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여창(女唱) 판소리의 문예적 특질 =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Singers' Pansori of Modern Ti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7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the view of pansori and the consciousness of transmission which the fe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had, and analyze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ir pansori texts. While the 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were the successors to gwangdae, the fe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were the successors to gisaeng. The fe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considered pansori as vocal music which was the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al gisaeng culture. The ideal pansori, they aimed for, was the changak which could touch the audience delicately as the traditional gisaeng vocal music did. Accordingly, the greatest female pansori singers such as Park Rokju, Park Chowol, Kim Sohui re-edited and modified their pansori texts, and due to their efforts the female singers' pansori of modern times gained the dignity and the lyrical beauty as its literary characteristics.
      번역하기

      This paper discusses the view of pansori and the consciousness of transmission which the fe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had, and analyze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ir pansori texts. While the 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were ...

      This paper discusses the view of pansori and the consciousness of transmission which the fe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had, and analyze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ir pansori texts. While the 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were the successors to gwangdae, the fe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were the successors to gisaeng. The fe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considered pansori as vocal music which was the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al gisaeng culture. The ideal pansori, they aimed for, was the changak which could touch the audience delicately as the traditional gisaeng vocal music did. Accordingly, the greatest female pansori singers such as Park Rokju, Park Chowol, Kim Sohui re-edited and modified their pansori texts, and due to their efforts the female singers' pansori of modern times gained the dignity and the lyrical beauty as its literary characterist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근대 여성 명창을 대표하는 박록주, 박초월, 김소희의 판소리 텍스트가 동시대 남성 명창들의 판소리 텍스트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근대 여성 창자들의 판소리관 및 전승의식과 관련지어 그 문예적 특질을 고찰했다. 근대 남성 판소리 창자들이 광대문화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의식을 가지고 판소리를 전승했던 것과 달리, 근대 여성 판소리 창자들은 기생문화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의식을 가지고 판소리를 전승했다고 볼 수 있다. 근대 여성 창자들은 판소리를 ‘놀음’이 아닌 ‘창악(唱樂)’으로 인식했는데, 그것은 전통적으로 기생들이 연행해 온 가악(歌樂)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청중의 마음을 섬세하게 건드리는 창악을 지향하면서 근대 여성 창자들은 판소리의 음악적 기교와 성음을 세련했고, 문학적인 면에서도 그에 상응하는 변화를 일으켰다. 그들은 판소리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터무니없는 이야기, 어리석은 대화, 음란한 말장난 등으로 청중의 웃음을 자아내는 대목들을 배제하거나 그러한 대목들에 담긴 비속한 내용을 순화했으며, 판소리 작품의 주인공들을 품위 있는 인물들로 형상화했다. 그리고 서사성 또는 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대목의 텍스트를 과감히 요약하거나 삭제하여 기존 판소리에 비해 서사성과 극성은 약화되고 서정성은 더욱 강화된 판소리를 탄생시켰다. 또한, 그들은 서정적 창 대목을 새로 만들어 넣거나 당시에 전승되고 있었던 창 대목의 텍스트를 섬세하게 다듬어 그 서정미가 더욱 빛나도록 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근대 여성 명창을 대표하는 박록주, 박초월, 김소희의 판소리 텍스트가 동시대 남성 명창들의 판소리 텍스트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근대 여성 창자들의 판소리관 및 전...

      본 논문에서는 근대 여성 명창을 대표하는 박록주, 박초월, 김소희의 판소리 텍스트가 동시대 남성 명창들의 판소리 텍스트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근대 여성 창자들의 판소리관 및 전승의식과 관련지어 그 문예적 특질을 고찰했다. 근대 남성 판소리 창자들이 광대문화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의식을 가지고 판소리를 전승했던 것과 달리, 근대 여성 판소리 창자들은 기생문화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의식을 가지고 판소리를 전승했다고 볼 수 있다. 근대 여성 창자들은 판소리를 ‘놀음’이 아닌 ‘창악(唱樂)’으로 인식했는데, 그것은 전통적으로 기생들이 연행해 온 가악(歌樂)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청중의 마음을 섬세하게 건드리는 창악을 지향하면서 근대 여성 창자들은 판소리의 음악적 기교와 성음을 세련했고, 문학적인 면에서도 그에 상응하는 변화를 일으켰다. 그들은 판소리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터무니없는 이야기, 어리석은 대화, 음란한 말장난 등으로 청중의 웃음을 자아내는 대목들을 배제하거나 그러한 대목들에 담긴 비속한 내용을 순화했으며, 판소리 작품의 주인공들을 품위 있는 인물들로 형상화했다. 그리고 서사성 또는 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대목의 텍스트를 과감히 요약하거나 삭제하여 기존 판소리에 비해 서사성과 극성은 약화되고 서정성은 더욱 강화된 판소리를 탄생시켰다. 또한, 그들은 서정적 창 대목을 새로 만들어 넣거나 당시에 전승되고 있었던 창 대목의 텍스트를 섬세하게 다듬어 그 서정미가 더욱 빛나도록 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병헌, "金素姬의 春香 形象化 方式과 판소리의 指向" 동리연구회 3 : 81-102, 1996

