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판소리에서의 무속적 사유체계와 전통미학적 패러다임의 변화 = The shamanistic perspective in Pansori and the change of traditional aesthetic paradig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7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aims to understand how the shamanistic perspective in Pansori appears, and how it makes the traditional aesthetic paradigm of Pansori a change. The origin of Pansori singer is known as shaman or shaman family. The best valuable model of the men of shaman family is to be good singer of Pansori. The collective organization[jaeinchong(才人廳)] of shaman family themselves execute performative workshop, deal with patrons of government office and civilian for their crafts, and counter action for their rights and interests. Their shamanistic tendency in nature should be penetrated into the work of Pansori in several forms. The music style of Pansori has a lot of shamanistic property in factors like as sound structure, melody, rhythm, and vocal character etc. The speech words of Pansori has shamanistic property in factors like as expressive manner or discourse with metrical arrangement of origin history of objects and itinerary of Gods. The performance of Pansori has shamanistic property in factors like as behavioral context of performer, accompanying percussion instrument, communicative context between performer with audience, and emotional moving context between performer with audience. The shamanistic perspective in Pansori changed the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 of Pansori. The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 of classical performative arts and crafts were dignity, elegance, moderation, calmness etc. But the aesthetic character of Pansori was changed into immoderated violence, deviated interruption, freely adaptation to circumstances by shamanistic perspective. These property are melted into the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 of Pansori. The shamanistic perspective considerably involve with characteristics of Pansori aesthetics, further has meaningful influence with the formation of Korean general aesthetics.
      번역하기

      It aims to understand how the shamanistic perspective in Pansori appears, and how it makes the traditional aesthetic paradigm of Pansori a change. The origin of Pansori singer is known as shaman or shaman family. The best valuable model of the men of ...

      It aims to understand how the shamanistic perspective in Pansori appears, and how it makes the traditional aesthetic paradigm of Pansori a change. The origin of Pansori singer is known as shaman or shaman family. The best valuable model of the men of shaman family is to be good singer of Pansori. The collective organization[jaeinchong(才人廳)] of shaman family themselves execute performative workshop, deal with patrons of government office and civilian for their crafts, and counter action for their rights and interests. Their shamanistic tendency in nature should be penetrated into the work of Pansori in several forms. The music style of Pansori has a lot of shamanistic property in factors like as sound structure, melody, rhythm, and vocal character etc. The speech words of Pansori has shamanistic property in factors like as expressive manner or discourse with metrical arrangement of origin history of objects and itinerary of Gods. The performance of Pansori has shamanistic property in factors like as behavioral context of performer, accompanying percussion instrument, communicative context between performer with audience, and emotional moving context between performer with audience. The shamanistic perspective in Pansori changed the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 of Pansori. The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 of classical performative arts and crafts were dignity, elegance, moderation, calmness etc. But the aesthetic character of Pansori was changed into immoderated violence, deviated interruption, freely adaptation to circumstances by shamanistic perspective. These property are melted into the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 of Pansori. The shamanistic perspective considerably involve with characteristics of Pansori aesthetics, further has meaningful influence with the formation of Korean general aesthet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판소리에 내재된 무속적 인자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러한 인자들이 무속의 어떤 사유체계에서 비롯되었으며, 그것이 판소리의 어떤 미학적 자질을 형성하게 하고 있는지를 탐구한 것이다. 판소리에 와서 전통미학의 구조가 균열되고 재구성되는데, 그러한 균열과 재구성에 있어 무엇보다도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이 무속적 사유체계라고 보았다. 이 글은 무속적 사유체계가 판소리의 어떤 측면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그것이 판소리의 전통미학적 패러다임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그 기능과 의미를 분석했다. 판소리 창자의 태생적 기반이 무당과 관계된다는 점은 두루 확인된다. 그러나 판소리 창자가 무당과 관련된다는 점만 추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들의 사회문화적 생태사를 구성해보는 단계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판소리 광대가 되는 것이 무당집 남자가 지향해야 할 최고 가치였던 시절이 있었고, 신청과 재인청에서의 조직적인 연희 훈련이 나중 판소리 연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었으며, 관민에게 연희를 팔 경우 재인광대들의 집단조직이 상당히 유기적으로 대응했고, 그들은 나름의 권익을 위해 조직적으로 활동했다. 판소리 광대들의 출신과 무속적 연희 훈련, 무속집단의 조직적 활동 등을 통해 볼 때 그들의 무속 취향은 판소리에 상당 부분 수용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판단된다. 판소리 음악 속에는 무속적인 인자가 내재되어 있다. 굿의 음악인 시나위는 그 음조직과 선율형이 판소리에서 불려지는 계면조와 상당히 흡사한데, 육자배기토리의 시나위권 음악은 판소리의 음조직이나 장단, 성음과 목구성 등과 유사한 측면이 많다. 판소리 사설 속에는 무속적인 의식이 잠재되어 있다. 비념이나 고사 등의 소재적 차원을 넘어 사설의 언어적 표현 방식 내지는 담화 방식의 측면에서 보면, 신의 근원내력이라든지 우주의 근원내력이라든지 하는 근원내력과 비슷한 내력 사설이 판소리에 많고, 근원내력과 비슷한 성질의 노정기도 판소리의 담화 방식의 하나이다. 사물 나열의 담화 방식은 근본적으로 굿의 담화적 기반이라 할 수 있는데, 판소리 사설의 많은 부분이 바로 사물들을 병렬적으로 되풀이하는 담화 방식인 것이다. 판소리 연행 방식 또한 굿의 연행 체계와 비슷하다. 무당이 굿을 주재할 때 발생하는 여러 연행적 맥락들은 판소리에서도 흡사하게 나타난다. 그것은 연행자의 동작이나 표정과 같은 행위적인 맥락은 물론이고 반주 악기들이 갖는 연행과의 관계적 맥락, 연행자와 청관중과의 소통적 맥락, 연행 중에 연행자와 청관중 사이에서 일어나는 정서 또는 감정의 움직임의 맥락 등이다. 유학의 영향 하에서 형성된 전통미학적 패러다임은 아정함을 지향하는 것인데, 판소리에서는 이러한 아정한 미학적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판소리에 내재되어 있는 무절제한 격동성, 일탈적인 엇지름, 자유자재의 응변성 등의 자질들은 무속적 사유체계에서 전입된 미학적 자질들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판소리의 미학적 성격은 복합적이라고 보아야 한다. 절제 속에서 무절제를 지향하는 속성이 있고, 규범 속의 일탈을 지향하는 속성도 있으며, 규격 내지 정형 속에서 무정형과 응변을 지향하는 속성도 들어 있는 것이다. 무속적 사유체계는 판소리의 미학적 성격을 형성하는 데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나아가 ...
      번역하기

