 네 고제(高弟)로 일컬어지며, 17세기를 전후한 시기 영남을 대표하는 학자이다. 그는 타고난 학문적 자질과 김굉필로 상징되는 가학의 전통 및 퇴계와 남명의 계승자라는 학통의 위상을 바탕으로 학자로서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정구는 일찍부터 서원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였고, 적극적인 교육활동을 시행하였다. 26살의 나이로 성주 천곡서원(川谷書院)의 원장을 맡게 되자 퇴계에게 자문을 구하며 서원 운영의 기틀을 다져나갔다. 특히 41세에 건립한 회연초당은 그의 교육활동이 본격화된 공간으로 훗날 회연서원의 전신(前身)이 된 곳이었다. 그는 62세에 도동서원 건립을 주도하였고 원규(院規)를 지어 서원 교육의 운영 체계를 완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쟁으로 소실된 회연초당을 복원한 후 교육공간으로 활용하며 성주 지역의 학풍을 진작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정구는 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문인과 향촌 자제들을 위한 교육활동에 종사하였다. ‘한강학파’라 불리는 그의 문인들은 스승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회연초당을 중심으로 회연서원을 건립하였다. 그리고 그의 학문과 기풍을 추모하며 스승의 가르침을 이어가고자 노력하였다. 문인들은 스승이 남겨 놓은 원규와 강법(講法), 그리고 자신들의 수학(受學) 경험을 바탕으로 회연서원을 운영하였다. 이처럼 조선 후기 정구의 학문과 사상은 회연서원을 중심으로 전승되었고, 그 영향력은 영남을 넘어 조선 후기 사상계로 확대되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한강 정구의 회연서원 건립과 교육활동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는 퇴계의 네 고제(高弟)로 일컬어지며, 17세기를 전후한 시기 영남을 대표하는 ...

      이 글은 한강 정구의 회연서원 건립과 교육활동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는 퇴계의 네 고제(高弟)로 일컬어지며, 17세기를 전후한 시기 영남을 대표하는 학자이다. 그는 타고난 학문적 자질과 김굉필로 상징되는 가학의 전통 및 퇴계와 남명의 계승자라는 학통의 위상을 바탕으로 학자로서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정구는 일찍부터 서원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였고, 적극적인 교육활동을 시행하였다. 26살의 나이로 성주 천곡서원(川谷書院)의 원장을 맡게 되자 퇴계에게 자문을 구하며 서원 운영의 기틀을 다져나갔다. 특히 41세에 건립한 회연초당은 그의 교육활동이 본격화된 공간으로 훗날 회연서원의 전신(前身)이 된 곳이었다. 그는 62세에 도동서원 건립을 주도하였고 원규(院規)를 지어 서원 교육의 운영 체계를 완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쟁으로 소실된 회연초당을 복원한 후 교육공간으로 활용하며 성주 지역의 학풍을 진작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정구는 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문인과 향촌 자제들을 위한 교육활동에 종사하였다. ‘한강학파’라 불리는 그의 문인들은 스승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회연초당을 중심으로 회연서원을 건립하였다. 그리고 그의 학문과 기풍을 추모하며 스승의 가르침을 이어가고자 노력하였다. 문인들은 스승이 남겨 놓은 원규와 강법(講法), 그리고 자신들의 수학(受學) 경험을 바탕으로 회연서원을 운영하였다. 이처럼 조선 후기 정구의 학문과 사상은 회연서원을 중심으로 전승되었고, 그 영향력은 영남을 넘어 조선 후기 사상계로 확대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우락, "회연서원"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9

      2 정우락, "한시로 그린 회연서원(檜淵書院)과 그 주변" 24 : 2019

      3 우경섭,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학문연원과 도통적 위상" 4 : 2008

      4 김대식,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강회(講會) 시행과 그 특성" 한국교육사학회 41 (41): 29-54, 2019

      5 정재훈, "한강(寒岡) 정구(鄭逑)에 관한 한국사 분야의 연구회고와 전망" 영남문화연구원 (25) : 187-207, 2014

      6 남명학연구원, "한강 정구" 예문서원 2011

      7 박종배, "학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서원 강회" 교육사학회 19 (19): 59-83, 2009

      8 "태조실록"

      9 정재훈, "조선중기 사족의 위상" 조선시대사학회 (73) : 43-70, 2015

      10 김학수, "조선중기 寒岡學派의 등장과 전개 -門人錄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40) : 105-168, 2010

      1 정우락, "회연서원"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9

      2 정우락, "한시로 그린 회연서원(檜淵書院)과 그 주변" 24 : 2019

      3 우경섭,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학문연원과 도통적 위상" 4 : 2008

      4 김대식,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강회(講會) 시행과 그 특성" 한국교육사학회 41 (41): 29-54, 2019

      5 정재훈, "한강(寒岡) 정구(鄭逑)에 관한 한국사 분야의 연구회고와 전망" 영남문화연구원 (25) : 187-207, 2014

      6 남명학연구원, "한강 정구" 예문서원 2011

      7 박종배, "학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서원 강회" 교육사학회 19 (19): 59-83, 2009

      8 "태조실록"

      9 정재훈, "조선중기 사족의 위상" 조선시대사학회 (73) : 43-70, 2015

      10 김학수, "조선중기 寒岡學派의 등장과 전개 -門人錄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40) : 105-168, 2010

      11 김형수, "임란 전후 寒岡學團의 활동과 성주지역 사족사회의 동향" 민족문화연구원 (77) : 257-285, 2017

      12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

      13 이수환, "영남지역 퇴계문인의 서원건립과 교육활동" 한국국학진흥원 (18) : 9-38, 2011

      14 "선조수정실록"

      15 "명종실록"

      16 이수환, "금계 황준량의 서원활동과 교육론" 영남문화연구원 (66) : 111-146, 2018

      17 "高峯集"

      18 "錦溪集"

      19 정만조, "退溪學派의 書院(敎育)論" 9 : 1999

      20 "象村集"

      21 "記言"

      22 "潛谷遺稿"

      23 이수환, "星州 迎鳳書院 연구" 역사교육학회 (54) : 189-220, 2015

      24 "旅軒集"

      25 "德溪集"

      26 "復齋集"

      27 "寒岡集"

      28 김학수, "寒岡 鄭逑의 學問 淵源" 한국학연구원 (48) : 127-167, 2012

      29 김영두, "宣祖初 文廟從祀 論議와 道統論의 變化" 한국사상사학회 (31) : 329-364, 2008

      30 김학수, "‘寒岡(鄭逑)神道碑銘’의 改定論議와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회 (42) : 51-119, 2007

      31 김자운, "16세기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한국유교학회 (58) : 331-358,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1 1.91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