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무주군 산지 유역의 사방댐 4개소를 대상으로 용량초과확률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 사방댐 설계의 적정성과 산불피해에 따른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용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무주군 산지 유역의 사방댐 4개소를 대상으로 용량초과확률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 사방댐 설계의 적정성과 산불피해에 따른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용량...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무주군 산지 유역의 사방댐 4개소를 대상으로 용량초과확률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 사방댐 설계의 적정성과 산불피해에 따른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용량초과확률을 산정하기 위한 신뢰성 모형을 구축하였고 토사유출량 산정에는 MSDPM을 사용하였다. 재현기간(10년, 50년, 100년, 200년)별 강우강도를 사용하여 사방댐의 용량초과확률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무주군 삼가리 유역의 사방댐 1개소와 증산리 유역의 사방댐 1개소는 과대설계 되었다고 판단되며 각각 사방댐의 용량을 61%, 47% 축소해도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산불피해면적에 대한 사방댐의 용량초과 확률을 산정해 비교분석 하였으며 연구대상 유역에서 산불로 인한 영향이 가장 큰 곳은 삼가리 유역의 사방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probability of exceeding capacity for 4 check dams in Muju mountain region have been estimated. From the results, optimum design of check dam and safety according to wild fire have been discussed. Reliability model has been establis...
In this study, the probability of exceeding capacity for 4 check dams in Muju mountain region have been estimated. From the results, optimum design of check dam and safety according to wild fire have been discussed. Reliability model has been established by using MSDPM for calculating debris yield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exceeding capacity of check dam. Probability of exceeding capacity for 4 check dams has been estimated according to maximum rainfall intensity of return periods (10year, 50year, 100year, and 200year). It was found that 1 check dam of Samga-ri basin and 1 check dam of Jeungsan-ri basin were designed by overestimation and 61% and 47% of capacity should be reduced, respectively. Furthermore, probability of exceeding capacity according to burned area has been estimated and compared. It was found that check dam of Sanga-ri basin is the weakest for the wild fire effect in this study area.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호, "사방시설의 안전점검에 관한 연구(I) - 강원지역의 사방댐 점검결과를 중심으로 -" 산림과학연구소 29 (29): 226-236, 2013
2 Frankel, E. G., "System reliability and risk analysis" Klume Academic Publishers 1988
3 Modarres, M., "Reliability engineering and risk analysis" Marcel Dekker Inc 1999
4 지용근, "RUSLE기법을 활용한 사방댐 유역의 토사유출량 산정 및 유역특성 분석" 한국방재학회 17 (17): 123-130, 2017
5 최현, "RUSLE 모형으로 토사유실에 따른 사방댐 적정성 분석" 한국측량학회 34 (34): 515-524, 2016
6 Kwon, H. J., "Probability of pipe breakage regarding transient flow in a small pipe network" 38 (38): 558-563, 2011
7 Ang, A., "Probability concepts in engineering planning and design" John Wiley and Sons, Inc 1984
8 Pak, J. H., "Predicting debris yield from burned watersheds: Comparison of statistica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45 (45): 210-223, 2009
9 Pak, J. H., "A statistical sediment yield prediction model incorporating the effect of fires and subsequent storm events" 44 (44): 689-699, 2008
10 Pak, J. H., "A real-time debris prediction model (USCDPM)incorporating wildfire and subsequent storm event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05
1 이진호, "사방시설의 안전점검에 관한 연구(I) - 강원지역의 사방댐 점검결과를 중심으로 -" 산림과학연구소 29 (29): 226-236, 2013
2 Frankel, E. G., "System reliability and risk analysis" Klume Academic Publishers 1988
3 Modarres, M., "Reliability engineering and risk analysis" Marcel Dekker Inc 1999
4 지용근, "RUSLE기법을 활용한 사방댐 유역의 토사유출량 산정 및 유역특성 분석" 한국방재학회 17 (17): 123-130, 2017
5 최현, "RUSLE 모형으로 토사유실에 따른 사방댐 적정성 분석" 한국측량학회 34 (34): 515-524, 2016
6 Kwon, H. J., "Probability of pipe breakage regarding transient flow in a small pipe network" 38 (38): 558-563, 2011
7 Ang, A., "Probability concepts in engineering planning and design" John Wiley and Sons, Inc 1984
8 Pak, J. H., "Predicting debris yield from burned watersheds: Comparison of statistica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45 (45): 210-223, 2009
9 Pak, J. H., "A statistical sediment yield prediction model incorporating the effect of fires and subsequent storm events" 44 (44): 689-699, 2008
10 Pak, J. H., "A real-time debris prediction model (USCDPM)incorporating wildfire and subsequent storm event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05
고속푸리에변환을 이용한 시공간 체적 표면유속 산정 기법 개발
SWAP 지수를 활용한 한강유역의 가뭄-홍수 급변사상 특성 분석
새로운 하천 유지관리를 위한 기술적 ‧ 제도적 역량 강화 방안
드론을 이용한 홍수기 유량측정방법 개발(II) - 전자파표면유속계 적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5 | 0.54 | 0.781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