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재래시장 활성화에 따른 지역경제발전의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경북권 지역에 지원된 국고보조금과 2007년도에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2003년 지역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재래시장 활성화에 따른 지역경제발전의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경북권 지역에 지원된 국고보조금과 2007년도에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2003년 지역산...
본 연구에서는 재래시장 활성화에 따른 지역경제발전의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경북권 지역에 지원된 국고보조금과 2007년도에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200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북권 지역의 산업구조에서 재래시장이 차지하는 비중과 상대적인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재래시장 활성화에 따른 지역의 경제적 파급효과로, 생산유발효과는 약 788억 4천 6백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약 272억 9천 7백만원, 고용유발효과는 약 3,011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큰 경제적 파급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재래시장의 주요 업종이 포함된 도소매업은 전체 산업평균에 가까운 전․후방 연쇄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그동안 재래시장과 관련해서 추진되어 온 활성화 정책의 실효성 확보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책을 모색하는데에도 논리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conventional market revitalization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case of Kyungbuk province. The economic inducement effects of the government subsidy from 2005 to 2007 are estimated by utilizing ...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conventional market revitalization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case of Kyungbuk province. The economic inducement effects of the government subsidy from 2005 to 2007 are estimated by utilizing the 2003 regional input-output tables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07.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duction inducement amount is 78,846 hundred million won and the value-added inducement amount is 27,297 hundred million won. Second, the labor inducement number is 3,011 persons and forward & backward linkage effects are similar to the total industry. The findings of this empirical study indicate that the existing polices of conventional market has been effective for local economic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영규, "투입산출모형을 통한 이벤트 개최의 산업경제적 파급효과분석: 세계화장실협회 창립총회를 중심으로" 22 (22): 163-185, 2008
2 이춘근, "지역산업연관분석" 학문사 2006
3 장흥섭, "지역 재래시장의 속성에 대한 소비자와 상인간 인식 비교" 46 : 261-282, 2007
4 시장경영지원센터, "재래시장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청 2006
5 성형석, "재래시장의 서비스 품질이 거래관계의 질과 고객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2 (12): 85-104, 2007
6 중소기업청, "재래시장 활성화사업 운영현황" 2007
7 이재하, "재래시장 활성화 정책의 평가와 대안 모색: 경상북도를 사례로" 10 (10): 304-318, 2007
8 김웅진, "재래시장 소비자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11 (11): 151-174, 2008
9 최호규,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재래시장 발전방향: 대전시를 중심으로" 6 (6): 25-46, 2008
10 중소기업청, "소상공인지원센터 운영현황" 2007
1 안영규, "투입산출모형을 통한 이벤트 개최의 산업경제적 파급효과분석: 세계화장실협회 창립총회를 중심으로" 22 (22): 163-185, 2008
2 이춘근, "지역산업연관분석" 학문사 2006
3 장흥섭, "지역 재래시장의 속성에 대한 소비자와 상인간 인식 비교" 46 : 261-282, 2007
4 시장경영지원센터, "재래시장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청 2006
5 성형석, "재래시장의 서비스 품질이 거래관계의 질과 고객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2 (12): 85-104, 2007
6 중소기업청, "재래시장 활성화사업 운영현황" 2007
7 이재하, "재래시장 활성화 정책의 평가와 대안 모색: 경상북도를 사례로" 10 (10): 304-318, 2007
8 김웅진, "재래시장 소비자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11 (11): 151-174, 2008
9 최호규,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재래시장 발전방향: 대전시를 중심으로" 6 (6): 25-46, 2008
10 중소기업청, "소상공인지원센터 운영현황" 2007
11 강명주, "부산지역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0 (10): 73-109, 2007
12 Moses, L. M, "The Stability of Interregional Trading Patterns and Input-Output Analysis" 45 (45): 803-832, 1955
13 Lages, C, "The RELQUAL Scales: A Measure of Relationship Quality in Export Market Ventures" 58 (58): 1040-1048, 2005
14 Chenery, H. B, "Regional Analysis, The Structure and Growth of the Italian Economy" U. S. Mutual Security Agency 1953
15 Isard, W, "Interregional and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A Model of a Space Economy" 33 (33): 318-328, 1951
16 강동일, "Excel을 이용한 산업연관분석 입문" 제주대학교 출판사 2007
17 Leontief, W. W, "Environmental Repercussions and The Economic Structure: An Input-Output Approach" 52 (52): 262-271, 1970
18 한국은행, "2003년 지역산업연관표" 2007
19 한국은행, "2003년 산업연관표" 2007
한·중 중소기업의 지식경영활동요인이 지각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비교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경영교육논총 -> 경영교육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9 | 1.39 | 1.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 | 1.28 | 1.351 | 0.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