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세기 지식인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 = The Spatial Perception and Mental Geography of Intellectuals in the 18th Century - With a focus on 『Yeogangrok(驪江錄)』 by Shin Gwang-su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31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여강록』을 중심으로 18세기 지식인 石北 申光洙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를 밝힌 것이다. 신광수는 18세기 조선의 정치현실에서 좌절감을 맛본 南人 지식인이었다. 그는 당시 조선...

      이 글은 『여강록』을 중심으로 18세기 지식인 石北 申光洙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를 밝힌 것이다. 신광수는 18세기 조선의 정치현실에서 좌절감을 맛본 南人 지식인이었다. 그는 당시 조선이 직면한 정치현실에서 절감한 좌절감과 당대의 문화지형 속에서 자신이 체험하고 목격한 여주 ‘여강’을 기존의 문학작품에서 보이는 것과는 또 다른 의미의 그만의 장소로 의미화 시킨다. 이는 여주 ‘여강’에 대한 재발견이며, 18세기 지식인의 의식적장소 만들기이다. 18세기 소외된 남인 지식인에게 산수자연은 현실의 삶에서 발생하는 정신적 갈등과 모순에서 벗어나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공간이었다. 18세기 지식인 신광수의 의식적 장소 만들기에 의해 만들어진‘여강’은 자신의 처지에서 오는 울분을 벗들과 교유하고 자연과 교감하면서 해소하는 소통의 場이었다. 신광수는 신분적 한계를 절감하면서 知友들과의 산수유람을 통해 시를 수창하며 내적 고뇌를 해소했다. 나아가 지속적으로 同人들과 교유를 이어가며 학문적으로 동질감을 유지해 나갔다. 따라서 그의 시에 표상된 여주 ‘여강’과 한강 물길은 정치적으로 소외된 현실적 좌절감을 해소하고 중앙으로의 접근을 의미하는 심상의 장소였다. 표면적으로 신광수에게 여주 ‘여강’은 유람과 체험의 대상인 산수자연이었지만, 심층적로는 堪輿說로 대표되는 그의 공간인식이 구현된 현실정치의 영역으로서의 장소였으며, 한강 물길은 그 통로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patial perception and mental geography of Seokbuk Shin Gwang-su, an 18th-century intellectual, based on his Yeogangrok. Shin was a Namin intellectual that experienced frustrations from the political reali...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patial perception and mental geography of Seokbuk Shin Gwang-su, an 18th-century intellectual, based on his Yeogangrok. Shin was a Namin intellectual that experienced frustrations from the political reality of Joseon in the 18th century. With his frustrations with the political
      reality of Joseon in those days and his experiences and eyewitness accounts with "Yeogang" of Yeoju in the cultural geography of the times, he beautified it as a place of his own in different meaning from the old literary works. It was a re-discovery of "Yeogang" of Yeoju and an 18th-century intellectual's conscious place-making. To the Namin intellectuals who were alienated in the 18th century, nature including the mountains and waters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shed off their mental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and pursue balance and harmony. "Yeogang," which was born out the conscious place-making of Shin Gwang-su, an 18th-century intellectual, was a "place of communication" where he could share his pent-up rage derived from his situations with his friends and exchange with nature. Experiencing his social status limitations fully, he promoted poetry by making an excursion to mountains and rivers with his close friends and resolved his internal agony. In addition, he maintained academic consensus with his fellow members, continuing to have social intercourse with them. Thus Yeogang of Yeoju and the waterway of Han River described in his poetry were mental places where he would resolve his realistic frustrations derived from his political alienation and attempt to approach the center. Yeogang of Yeoju was the nature containing mountains and waters he would explore for excursion and experience on the surface and the domain of realistic politics where his spatial perception, which was represented by Gamyeoseol, was embodied on a deeper level. The waterway of Han River was a gateway to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18세기 문화지형과 지식인의‘場所感’
      • Ⅲ. ‘여강’, 18세기 지식인의 장소 만들기
      • Ⅳ. 결 론
      • Ⅰ. 서 론
      • Ⅱ. 18세기 문화지형과 지식인의‘場所感’
      • Ⅲ. ‘여강’, 18세기 지식인의 장소 만들기
      • Ⅳ.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덕수, "驪江의 淸士 水上七人" (20) : 2002

