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교육의 의미와 그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어쨌든 오늘날 철학교육은 덕목 중심의 도덕교육의 대안 내지는 보완책으로서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14713
2009
Korean
105
학술저널
29-47(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철학교육의 의미와 그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어쨌든 오늘날 철학교육은 덕목 중심의 도덕교육의 대안 내지는 보완책으로서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다. ...
철학교육의 의미와 그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어쨌든 오늘날 철학교육은 덕목 중심의 도덕교육의 대안 내지는 보완책으로서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교육에 대한 관심과 각광이면에는, 철학교육이 너무 지나치게 서양식 탐구 패턴을 답습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동시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 결과 일군의 철학교육 연구자들은 동양철학 내지는 한국 철학적 접근을 철학교육에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나선 바 있다. 본 글은, 우선 철학교육에 있어서의 동양철학적 접근의 타당성을 받아들이면서, 그것의 전제로서 과연 우리나라에도 철학교육의 모습이 존재했었는지 그리고 존재했다면 어떤 모습이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글을 통하여 필자는, 관직 진출이나 입신양명이 아닌 학문 그 자체의 탐구를 목적으로 모인 학문 공동체였던 ‘서원’ 을 서양의 철학교육의 방법론으로 흔히 인용되는 퍼스의 ‘탐구공동체’ 이론에 비추어 보고 동서양의 철학교육적 공통분모를 찾아봄으로써, 서양 혹은 동양적 철학교육론의 무분별한 답습이나 지나친 편중을 벗어나 ‘동서양의 철학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철학교육’이란 어떤 것인지에 대하여 스스로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고자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자유의 강제:『교육학 강의』(칸트)에 대한 실천철학적 독해
예술작품을 통한 다차원적 사고력 교육 - <안티고네>를 중심으로 한 비판적, 창의적, 배려적 사고력 지도 -
안광복 박사님의 <이상과 현실> 단원 철학교육 방향 제언에 대한 논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