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부고속도로 상습정체구간에 대한 버스전용차로 영향 분석 - CTM 활용 - = Effect Analysis of Bus-exclusive Lane on Traffic Congestion Using Cell Transmission Mod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71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traffic flow data to identify chronically congested sections from Cheonan IC to Yangjae IC Seoul-bound on the Gyeongbu Expressway. The Osan IC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congested section and we assumed that frequent congestions mainly result from the starting location of the bus-exclusive lane located near Osan IC. To verify our assumption, we analyzed the effects of starting location of bus-exclusive lane using the cell transmission model. Analysis included comparison of simulation results for total delay time and traffic density with varying the starting locations of the bus-exclusive lane from Osan IC to Cheonan IC. The results could suggest an optimal option for the starting location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expressway.
      번역하기

      We investigated traffic flow data to identify chronically congested sections from Cheonan IC to Yangjae IC Seoul-bound on the Gyeongbu Expressway. The Osan IC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congested section and we assumed that frequent congestio...

      We investigated traffic flow data to identify chronically congested sections from Cheonan IC to Yangjae IC Seoul-bound on the Gyeongbu Expressway. The Osan IC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congested section and we assumed that frequent congestions mainly result from the starting location of the bus-exclusive lane located near Osan IC. To verify our assumption, we analyzed the effects of starting location of bus-exclusive lane using the cell transmission model. Analysis included comparison of simulation results for total delay time and traffic density with varying the starting locations of the bus-exclusive lane from Osan IC to Cheonan IC. The results could suggest an optimal option for the starting location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expressw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버스전용차로가 포함된 경부고속도로에서 버스전용차로가 정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방향 천안 IC-양재 IC 구간의 상습 정체 구간(병목지점)을 분석 구간으로 선정하였다. 이 구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버스전용차로제가 시작하는 오산 IC 부근에서 가장 잦은 병목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 지점의 다양한 정체의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그중 평일 버스전용차로 시작에 의한 도로 용량 감소와 진출‧입 교통량이 평일 상습 정체에 주된 요인으로 간주하였다. 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CTM(Cell Transmission Model)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였다. 또한 버스전용차로 시작 지점이 오산 IC의 진출‧입 구간과 겹치고 있음에 착안하여 버스전용차로 시작 지점을 변경시켜 가며 도로의 차량 밀도와 지연 시간(total delay tim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최적의 버스전용차로의 시작 지점에 대한 판단 근거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버스전용차로가 포함된 경부고속도로에서 버스전용차로가 정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방향 천안 IC-양재 IC 구간의 상습 정체 구간(병목지점)을 분석 구간으...

      본 연구에서는 버스전용차로가 포함된 경부고속도로에서 버스전용차로가 정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방향 천안 IC-양재 IC 구간의 상습 정체 구간(병목지점)을 분석 구간으로 선정하였다. 이 구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버스전용차로제가 시작하는 오산 IC 부근에서 가장 잦은 병목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 지점의 다양한 정체의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그중 평일 버스전용차로 시작에 의한 도로 용량 감소와 진출‧입 교통량이 평일 상습 정체에 주된 요인으로 간주하였다. 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CTM(Cell Transmission Model)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였다. 또한 버스전용차로 시작 지점이 오산 IC의 진출‧입 구간과 겹치고 있음에 착안하여 버스전용차로 시작 지점을 변경시켜 가며 도로의 차량 밀도와 지연 시간(total delay tim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최적의 버스전용차로의 시작 지점에 대한 판단 근거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도로공사, "본선 교통량과 정체 상관관계 분석을통한 교통예보활용연구" 2012

      2 한국도로공사, "교통안전, 버스전용차로제 안내"

      3 James H. Banksm, "Two-capacity phenomenon at freeway bottlenecks: a basis for ramp metering" 1320 : 83-90, 1320

      4 Daganzo C. F, "The lagged cell-transmission model" 1999

      5 Daganzo C. F, "The cell transmission model: A dynamic representation of highway traffic consistent with the hydrodynamic theory" 28 (28): 269-287, 1994

      6 Chen, C.,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Freeway Bottleneck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1867 : 46-52, 1867

      7 Zhang, L., "Some properties of flows at freeway bottlenecks" 2004

      8 Lighthill M. J., "On kinematic waves: II. A theory of traffic flow on long crowded roads" 229 (229): 317-345, 1178

      9 James D. Carvel Jr., "Freeway management handbook"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1997

      10 Fred L. Hall, "Freeway capacity drop and the definition of capacity" 1320 : 91-98, 1320

      1 한국도로공사, "본선 교통량과 정체 상관관계 분석을통한 교통예보활용연구" 2012

      2 한국도로공사, "교통안전, 버스전용차로제 안내"

      3 James H. Banksm, "Two-capacity phenomenon at freeway bottlenecks: a basis for ramp metering" 1320 : 83-90, 1320

      4 Daganzo C. F, "The lagged cell-transmission model" 1999

      5 Daganzo C. F, "The cell transmission model: A dynamic representation of highway traffic consistent with the hydrodynamic theory" 28 (28): 269-287, 1994

      6 Chen, C.,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Freeway Bottleneck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1867 : 46-52, 1867

      7 Zhang, L., "Some properties of flows at freeway bottlenecks" 2004

      8 Lighthill M. J., "On kinematic waves: II. A theory of traffic flow on long crowded roads" 229 (229): 317-345, 1178

      9 James D. Carvel Jr., "Freeway management handbook"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1997

      10 Fred L. Hall, "Freeway capacity drop and the definition of capacity" 1320 : 91-98, 1320

      11 Newell G. F, "A simplified theory of kinematic waves in highway traffic”, part I: General theory" 27 (27): 281-287,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79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