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연구실에서는 윤리적 소비행동관련 뇌영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상황에서 윤리적 구매선택이 달라지는지를 실험적으로 관찰하고 이러한 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8288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본 연구실에서는 윤리적 소비행동관련 뇌영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상황에서 윤리적 구매선택이 달라지는지를 실험적으로 관찰하고 이러한 선...
최근 본 연구실에서는 윤리적 소비행동관련 뇌영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상황에서 윤리적 구매선택이 달라지는지를 실험적으로 관찰하고 이러한 선택에서의 변화와 관련된 신경학적 기제를 규명하고자 시도한 바 있다. 이 실험에서는 각 상품을 사회적 기업과 일반 기업으로 구분하여 브랜드와 가격을 다양하게 제시함으로써 특정 가격대에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상황에서는 그렇지 않은 상황보다 윤리적 상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성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으며 이 경우 보다 정서적이고 직관적인 반응의 생성과 관련된 뇌부위(미상핵)의 활동이 증가된다는 사실을 관찰하였다. 본 제안서에서는 윤리적 소비행동뿐만 아니라 윤리적 기준에 의해 정직성이 요구되는 실험적 상황을 구현하여 타인의 관찰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이 과정에서 타인의 시선이 도덕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학적 경로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가 수행될 미국 보스톤은 사회신경과학의 메카라 할 수 있으며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과의 Joshua Greene교수와 같은 학과 소속의 Leah Somerville교수, 그리고 MIT대학의 Rebecca Saxe교수와 Boston College대학의 Lianne Young교수 등 공감과 친사회성 관련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들이 밀집해 있어 국제적 공동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기에 최적의 장소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 결과들에 기초하여 Joshua Greene교수가 개발한 도덕적 행동 측정 패러다임을 발전시켜 타인이 관찰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도덕적 행동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실험적 상황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타인의 관찰 상황을 실험패러다임으로 발전시킨 Leah Somerville과 공동으로 세부적인 실험디자인을 완성시킬 계획이며 이때 타인의 관찰 상황이 신경학적 반응을 변화시켜 증가된 도덕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최신 뇌영상기법(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을 사용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실에서 최근에 발표된 한 뇌영상연구에서는 한국인들과 미국인들의 사회비교성향에서의 차이를 관찰한 바 있다. 이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단순한 카드도박게임을 수행하였는데 자신과 타인의 결과를 비교하는 사회비교 경향성이 미국인에 비해 한국인에게서 높게 나타났음. 카드게임을 수행하는 동안 참가자들이 의사결정을 내릴 때 뇌활동을 측정해본 결과 미국인에 비해 한국인들은 자신의 결과가 타인의 결과보다 높을 경우에 보상과 관련된 뇌부위의 활동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인간의 뇌가 사회적 정보에 반응하는 정도에 있어서 문화적인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증거를 제시한다. 이러한 가설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시선이 도덕적 행동이 변화하는 정도에 있어서 한국인과 미국인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신경학적 차이를 규명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