      이 글은 판소리에 내재된 무속적 인자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러한 인자들이 무속의 어떤 사유체계에서 비롯되었으며, 그것이 판소리의 어떤 미학적 자질을 형성하게 하고 있는지를 탐...

      이 글은 판소리에 내재된 무속적 인자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러한 인자들이 무속의 어떤 사유체계에서 비롯되었으며, 그것이 판소리의 어떤 미학적 자질을 형성하게 하고 있는지를 탐구한 것이다. 판소리에 와서 전통미학의 구조가 균열되고 재구성되는데, 그러한 균열과 재구성에 있어 무엇보다도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이 무속적 사유체계라고 보았다. 이 글은 무속적 사유체계가 판소리의 어떤 측면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그것이 판소리의 전통미학적 패러다임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그 기능과 의미를 분석했다. 판소리 창자의 태생적 기반이 무당과 관계된다는 점은 두루 확인된다. 그러나 판소리 창자가 무당과 관련된다는 점만 추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들의 사회문화적 생태사를 구성해보는 단계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판소리 광대가 되는 것이 무당집 남자가 지향해야 할 최고 가치였던 시절이 있었고, 신청과 재인청에서의 조직적인 연희 훈련이 나중 판소리 연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었으며, 관민에게 연희를 팔 경우 재인광대들의 집단조직이 상당히 유기적으로 대응했고, 그들은 나름의 권익을 위해 조직적으로 활동했다. 판소리 광대들의 출신과 무속적 연희 훈련, 무속집단의 조직적 활동 등을 통해 볼 때 그들의 무속 취향은 판소리에 상당 부분 수용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판단된다. 판소리 음악 속에는 무속적인 인자가 내재되어 있다. 굿의 음악인 시나위는 그 음조직과 선율형이 판소리에서 불려지는 계면조와 상당히 흡사한데, 육자배기토리의 시나위권 음악은 판소리의 음조직이나 장단, 성음과 목구성 등과 유사한 측면이 많다. 판소리 사설 속에는 무속적인 의식이 잠재되어 있다. 비념이나 고사 등의 소재적 차원을 넘어 사설의 언어적 표현 방식 내지는 담화 방식의 측면에서 보면, 신의 근원내력이라든지 우주의 근원내력이라든지 하는 근원내력과 비슷한 내력 사설이 판소리에 많고, 근원내력과 비슷한 성질의 노정기도 판소리의 담화 방식의 하나이다. 사물 나열의 담화 방식은 근본적으로 굿의 담화적 기반이라 할 수 있는데, 판소리 사설의 많은 부분이 바로 사물들을 병렬적으로 되풀이하는 담화 방식인 것이다. 판소리 연행 방식 또한 굿의 연행 체계와 비슷하다. 무당이 굿을 주재할 때 발생하는 여러 연행적 맥락들은 판소리에서도 흡사하게 나타난다. 그것은 연행자의 동작이나 표정과 같은 행위적인 맥락은 물론이고 반주 악기들이 갖는 연행과의 관계적 맥락, 연행자와 청관중과의 소통적 맥락, 연행 중에 연행자와 청관중 사이에서 일어나는 정서 또는 감정의 움직임의 맥락 등이다. 유학의 영향 하에서 형성된 전통미학적 패러다임은 아정함을 지향하는 것인데, 판소리에서는 이러한 아정한 미학적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판소리에 내재되어 있는 무절제한 격동성, 일탈적인 엇지름, 자유자재의 응변성 등의 자질들은 무속적 사유체계에서 전입된 미학적 자질들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판소리의 미학적 성격은 복합적이라고 보아야 한다. 절제 속에서 무절제를 지향하는 속성이 있고, 규범 속의 일탈을 지향하는 속성도 있으며, 규격 내지 정형 속에서 무정형과 응변을 지향하는 속성도 들어 있는 것이다. 무속적 사유체계는 판소리의 미학적 성격을 형성하는 데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나아가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금, "흥푸리 사설" 한국무속학회 (20) : 337-354, 2010