      2 驪州郡誌編纂委員會, "驪州郡誌"

      3 심경호, "한시의 세계" 문학동네 2006

      4 정 민, "한시 미학 산책" 솔 2003

      5 박종기, "한국사에 있어서 지방과 중앙" 서강대학교출판부 2003

      6 김해명, "창랑시화" 소명출판사 2001

      7 김백영, "지배와 공간" 문학과지성사 2009

      8 정석종, "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 한길사 1994

      9 최완기, "조선후기 한양의 경제적 성장과 그 의미" 이화사학연구소 20 : 1993

      10 고연히,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 연구 - 鄭歚과 三淵 그룹을 중심으로 -" 일지사 2001

      1 김덕수, "驪江의 淸士 水上七人" (20) : 2002

      2 驪州郡誌編纂委員會, "驪州郡誌"

      3 심경호, "한시의 세계" 문학동네 2006

      4 정 민, "한시 미학 산책" 솔 2003

      5 박종기, "한국사에 있어서 지방과 중앙" 서강대학교출판부 2003

      6 김해명, "창랑시화" 소명출판사 2001

      7 김백영, "지배와 공간" 문학과지성사 2009

      8 정석종, "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 한길사 1994

      9 최완기, "조선후기 한양의 경제적 성장과 그 의미" 이화사학연구소 20 : 1993

      10 고연히,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 연구 - 鄭歚과 三淵 그룹을 중심으로 -" 일지사 2001

      11 장진성, "조선후기 士人風俗畵와 餘暇文化" 한국미술연구소 (24) : 261-291, 2007

      12 이혜순, "조선중기 유산기문학" 집문당 1997

      13 이재희, "조선시대의 한양과 경기" 혜안 2001

      14 유홍준, "조선시대 화론 연구" 학고재 1998

      15 김지희, "조선시대 漢江圖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6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7 윤경수, "석북시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3

      18 고동환, "서울상업사" 태학사 2000

      19 박해영, "문학과 공간-이론적 접근 1" 25 : 1996

      20 한원균, "문학과 공간 : 그 이론적 모색" 한국문예창작학회 3 (3): 2004

      21 유 협, "문심조룡" 민음사 1994

      22 김명순, "기속시의 성격과 조선후기의 양상" 동방한문학회 (33) : 303-338, 2007

      23 이종묵, "글과 그림으로 노니는 산수. In 우리 한문학과 일상문화" 이화한문학연구회, 소명출판사 2007

      24 심정보, "공간의 정치지리" 푸른길 2010

      25 이상자, "鄭遂榮의 山水畵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1983

      26 金昌協, "農巖集" 民族文化推進會

      27 심경호, "菊圃 姜樸論. In 조선후기 한시 작가론 1" 이회문화사 1998

      28 丁若鏞, "與猶堂全書" 民族文化推進會

      29 申光洙, "石北集" 民族文化推進會

      30 이기현, "石北文學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6

      31 박우훈, "石北 申光洙의 散文世界" 인문과학연구소 33 (33): 47-70, 2006

      32 이기현, "石北 申光洙論. In 조선후기 한시 작가론 2" 이회문화사 1998

      33 이기현, "石北 申光洙 文學 硏究" 보고사 1996

      34 尹 鑴, "白湖集" 民族文化推進會

      35 이은주, "申光洙의 <關西樂府> 小考 -“風流”를 중심으로-" 한국한시학회 (13) : 357-385, 2005

      36 丁範祖, "海左集" 民族文化推進會

      37 박무영, "海左 丁範祖論. In 조선후기 한시 작가론 2" 이회문화사 1998

      38 徐居正, "東文選" 民族文化推進會

      39 李 瀷, "星湖先生全集" 民族文化推進會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23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