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국어 한자음의 음운론과 형태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24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현대국어 한자음의 특성을 음운론과 형태론의 두 측
      면을 함께 고려하는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현대국어 한자음의 음운
      체계, 즉 한자음의 음운 목록 및 음절 구조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현대국어 한자어들의 형태 구조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
      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국어 한자어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들, 특히
      경음화와 두음법칙 현상을 집중해 살펴보았다. 현대국어 한자음의 특성
      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여 주고 있는데, 그것은 무엇보다도 개별 한자
      어가 지닌 형태론적 특성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현대국어 한자음의 특성을 음운론과 형태론의 두 측 면을 함께 고려하는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현대국어 한자음의 음운 체계, 즉 한자음의 음운 목록 및 음절 구조의 특성...

      본고에서는 현대국어 한자음의 특성을 음운론과 형태론의 두 측
      면을 함께 고려하는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현대국어 한자음의 음운
      체계, 즉 한자음의 음운 목록 및 음절 구조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현대국어 한자어들의 형태 구조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
      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국어 한자어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들, 특히
      경음화와 두음법칙 현상을 집중해 살펴보았다. 현대국어 한자음의 특성
      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여 주고 있는데, 그것은 무엇보다도 개별 한자
      어가 지닌 형태론적 특성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현대국어 한자음의 음운 체계
      • 3. 현대국어 한자어의 형태 구조
      • 4. 현대국어 한자어의 음운 현상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현대국어 한자음의 음운 체계
      • 3. 현대국어 한자어의 형태 구조
      • 4. 현대국어 한자어의 음운 현상
      • 5.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중호, "후음/h/의 기원" 겨레어문학회 (40) : 119-138, 2008

      2 김유범, "형태론적 과정에 나타나는 음운론적 현상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37 : 47-73, 2007

      3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 연구" 태학사 2004

      4 여채려, "한자어 단어 구성에서의 두음법칙과 경음화" 민족어문학회 (73) : 157-181, 2015

      5 박영섭, "한국한자어휘론" 박이정 1995

      6 강신항, "한국 한자음의 어제와 오늘" 국어연구소 17 : 30-50, 1989

      7 최미현, "이중 한자음에 나타나는 입성운미 /-t/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한말연구학회 (18) : 251-267, 2006

      8 안영훈, "대한민국 대표한자" 넥서스ACADEMY 2003

      9 권인한,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57-94, 2006

      10 정경일,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95-176, 2006

      1 최중호, "후음/h/의 기원" 겨레어문학회 (40) : 119-138, 2008

      2 김유범, "형태론적 과정에 나타나는 음운론적 현상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37 : 47-73, 2007

      3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 연구" 태학사 2004

      4 여채려, "한자어 단어 구성에서의 두음법칙과 경음화" 민족어문학회 (73) : 157-181, 2015

      5 박영섭, "한국한자어휘론" 박이정 1995

      6 강신항, "한국 한자음의 어제와 오늘" 국어연구소 17 : 30-50, 1989

      7 최미현, "이중 한자음에 나타나는 입성운미 /-t/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한말연구학회 (18) : 251-267, 2006

      8 안영훈, "대한민국 대표한자" 넥서스ACADEMY 2003

      9 권인한,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57-94, 2006

      10 정경일,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95-176, 2006

      11 김무림,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177-214, 2006

      12 배주채, "개정판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13

      13 이준환, "漢字音 俗音의 발생과 意味와의 관련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57-82, 2006

      14 김유범, "‘ㄴ’삽입 현상의 연구사적 검토?" 민족어문학회 46 : 2-72,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KCI등재
      2013-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7 1.448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