      2 정광수, "흥부전 전집(1)" 박이정 135-188, 1997

      3 정충권, "흥부전 연구" 월인 2003

      4 박록주, "흥보가(CD)"

      5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1981

      6 최혜진, "한국 여성 명창의 계보와 판소리사" 판소리학회 13 : 379-421, 2002

      7 金賢柱, "판소리의 多聲性, 그 문체적 성격과 예술?사회사적 배경" 판소리학회 13 : 127-149, 2002

      8 이유진, "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9 이보형, "판소리 인간문화재 증언자료: 판소리 명창 한승호" 판소리학회 2 : 197-209, 1991

      10 이보형, "판소리 인간문화재 증언자료: 판소리 명창 정광수" 판소리학회 2 : 211-224, 1991

      1 정병헌, "金素姬의 春香 形象化 方式과 판소리의 指向" 동리연구회 3 : 81-102, 1996

      2 정광수, "흥부전 전집(1)" 박이정 135-188, 1997

      3 정충권, "흥부전 연구" 월인 2003

      4 박록주, "흥보가(CD)"

      5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1981

      6 최혜진, "한국 여성 명창의 계보와 판소리사" 판소리학회 13 : 379-421, 2002

      7 金賢柱, "판소리의 多聲性, 그 문체적 성격과 예술?사회사적 배경" 판소리학회 13 : 127-149, 2002

      8 이유진, "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9 이보형, "판소리 인간문화재 증언자료: 판소리 명창 한승호" 판소리학회 2 : 197-209, 1991

      10 이보형, "판소리 인간문화재 증언자료: 판소리 명창 정광수" 판소리학회 2 : 211-224, 1991

      11 이보형, "판소리 인간문화재 증언자료: 판소리 명창 박동진" 판소리학회 2 : 225-238, 1991

      12 이보형, "판소리 인간문화재 증언자료: 판소리 명창 김소희" 판소리학회 2 : 239-253, 1991

      13 이보형, "판소리 인간문화재 증언자료: 판소리 명창 강도근" 판소리학회 2 : 255-263, 1991

      14 최혜진, "판소리 유파의 전승 연구" 민속원 2012

      15 최동현, "판소리 명창과 고수 연구" 신아출판사 1997

      16 김석배, "판소리 명창 박록주의 예술세계" 한국구비문학회 10 : 23-52, 2000

      17 김소희, "춘향가(CD)"

      18 최승희, "최승희의 춘향가(CD)"

      19 최혜진, "진채선의 등장과 판소리사의 변모" 판소리학회 10 : 239-262, 1999

      20 정권진, "정권진 창 심청가(CD)"

      21 박동진, "인간문화재 박동진 판소리 대전집 : 흥보가(CD)"

      22 김기형, "여류 명창의 활동양상과 판소리사에 끼친 영향" 한국구비문학회 7 : 287-310, 1998

      23 김소희, "심청가(CD)"

      24 박봉술, "브리태니커 판소리 : 흥보가(CD)"

      25 조상현, "브리태니커 판소리 : 춘향가(CD)"

      26 박초월, "박초월 창 흥보가(CD)"

      27 박봉술, "박봉술 춘향가 전집(CD)"

      28 박봉술, "박봉술 창본 춘향가" 판소리학회 4 : 349-406, 1993

      29 김석배, "박록주 명창의 삶과 예술활동" 판소리학회 11 : 135-160, 2000

      30 김종철, "박록주 [흥부가] 사설의 특징" 판소리학회 13 : 51-86, 2002

      31 김석배, "박록주 <흥보가>의 정립과 사설의 특징" 판소리학회 (21) : 123-163, 2006

      32 이규호, "박록주 <흥보가>의 성립과 전승에 대하여" 판소리학회 (21) : 165-238, 2006

      33 안숙선, "만정 김소희 선생과 판소리" 동리연구회 3 : 59-66, 1996

      34 이유진, "다블뤼 주교의 저술에 나타난 1860년 무렵 판소리의 모습" 판소리학회 (32) : 233-264, 2011

      35 신은주, "김소희제 <춘향가> 연구" 판소리학회 (19) : 31-71, 2005

      36 유영대, "김소희의 초상" 동리연구회 3 : 5-20, 1996

      37 강도근, "강도근 창 흥보가(CD)"

      38 김기형, "강도근 5가 전집" 박이정 1998

      39 김연수, "東招 김연수 창 판소리 다섯바탕 : 흥보가(CD)"

      40 김연수, "東招 김연수 창 판소리 다섯바탕 : 춘향가(CD)"

      41 김연수, "東招 김연수 창 판소리 다섯바탕 : 심청가(CD)"

      42 이명희, "晩汀 金素姬 先生의 판소리敎育과 나의 판소리 修業記" 동리연구회 3 : 47-58, 1996

      43 김경희, "<춘향가>를 통해본 김소희 판소리의 음악적 지향" 판소리학회 (23) : 65-108, 2007

      44 박일용, "<심청가> ‘강상 풍경’ 대목의 변이 양상과 그 의미" 판소리학회 8 : 87-133,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