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성과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지역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5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경제적 · 성과 분석을 토대로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광주지역 사회적기업의 경쟁력과 현안문제를 분석하고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언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일자리 창출 및 사회공헌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기초 자료는 고용노동부, 광주광역시청,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소비자원 등 사회적경제 관련 기관의 공식 자료를 활용하였다.
      현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사회적기업은 104개이며 유형별로는 일자리제공형이 58개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사회적 성과는 지속적인 양적 성장은 이뤄지고 있으나 질적 성장으로 이어지지 못하였으며 매출은 민간보다 공공기관 구매에 의존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자리창출 효과 또한 둔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성과 결과를 토대로 광주광역시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으로 지역에 적합한 지역특화 모델 발굴, 시민들의 인식 제고, 사회적 가치 확산과 함께 잠재적 소비자를 확대, 종사자들에 대한 지속적인이 교육, 사회적기업에 대한 평가 시스템의 조정, 서비스에 대한 시장 확대, 정부 재정지원 종료 후 사후관리에 대한 조례 보완, 시민주도적 생태계 조성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경제적 · 성과 분석을 토대로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광주지역 사회적기업의 경쟁력과 현안문제를 ...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경제적 · 성과 분석을 토대로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광주지역 사회적기업의 경쟁력과 현안문제를 분석하고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언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일자리 창출 및 사회공헌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기초 자료는 고용노동부, 광주광역시청,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소비자원 등 사회적경제 관련 기관의 공식 자료를 활용하였다.
      현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사회적기업은 104개이며 유형별로는 일자리제공형이 58개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사회적 성과는 지속적인 양적 성장은 이뤄지고 있으나 질적 성장으로 이어지지 못하였으며 매출은 민간보다 공공기관 구매에 의존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자리창출 효과 또한 둔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성과 결과를 토대로 광주광역시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으로 지역에 적합한 지역특화 모델 발굴, 시민들의 인식 제고, 사회적 가치 확산과 함께 잠재적 소비자를 확대, 종사자들에 대한 지속적인이 교육, 사회적기업에 대한 평가 시스템의 조정, 서비스에 대한 시장 확대, 정부 재정지원 종료 후 사후관리에 대한 조례 보완, 시민주도적 생태계 조성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cial enterprise activation direction based on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refore, We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and pending issues of social enterprises in Gwangju and suggested policy directions for social enterprise creation and job creation by proposing directions for social enterprise activation. The basic data were based on official data from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Office, the Korea Social Enterprise Agency, and the Korea Consumer Agency.
      At present, there are 104 social enterprise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e type of “Job Offers” is the most common typ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has been sustained in quantitative growth, But it has not led to qualitative growth, And sales have been found to be more dependent on purchasing public institutions than private ones. Job creation effects have also been confirmed to slow do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identify local specialization models suitable for local areas, to raise awareness of citizens, o expand potential consumers with social value proliferation, to continuously educate employees and to evaluate social enterprises. adjustment of the market, expansion of the market for services, supplementation of regulations on post management after the end of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creation of citizen-led ecosyst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cial enterprise activation direction based on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refore, We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and pending issues of soc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cial enterprise activation direction based on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refore, We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and pending issues of social enterprises in Gwangju and suggested policy directions for social enterprise creation and job creation by proposing directions for social enterprise activation. The basic data were based on official data from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Office, the Korea Social Enterprise Agency, and the Korea Consumer Agency.
      At present, there are 104 social enterprise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e type of “Job Offers” is the most common typ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has been sustained in quantitative growth, But it has not led to qualitative growth, And sales have been found to be more dependent on purchasing public institutions than private ones. Job creation effects have also been confirmed to slow do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identify local specialization models suitable for local areas, to raise awareness of citizens, o expand potential consumers with social value proliferation, to continuously educate employees and to evaluate social enterprises. adjustment of the market, expansion of the market for services, supplementation of regulations on post management after the end of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creation of citizen-led eco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광주광역시 사회적기업 현황
      • 4. 광주광역시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과제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광주광역시 사회적기업 현황
      • 4. 광주광역시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과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학실, "지역사회에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요인 탐색" 한국지방정부학회 16 (16): 259-277, 2012

      2 김성기, "지방정부의 공공자원과 연계한 사회적기업 개발 방안: 남양주시 예산 분석을 중심으로" 4 (4): 26-54, 2011

      3 최혁라, "사회적기업의 지역사회 자원연계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광주광역시․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08-317, 2012

      4 김태영,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과 공동체 정신" 한국도시행정학회 25 (25): 31-64, 2012

      5 곽선화,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1

      6 김혜원, "사회적기업을 위한 새로운 법인격: 쟁점과 대안"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0 (10): 93-130, 2017

      7 이성룡,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10주년 기념 정책토론회의 토론문"

      8 김용태, "사회적기업 창업성과 영향요인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303-327, 2013

      9 전병유, "사회적기업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10 김숙연, "사회적기업 성과와 정부지원금과의 관련성" 국제개발연구소 7 (7): 1-19, 2017

      1 김학실, "지역사회에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요인 탐색" 한국지방정부학회 16 (16): 259-277, 2012

      2 김성기, "지방정부의 공공자원과 연계한 사회적기업 개발 방안: 남양주시 예산 분석을 중심으로" 4 (4): 26-54, 2011

      3 최혁라, "사회적기업의 지역사회 자원연계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광주광역시․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08-317, 2012

      4 김태영,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과 공동체 정신" 한국도시행정학회 25 (25): 31-64, 2012

      5 곽선화,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1

      6 김혜원, "사회적기업을 위한 새로운 법인격: 쟁점과 대안"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0 (10): 93-130, 2017

      7 이성룡,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10주년 기념 정책토론회의 토론문"

      8 김용태, "사회적기업 창업성과 영향요인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303-327, 2013

      9 전병유, "사회적기업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10 김숙연, "사회적기업 성과와 정부지원금과의 관련성" 국제개발연구소 7 (7): 1-19, 2017

      11 강대성,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모범적 상생모델 - 행복나래(주)의 성과분석 및 발전방안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 (22): 247-260, 2015

      12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가이드북"

      13 김성기, "사회적경제의 이해와 전망" 아르케 2014

      14 유미현, "사회적경제의 사회적자본이 협력적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사회적경제 조직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17

      15 고동현, "사회적경제와 사회적 가치" 한울아카데미 2016

      16 채종헌,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14

      17 황덕순, "사회적경제 이슈와 쟁점 연구" 한국노동연구원·고용노동부 2015

      18 조희진,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기업가 정신" 한국정책학회 25 (25): 329-358, 2016

      19 한세억,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친환경 사회적 기업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제개발연구소 7 (7): 115-154, 2017

      20 김문준,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충남·대전·세종시)의 자율경영공시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1 (21): 61-81, 2018

      21 나선영, "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이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경상북도를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6 (16): 95-112, 2014

      22 황정윤, "사회적 기업 지원의 딜레마 - 정부보조금, 약인가 독인가 -" 한국정책학회 26 (26): 225-258, 2017

      23 김동철, "사회적 기업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20 (20): 143-162, 2016

      24 이나현, "나는 사회적기업이다" 비엠케이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5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