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연예술 디지털관람에서 직접관람으로 전환하는 영향요인 분석 = An Analysis on the Impact Factors for Switching from Digital to On-Site in the Performing Arts: Focusing on the Push-Pull-Mooring Frame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12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디지털을 통한 공연관람이 본격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에 주목하며 디지털관람자가 디지털관람에서 직접관람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영향요인에 대해 클래식과 대중음악 간 차이를 ...

      본 연구는 디지털을 통한 공연관람이 본격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에 주목하며 디지털관람자가 디지털관람에서 직접관람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영향요인에 대해 클래식과 대중음악 간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전환 관계를 확인하는 데 유용한 Push-Pull-Mooring(PPM)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디지털에서 오프라인으로 밀어내는 Push 요인은 낮은 만족감과 낮은 즐거움, 디지털에서 오프라인으로 유인하는 Pull 요인은 대안 매력도와 주관적 규범, 개인적·사회적 영향인 Mooring 요인은 다양성 추구와 과거 전환 경험으로 구성하여 장르 간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Pull 요인과 Mooring 요인은 디지털에서 오프라인으로 관람 방식을 전환하고자 하는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장르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클래식은 대안 매력도, 과거 전환 경험이, 대중음악은 대안 매력도, 주관적 규범, 다양성 추구가 On-Offline 간 전환의도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환과정에서 Mooring 요인의 조절효과도 장르 간 차이를 나타냈다. 다양성 추구와 과거 전환 경험은 대중음악 집단에서 Pull 요인과 전환의도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것으로 나타나며 관람 방식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디지털관람과 직접관람 간 전환 관계를 새로운 이론적틀을 기반으로 장르 간 차이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공연예술 산업의 발전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imed to identify what the impact factors are that drive digital viewers to want to switch from digital viewing to direct viewing and how that differs between classical music and popular music by monitoring the increasing digital perfor...

      This thesis is aimed to identify what the impact factors are that drive digital viewers to want to switch from digital viewing to direct viewing and how that differs between classical music and popular music by monitoring the increasing digital performance viewing phenomenon. A multi-group analysis between genres was conducted based on the Push-Pull-Mooring(PPM) framework: Push factors that push from digital to On-site consisted of Low Satisfaction and Low Enjoyment; Pull factors that attract On-site from digital consisted of Alternative Attractiveness and Subjective Norms; the Mooring factor, which is a personal and social influence, is composed of the Need for Variety and Prior Switching Experience. Firstl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Pull factor and the Mooring factor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switch the viewing method from digital to On-site with differences depending on genres. It was confirmed that classical music had Alternative Attractiveness and Prior Switching Experience whereas popular music had Alternative Attractiveness, Subjective Norms, and Need for Variety as impact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witching intention between on-offline. Secondl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ooring factor in the switching process also showed differences between genres. With the popular music group, the Need for Variety and Prior Switching Experience were foun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ll factor and the switching intention, therefore confirming that these we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switching of viewing method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nticipated to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s the switching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and On-site is presented based on a new theoretical framewor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III. 연구 방법
      • IV. 결과
      • V. 논의점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III. 연구 방법
      • IV. 결과
      • V. 논의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