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영금, "흥푸리 사설" 한국무속학회 (20) : 337-354, 2010
2 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413, 1957
3 사진실, "한국연극사 연구" 태학사 1-465, 1997
4 이두현, "한국무속과 연희" 서울대출판부 1-466, 1996
5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551, 1961
6 鄭忠權, "판소리의 巫歌系 辭說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7 김현주, "판소리에서 감각 패턴의 연행적 기능과 의미" 판소리학회 (24) : 77-108, 2007
8 배연형, "판소리 路程記와 燕行使 燕行日記 -19세기 판소리 公演市場의 一面-" 판소리학회 (28) : 103-136, 2009
9 김현주, "판소리 창자의 거리조정방식과 그 기능적 의미" 5 : 123-148, 1994
10 이국자, "판소리 예술미학" 나남 1-337, 1989
1 이영금, "흥푸리 사설" 한국무속학회 (20) : 337-354, 2010
2 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413, 1957
3 사진실, "한국연극사 연구" 태학사 1-465, 1997
4 이두현, "한국무속과 연희" 서울대출판부 1-466, 1996
5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551, 1961
6 鄭忠權, "판소리의 巫歌系 辭說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7 김현주, "판소리에서 감각 패턴의 연행적 기능과 의미" 판소리학회 (24) : 77-108, 2007
8 배연형, "판소리 路程記와 燕行使 燕行日記 -19세기 판소리 公演市場의 一面-" 판소리학회 (28) : 103-136, 2009
9 김현주, "판소리 창자의 거리조정방식과 그 기능적 의미" 5 : 123-148, 1994
10 이국자, "판소리 예술미학" 나남 1-337, 1989
11 이보형, "판소리 공연문화의 변동이 판소리에 끼친 영향" 7 : 261-319,
12 김혜정, "판소리 계면조의 일시적 변조 및 변청 연구" 한국국악학회 52 : 39-62, 2012
13 이보형, "창우집단의 광대소리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83-111, 1990
14 M.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1-615, 1996
15 이영금, "조선 후기 전주 재인청 무부들의 판소리 활동 - 전주 재인청과 전주 아전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3 (53): 97-126, 2012
16 박경신, "일반무가의 작시방법" 3 : 45-64, 1996
17 김혜정, "육자백이 토리의 장르별 변조`변청 양상 연구-민요, 잡가, 무가, 판소리의 비교를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9) : 29-57, 2003
18 서정민, "육자배기토리권 무가와 판소리의 진양조 비교 연구" 우리춤연구소 5 (5): 119-157, 2009
19 김진영, "심청전" 박이정 1-309, 1997
20 이보형, "시나위권의 무속음악" 4 (4): 79-86, 1971
21 이보형, "송기덕의 육자배기 음반 연구" (14) : 3-14, 2004
22 이지영, "무가 路程記와 판소리 노정기의 영향관계에 대한 再論" 한국어문학회 (117) : 153-177, 2012
23 金憲宣, "京畿道 都堂굿 巫歌의 現地 연구"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2
24 조춘영, "『성무애락론』과 『악기』의 논의를 통해 본 풍물굿 악기 성음의 미학" 한국음악사학회 (43) : 239-268, 2009
25 김종철, "19세기 충청도 광대 도중(都中)의 존재와 그 권익 활동" 판소리학회 (36) : 119-16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