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구논문 : 유해환경과 청소년 관련 행정정책이 청소년 범죄에 미치는 영향: 지역단위에 따른 거시적 수준의 접근 = The Influences of Harmful Places and Public policies on Adolescent Crime: A Macro Study of Cross-Sectional Variation among Korea`s Reg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95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거시적 수준에서 지역별 유해환경과 청소년 관련 행정정책이 지역별 청소년범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관련 범죄학이론에 기초하여 두 가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

      이 논문은 거시적 수준에서 지역별 유해환경과 청소년 관련 행정정책이 지역별 청소년범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관련 범죄학이론에 기초하여 두 가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유해업소가 많은 지역일수록 청소년범죄가 많이 일어날 것이다. 둘째, 청소년 관련 행정정책이 잘 되어 있는 지역일수록 청소년범죄가 적게 일어날 것이다. 이러한 두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7개의 광역자치단체와 전국 232개 기초자치단체를 분석단위로 사용하여 횡단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에 따라 지역별 유행환경과 행정정책이 청소년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유행환경변수에 해당하는 다양한 유해업소 가운데 단지 지역의 비디오방의 수만이 청소년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석에 사용된 청소년 관련 행정정책들 중에서 오로지 허가신청 관련 정책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져, 학교정화구역 내 청소년유해업소 허가신청 대비 허가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청소년범죄가 많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분석에 사용된 경험적 자료가 이 논문의 두 가설을 부분적으로만 지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가 비록 가설을 완전히 지지하지는 못했지만 지역별 유해업소의 분포와 지역단위의 청소년 관련 행정정책이 그 지역의 청소년범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역단위의 청소년범죄를 줄이거나 예방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harmful environments and the influences of public polices on criminal behavior of youths in Korea.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harmful places and public polices related to crime prevention and juven...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harmful environments and the influences of public polices on criminal behavior of youths in Korea.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harmful places and public polices related to crime prevention and juvenile delinquency be tested through the cross-sectional study of regional variation in Korea. Criminologists have argued that harmful environments leads to high crime rates by various factors: social disorganization, lack of informal social control, providing spaces for association with delinquent peers, formation of delinquent subculture, and so on. The public policy also may play a critical role in crime prevention. The difference of regional harmful environments and public policies may leads to variation on regional youth crime rates among Korea``s region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I employ National Youth Commission``s cross-section data from Korea``s 239 regional units in 2002 and OLS regression techniques. The findings show partial support for the hypothesis of the impacts of harmful places on adolescent crime and only very limited support for the hypothesis of the effects of public policies on adolescent crime.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meaning of these findings for recent research on harmful environment and public policy and crim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