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소한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조업 위주의 수출을 통한 성장전략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제조업 부분에서 연구개발 투자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고민과 노력이 필요한 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99181
2014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893-904(12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협소한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조업 위주의 수출을 통한 성장전략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제조업 부분에서 연구개발 투자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고민과 노력이 필요한 시...
협소한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조업 위주의 수출을 통한 성장전략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제조업 부분에서 연구개발 투자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고민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제조산업의 연구개발 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통계청에서 발표한 「기업활동조사」자료를 기반으로 제조업 6,054개 업체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변수는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IT·자동차 산업은 제조 산업체의 25.6%, 제조 산업 연구개발비 총액의 75.8%를 점유한다. 둘째, 특허 소유는 주요 산업에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최근 지식재산권의 창출과 권리화 정도가 기업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연구개발비는 매출액 및 특허 보유 건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허 보유 건수는 매출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status of R&D investment and managerial performance related to the domestic manufactur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 have regression analyzed 6,054 companies based on the data of ‘Business Activ...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status of R&D investment and managerial performance related to the domestic manufactur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 have regression analyzed 6,054 companies based on the data of ‘Business Activity Survey’ disclosed by Statistics Korea.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ctronics, IT, and auto industry account for 25.6% of the country’s manufacturing companies and take up 75.8% of the total R&D funding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Second, R&D funding exercises positive influence on sales and the number of registered patents, which last exerts positive influence on sal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한국GDP구성의 특징과 과제" 14 (14): 1-5, 2014
2 김건식, "한국 제조업에서 혁신활동과 재무적 성과 간의 인과경로: 혁신성과 및 운영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17 (17): 146-173, 2014
3 김인성, "이노비즈기업의 연구개발투자와 기술혁신능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업교육학회 27 (27): 137-160, 2013
4 이경민,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연구개발(R&D)투자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0 (10): 81-100, 2007
5 윤병섭, "연구개발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2010년 한국 R&D Scoreboard"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4 (14): 109-131, 2011
6 김선구, "연구개발비 투자가 기업성과에 미친 다기간 효과 분석" 대한회계학회 12 (12): 1-31, 2007
7 특허청, "손쉬운 지식재산권의 이용"
8 박찬수, "선진기업의 R&D 경영 유형과 시사점" (210) : 1-22, 2008
9 신혁승, "산업 내 소수기업에 의한 R&D 집중 현상과 기업성과" 8 (8): 1-21, 2008
10 박차철, "부산지역의 특허활동에 대한 분석" 17 (17): 19-28, 2012
1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한국GDP구성의 특징과 과제" 14 (14): 1-5, 2014
2 김건식, "한국 제조업에서 혁신활동과 재무적 성과 간의 인과경로: 혁신성과 및 운영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17 (17): 146-173, 2014
3 김인성, "이노비즈기업의 연구개발투자와 기술혁신능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업교육학회 27 (27): 137-160, 2013
4 이경민,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연구개발(R&D)투자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0 (10): 81-100, 2007
5 윤병섭, "연구개발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2010년 한국 R&D Scoreboard"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4 (14): 109-131, 2011
6 김선구, "연구개발비 투자가 기업성과에 미친 다기간 효과 분석" 대한회계학회 12 (12): 1-31, 2007
7 특허청, "손쉬운 지식재산권의 이용"
8 박찬수, "선진기업의 R&D 경영 유형과 시사점" (210) : 1-22, 2008
9 신혁승, "산업 내 소수기업에 의한 R&D 집중 현상과 기업성과" 8 (8): 1-21, 2008
10 박차철, "부산지역의 특허활동에 대한 분석" 17 (17): 19-28, 2012
11 장성원, "미래산업을 바꿀 7대 파괴적 혁신기술" (894) : 1-22, 2013
12 김선재, "뉴 노멀 시대하 한국기업의 R&D투자가 산업간 기술파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90-399, 2013
13 박재민, "기업의 혁신 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39-350, 2011
14 "www.wikipedia.org"
15 "www.kip.go.kr"
16 "www.kifcon.or.kr"
17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6/23/2014062303602.html"
18 이학식, "SPSS 20.0 매뉴얼" 집현재 2013
19 B. Branch,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y and Profitability: A Distributed Lag Analysis" 999-1011, 1974
20 이성화, "R&D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사업화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술경영경제학회 20 (20): 263-294, 2012
21 장성근, "R&D투자, 기술경영능력, 기업성과간의 관계" 한국경영학회 38 (38): 105-132, 2009
22 Z. Griliches, "Patent Statistics as Economic Indicators : A Survey" 28 : 1661-1707, 1990
Organizational Justice as the Antecedent of Career Satisfaction
Using Outcome-based Evaluation to Assess the Impact of a Museum-based Program
초등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