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본 미각어와 후각어 의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24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중세·근대 국어 미각어와 후각어에 대한 의미 연구 이다. 첫째, 『고어사전』과 『이조어사전』에서 발견된 미각과 후각에 관련 된 용례를 바탕으로 기본 미각어와 후각어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본 미각어는 ‘?다, ?다/?다, ?다, ?다, ?다, ?다’, 기본 후각어는 ‘구소다, 고소다, 구리다, 누리다, 비리다’를 설정할 수 있었다. 둘째, 이러 한 표현들의 기본 의미와 확장 의미를 살펴 보았다. 셋째, ‘?서늘?다, 슴겁다/승겁다/?겁다, 슴슴?다/???다, 들므쥬군?다/들?죽근?다/ 들?쥬근?다, ??다, 누리비리다, 비뉘?다, 비리누리다’와 같이 미각과 후각에 관련된 특이한 표현들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중세·근대 국어 미각어와 후각어에 대한 의미 연구 이다. 첫째, 『고어사전』과 『이조어사전』에서 발견된 미각과 후각에 관련 된 용례를 바탕으로 기본 미각어와 후각어를 설...

      이 논문은 중세·근대 국어 미각어와 후각어에 대한 의미 연구 이다. 첫째, 『고어사전』과 『이조어사전』에서 발견된 미각과 후각에 관련 된 용례를 바탕으로 기본 미각어와 후각어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본 미각어는 ‘?다, ?다/?다, ?다, ?다, ?다, ?다’, 기본 후각어는 ‘구소다, 고소다, 구리다, 누리다, 비리다’를 설정할 수 있었다. 둘째, 이러 한 표현들의 기본 의미와 확장 의미를 살펴 보았다. 셋째, ‘?서늘?다, 슴겁다/승겁다/?겁다, 슴슴?다/???다, 들므쥬군?다/들?죽근?다/ 들?쥬근?다, ??다, 누리비리다, 비뉘?다, 비리누리다’와 같이 미각과 후각에 관련된 특이한 표현들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기본 미각어의 유형과 의미
      • 3. 기본 후각어의 유형과 의미
      • 4. 맺음말
      • 1. 머리말
      • 2. 기본 미각어의 유형과 의미
      • 3. 기본 후각어의 유형과 의미
      • 4.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종석, "후각과 냄새 그리고 언어적 표상" 언어연구소 (56) : 113-132, 2012

      2 전은진, "후각 형용사의 의미론적 연구" 국제어문학회 (51) : 9-47, 2011

      3 송정근, "현대국어 감각형용사의 형태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4 임두학, "한국어 후각미각어 연구" 경기대학교 19 : 307-392, 1997

      5 유창돈, "이조어사전" 연세대학교출판부 1964

      6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84

      7 박문섭, "우리말 형용사의 감각어 연구" 중앙어문학회 20 : 124-146, 1987

      8 고창운, "우리말 맛 그림씨의 어휘장 연구 - ‘달다’류와 ‘시다’류 어휘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회 (56) : 5-24, 2006

      9 정재윤, "우리말 감각어 연구" 한신문화사 1989

      10 송정근, "미각형용사의 형태론" 형태론 7 (7): 303-323, 2005

      1 서종석, "후각과 냄새 그리고 언어적 표상" 언어연구소 (56) : 113-132, 2012

      2 전은진, "후각 형용사의 의미론적 연구" 국제어문학회 (51) : 9-47, 2011

      3 송정근, "현대국어 감각형용사의 형태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4 임두학, "한국어 후각미각어 연구" 경기대학교 19 : 307-392, 1997

      5 유창돈, "이조어사전" 연세대학교출판부 1964

      6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84

      7 박문섭, "우리말 형용사의 감각어 연구" 중앙어문학회 20 : 124-146, 1987

      8 고창운, "우리말 맛 그림씨의 어휘장 연구 - ‘달다’류와 ‘시다’류 어휘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회 (56) : 5-24, 2006

      9 정재윤, "우리말 감각어 연구" 한신문화사 1989

      10 송정근, "미각형용사의 형태론" 형태론 7 (7): 303-323, 2005

      11 권윤관, "미각장애와 미각기능 측정법"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3

      12 김해미, "미각어의 의미 확장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13 정수진, "미각어의 의미 확장 양상" 한국어의미학회 18 : 149-174, 2005

      14 문금현, "미각어 관련 고정표현에 나타난 다의화와 인지의미의 양상" 한국국어교육학회 (102) : 391-427, 2015

      15 김준기, "미각 형용사의 의미 고찰" 한국어문학회 (100) : 1-30, 2008

      16 박여성, "맛-형용사의 연구를 위한 의미론적 모델" 한국기호학회 36 : 9-36, 2013

      17 배해수, "맛 그림씨의 낱말밭" 한글학회 176 : 67-92, 1982

      18 서형국, "말뭉치를 이용한 국어의 역사적 연구: 텍스트 유형을 감안한 양적 연구 방법론" 한국어학회 63 : 37-70, 2014

      19 박태현, "냄새의 인지과정과 후각 쎈서" 한국생물공학회 13 (13): 631-637, 1998

      20 정인수, "국어형용사의 공감각적 전이 연구" 현대문법학회 11 (11): 163-180, 1997

      21 임지룡, "국어의미론" 탑문화사 1994

      22 김찬구, "국어의 미각표현어휘에 대한 연구" 단국대교육대학원 15 : 157-166, 1982

      23 이승명, "국어미각표시어군의 구조에 대한 연구" 국어국문학회 100 : 335-358, 1988

      24 천시곤, "국어미각어의 구조" 경북대학교 어학연구소 7 : 1-6, 1982

      25 김중현, "국어공감각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208 : 23-46, 2001

      26 허웅, "국어 음운학 -우리말 소리의 오늘·어제" 샘문화사 1985

      27 김준기, "국어 미각어의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5 : 249-269, 1999

      28 박상진, "국어 감각형용사의 의미 변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9 정수진, "국어 ‘단맛’ 표현의 인지적 의미 해석" 언어과학회 24 : 303-320, 2003

      30 남광우, "고어사전" 교학사 1997

      31 손용주, "감각형용사의 분류체계" 대구어문학회 10 : 127-154, 1992

      32 김해미, "‘짜다’ 계열 어휘의 의미 확장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46 : 247-278, 2014

      33 송지혜, "‘맵다’의 의미 변화 연구" 한국어문학회 (98) : 95-119, 2007

      34 김해미, "‘맵다’ 계열 어휘의 확장 의미 연구" 국어국문학회 (169) : 5-48, 2014

      35 Robert P. J. Barretto, "The neural representation of taste quality at the periphery" 517 : 373-376, 2015

      36 Lakoff, G., "Metaphors We Live B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37 Berin, "Basic color terms-their university and evolu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KCI등재
      2013-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7 1.448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