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노동자-직업 연결방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와 고용보험제도에 대한 함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416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 네트워크는 인간의 삶의 여러 영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본고에서는 경제학의 직장탐색(job search)이론과 사회적 네트워크론을 서로 통합한 노동자-직업연결 모형을 제시 하고, 그 모형들을 우리나라 서남부 K시에서 구직중인 실직자들을 대상으로 검증하여 보았다. 네트워크가 정보통로로서 작용하면, 비용의 투입이 없이 노동시장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는 네트워크론의 주장에서 출발하여 다음의 가설들을 제시하였다: 구직자를 둘러싼 사회적 네트워크의 구조적 성격이 “강한 관계의 규모가 작을 때, 전체규모가 클 때, 그리고 밀도가 낮을 때” 재취업 전망(구직자가 갖는 노동시장 정보의 질적 수준)이 좋을 것이고, 직장탐색의 실행정도가 낮을 것이고, 노동자-직업연결의 성과(재취업률 및 과거 임금수준의 유지)도 좋을 것이다. 또한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주장을 따라, 네트워크 변인을 통제하면, 직장탐색의 강도가 높을수록 노동자-직업연결의 성과가 좋을 것이라 예측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수집된 자료가 네트워크 변인의 영향에 대해서는 부분적이지만 일관된 지지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직장탐색 변인의 경우는 네트워크 변인의 영향을 받고 있음이 입증 되었으나, 노동자-직업연결의 성과에는 영향을 끼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결과가 고용안정센터와 인력은행 등에서 행해지고 있는 직업알선 서비스에 대해 갖는 함의로서 사회적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고, 구직자가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정도를 파악하는 데에도 네트워크 질문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번역하기

      사회적 네트워크는 인간의 삶의 여러 영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본고에서는 경제학의 직장탐색(job search)이론과 사회적 네트워크론을 서로 통합한 노동자-직업연결 모형을 제시 하고, 그...

      사회적 네트워크는 인간의 삶의 여러 영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본고에서는 경제학의 직장탐색(job search)이론과 사회적 네트워크론을 서로 통합한 노동자-직업연결 모형을 제시 하고, 그 모형들을 우리나라 서남부 K시에서 구직중인 실직자들을 대상으로 검증하여 보았다. 네트워크가 정보통로로서 작용하면, 비용의 투입이 없이 노동시장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는 네트워크론의 주장에서 출발하여 다음의 가설들을 제시하였다: 구직자를 둘러싼 사회적 네트워크의 구조적 성격이 “강한 관계의 규모가 작을 때, 전체규모가 클 때, 그리고 밀도가 낮을 때” 재취업 전망(구직자가 갖는 노동시장 정보의 질적 수준)이 좋을 것이고, 직장탐색의 실행정도가 낮을 것이고, 노동자-직업연결의 성과(재취업률 및 과거 임금수준의 유지)도 좋을 것이다. 또한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주장을 따라, 네트워크 변인을 통제하면, 직장탐색의 강도가 높을수록 노동자-직업연결의 성과가 좋을 것이라 예측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수집된 자료가 네트워크 변인의 영향에 대해서는 부분적이지만 일관된 지지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직장탐색 변인의 경우는 네트워크 변인의 영향을 받고 있음이 입증 되었으나, 노동자-직업연결의 성과에는 영향을 끼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결과가 고용안정센터와 인력은행 등에서 행해지고 있는 직업알선 서비스에 대해 갖는 함의로서 사회적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고, 구직자가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정도를 파악하는 데에도 네트워크 질문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Networks are known to have a substantial impact upon human lives. In this article, I propose a model that integrates the job search theory in the neoclassical economic tradition and the social network argument in sociology, and test it against the data I collected in K city, Korea. I begin with an argument that social networks operate as an effective information channel, and specifically suggest the following as a major hypothesis using social network and labor market variables: if the size of strong ties is smaller, the total network size is larger, and the network density is lower, then a job seeker’s reemployment prospect will be brighter, job search intensity lower, and the outcome of worker-job matching better in terms of the reemployment rate and the income maintenance level at a new job. The effect of job search upon the outcome is also examined.
      Partial but consistent supports for the network measures are obtained from the data. However, job search variables tum out to be influenced by social network variables, but hardly have any impact on the outcome of worker-job matching.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job search assistance services in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First, elements of social networks are to be included as a significant part of job-search assistance services. Second, some social network measures like the ones used in this article can be applied asa way to find out which job seeker needs a more intensive and longer provision of such services.
      번역하기

      Social Networks are known to have a substantial impact upon human lives. In this article, I propose a model that integrates the job search theory in the neoclassical economic tradition and the social network argument in sociology, and test it against ...

      Social Networks are known to have a substantial impact upon human lives. In this article, I propose a model that integrates the job search theory in the neoclassical economic tradition and the social network argument in sociology, and test it against the data I collected in K city, Korea. I begin with an argument that social networks operate as an effective information channel, and specifically suggest the following as a major hypothesis using social network and labor market variables: if the size of strong ties is smaller, the total network size is larger, and the network density is lower, then a job seeker’s reemployment prospect will be brighter, job search intensity lower, and the outcome of worker-job matching better in terms of the reemployment rate and the income maintenance level at a new job. The effect of job search upon the outcome is also examined.
      Partial but consistent supports for the network measures are obtained from the data. However, job search variables tum out to be influenced by social network variables, but hardly have any impact on the outcome of worker-job matching.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job search assistance services in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First, elements of social networks are to be included as a significant part of job-search assistance services. Second, some social network measures like the ones used in this article can be applied asa way to find out which job seeker needs a more intensive and longer provision of such serv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본 연구의 특성 및 제한점
      • Ⅲ. 기존 연구: 직업이동에 대한 직장 탐색모형과 네트워크 연결모형
      • Ⅳ. 이론적 통합모형 및 연구방법
      • Ⅴ. 분석결과
      • Ⅰ. 서론
      • Ⅱ. 본 연구의 특성 및 제한점
      • Ⅲ. 기존 연구: 직업이동에 대한 직장 탐색모형과 네트워크 연결모형
      • Ⅳ. 이론적 통합모형 및 연구방법
      • Ⅴ. 분석결과
      • Ⅵ. 논의 및 결론
      • 〈부록〉 로짓(logit) 회귀분석 결과에 의해 예측된 확률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