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II. 공적 기억과 국가 아이덴티티 1. 선험 연구 2. 일본사회와 아이덴티티 3. 아이덴티티 형성의 경로 4. 탈냉전기 일본사회와 국가 아이덴티티 III. 공적기억의 사회적 재생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77076
-
-
Korean
공적기억 ; 전쟁관련 공공장소와 시설 ; 전쟁 및 평화박물관 ; 과거사 ; 역사인식 ; 국가아이덴티티 ; 사회적 구성 ; public memory ; war and peace museum ; national identity ; war history ; social constructio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I. 서론 II. 공적 기억과 국가 아이덴티티 1. 선험 연구 2. 일본사회와 아이덴티티 3. 아이덴티티 형성의 경로 4. 탈냉전기 일본사회와 국가 아이덴티티 III. 공적기억의 사회적 재생산...
I. 서론
II. 공적 기억과 국가 아이덴티티
1. 선험 연구
2. 일본사회와 아이덴티티
3. 아이덴티티 형성의 경로
4. 탈냉전기 일본사회와 국가 아이덴티티
III. 공적기억의 사회적 재생산과정
1. 전쟁기억과 전쟁 담론
2. 전쟁박물관의 전쟁기억
IV. 공적기억과 역사인식
V.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