      2 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413, 1957

      3 사진실, "한국연극사 연구" 태학사 1-465, 1997

      4 이두현, "한국무속과 연희" 서울대출판부 1-466, 1996

      5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551, 1961

      6 鄭忠權, "판소리의 巫歌系 辭說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7 김현주, "판소리에서 감각 패턴의 연행적 기능과 의미" 판소리학회 (24) : 77-108, 2007

      8 배연형, "판소리 路程記와 燕行使 燕行日記 -19세기 판소리 公演市場의 一面-" 판소리학회 (28) : 103-136, 2009

      9 김현주, "판소리 창자의 거리조정방식과 그 기능적 의미" 5 : 123-148, 1994

      10 이국자, "판소리 예술미학" 나남 1-337, 1989

      1 이영금, "흥푸리 사설" 한국무속학회 (20) : 337-354, 2010

      2 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413, 1957

      3 사진실, "한국연극사 연구" 태학사 1-465, 1997

      4 이두현, "한국무속과 연희" 서울대출판부 1-466, 1996

      5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551, 1961

      6 鄭忠權, "판소리의 巫歌系 辭說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7 김현주, "판소리에서 감각 패턴의 연행적 기능과 의미" 판소리학회 (24) : 77-108, 2007

      8 배연형, "판소리 路程記와 燕行使 燕行日記 -19세기 판소리 公演市場의 一面-" 판소리학회 (28) : 103-136, 2009

      9 김현주, "판소리 창자의 거리조정방식과 그 기능적 의미" 5 : 123-148, 1994

      10 이국자, "판소리 예술미학" 나남 1-337, 1989

      11 이보형, "판소리 공연문화의 변동이 판소리에 끼친 영향" 7 : 261-319,

      12 김혜정, "판소리 계면조의 일시적 변조 및 변청 연구" 한국국악학회 52 : 39-62, 2012

      13 이보형, "창우집단의 광대소리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83-111, 1990

      14 M.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1-615, 1996

      15 이영금, "조선 후기 전주 재인청 무부들의 판소리 활동 - 전주 재인청과 전주 아전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3 (53): 97-126, 2012

      16 박경신, "일반무가의 작시방법" 3 : 45-64, 1996

      17 김혜정, "육자백이 토리의 장르별 변조`변청 양상 연구-민요, 잡가, 무가, 판소리의 비교를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9) : 29-57, 2003

      18 서정민, "육자배기토리권 무가와 판소리의 진양조 비교 연구" 우리춤연구소 5 (5): 119-157, 2009

      19 김진영, "심청전" 박이정 1-309, 1997

      20 이보형, "시나위권의 무속음악" 4 (4): 79-86, 1971

      21 이보형, "송기덕의 육자배기 음반 연구" (14) : 3-14, 2004

      22 이지영, "무가 路程記와 판소리 노정기의 영향관계에 대한 再論" 한국어문학회 (117) : 153-177, 2012

      23 金憲宣, "京畿道 都堂굿 巫歌의 現地 연구"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2

      24 조춘영, "『성무애락론』과 『악기』의 논의를 통해 본 풍물굿 악기 성음의 미학" 한국음악사학회 (43) : 239-268, 2009

      25 김종철, "19세기 충청도 광대 도중(都中)의 존재와 그 권익 활동" 판소리학회 (36) : 119-163,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