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회의 경제적 양극화 문제 해소를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ll of Church in Resolving the economic Polarization of the korean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430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body could deny that the economical polarization is the most urgent issue in our society. It was the pending issue in the past 18th presidential election and is also one of the crucial government goals of Park administration. The polarization problem is important task and challenge for the korean church, because it has obviously social responsibility. At the same time participation and roll of church for resolving the polarization is also crucial to the society itself. As the polarization is the problem of total society, the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of each social sectors is indispensible. In general the polarization appears as collapse of middle class, gap of industrial continuity and increase of social vulnerable class. Especially the statistics coming from "Gini coefficient" and "income-magnification" manifests the polarization more objectively and factually. These can be considered as fundamental causes of the polarization: policies of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From policies of the Neoliberlaism the flexibility of labor market is a such policy that affects directly the polarization, which comes into appearance where the dismissal of laborer is legally ensured and irregular workers are increased. As a result the middle class is decreased, the polarization is more and more accelerated. The globalization is the process in which the Neoloberalism has been spreaded world widely. The FTA that demands in core the liberalization of import and banking brings about fatal damages to some domestic businesses, and they consequently would come to be taken off from the market. First, the value of humanity indicates the most important direction in efforts resolving the polarization.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law of the jungle is the rule of animal world; they can not be the law of human world. The man who was created from the image of God is the being that has reason and will different from the animal. He is able to open the way to co-existence and equality not to auto-destruction and co-destruction. The society is not the world of animals but the world of human beings. Second, the polarization problem has to be resolved on the basis of commonality-value. Where the Neoliberalism is spreaded, there emerge monopolistic markets, non free markets. So the truly free market is possible only there where the commonality-value is dominating; it is realized in regulations for life and co-existence. The market was for the commonality from its birth, and it will be so continually. From that reason the legal protect of byway commercial sphere becomes important. Third, the polarization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view of solidarity, not of charity. The christian ethics grasps the solidarity as contract one. It is very well-known fact that the social insurance of German as the first social insurance in the world is dependent of the christian idea and value of solidarity. And it demands, first of all,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unemployment insurance.
      번역하기

      Nobody could deny that the economical polarization is the most urgent issue in our society. It was the pending issue in the past 18th presidential election and is also one of the crucial government goals of Park administration. The polarization proble...

      Nobody could deny that the economical polarization is the most urgent issue in our society. It was the pending issue in the past 18th presidential election and is also one of the crucial government goals of Park administration. The polarization problem is important task and challenge for the korean church, because it has obviously social responsibility. At the same time participation and roll of church for resolving the polarization is also crucial to the society itself. As the polarization is the problem of total society, the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of each social sectors is indispensible. In general the polarization appears as collapse of middle class, gap of industrial continuity and increase of social vulnerable class. Especially the statistics coming from "Gini coefficient" and "income-magnification" manifests the polarization more objectively and factually. These can be considered as fundamental causes of the polarization: policies of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From policies of the Neoliberlaism the flexibility of labor market is a such policy that affects directly the polarization, which comes into appearance where the dismissal of laborer is legally ensured and irregular workers are increased. As a result the middle class is decreased, the polarization is more and more accelerated. The globalization is the process in which the Neoloberalism has been spreaded world widely. The FTA that demands in core the liberalization of import and banking brings about fatal damages to some domestic businesses, and they consequently would come to be taken off from the market. First, the value of humanity indicates the most important direction in efforts resolving the polarization.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law of the jungle is the rule of animal world; they can not be the law of human world. The man who was created from the image of God is the being that has reason and will different from the animal. He is able to open the way to co-existence and equality not to auto-destruction and co-destruction. The society is not the world of animals but the world of human beings. Second, the polarization problem has to be resolved on the basis of commonality-value. Where the Neoliberalism is spreaded, there emerge monopolistic markets, non free markets. So the truly free market is possible only there where the commonality-value is dominating; it is realized in regulations for life and co-existence. The market was for the commonality from its birth, and it will be so continually. From that reason the legal protect of byway commercial sphere becomes important. Third, the polarization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view of solidarity, not of charity. The christian ethics grasps the solidarity as contract one. It is very well-known fact that the social insurance of German as the first social insurance in the world is dependent of the christian idea and value of solidarity. And it demands, first of all,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unemployment insur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 우리사회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서 ‘사회 양극화’ 문제가 꼽히고 있다는 점을 부인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양극화문제는 지난 18대 대선에서 매우 중요한 현안이었으며, 현재 박근혜 정부의 중요한 국정목표 가운데 하나이다. 양극화 문제는 한국교회에게도 중요한 과제이며 도전이다. 왜냐하면 교회는 사회적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양극화 해소를 위한 교회의 참여와 역할은 사회에게도 중요하다. 양극화 문제는 사회 전체의 문제이기에 따라서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사회 각 부분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양극화는 일반적으로 “중간층의 붕괴, 경제 부문 간 산업 연관의 단절, 사회적 배제층의 증대”라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지니계수”와 “소득 5분위 배율”이라는 통계는 양극화 현상을 보다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무엇보다 신자유주의 정책과 글로벌화를 들 수 있다. 신자유주의적 정책들 가운데 양극화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동시장의 유연화이다. 이것은 노동자에 대한 해고를 법적으로 명문화하고 비정규직을 확대하는 곳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노동시장 유연화는 노동시장에서 비정규직을 확대재생산함으로써 결국 근로자들과 자영업자들의 소득을 하락시킨다. 그 결과 중산층은 서서히 줄기 시작해서 양극화를 가속시킬 수밖에 없다. 글로벌화는 신자유주의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이다. 글로벌화의 제도적 산물로서 FTA는 수입 자유화와 금융 자유화를 핵심으로 하는데, 그 결과 경쟁력이 취약한 국내 산업은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고 결국 시장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서 수출 부문과 내수 부문 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중산층의 몰락을 더욱 가속화시켜 소득 양극화를 고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양극화 해소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핵심적인 가치를 제시한다. 첫째, 인간성의 가치는 파멸적인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방향을 제시해준다. 약육강식과 적자생존은 동물의 법칙이지 인간사회의 법칙이 아니다. 신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은 동물과는 달리 이성과 의지를 지닌 존재이다. 토의와 합의를 통해서 자멸과 공멸의 길이 아닌 상생과 평등의 길을 열수 있다. 인간이 모여 사는 사회는 동물의 세계가 아니라 인간의 세계이다. 둘째, 양극화 문제는 공동체성의 가치 위에서 해결되어야 한다. 신자유주의가 확산되는 곳에는 자유로운 시장이 아닌 독점적인 시장만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진정 자유로운 시장은 오로지 공동체성의 가치가 지배하는 곳에서만 가능하다. 그것은 생명을 위한, 상생을 위한 규제에서 실현된다. 따라서 규제는 시장에서 개인과 기업의 자유와 창의성을 억누르는 족쇄가 아니라 자멸과 공멸을 막아주는 최소한의 제동장치이다. 시장은 그 탄생부터 사회공동체를 위한 것이었으며, 계속 그렇게 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골목상권의 보호는 매우 중요하다. 셋째, 양극화 문제는 시혜의 관점이 아니라 연대성의 관점에서 접근되고 해결되어야 한다. 기독교윤리는 연대성을 계약적 연대성으로 파악한다. 세계최초의 사회보험 제도로 인정받고 있는 독일의 사회보험이 기독교적 연대성 이념과 가치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연대성의 가치는 양극화 해소를 위해 무엇보다 고용보험의 확대와 강화를 요구한다.
      번역하기

      지금 우리사회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서 ‘사회 양극화’ 문제가 꼽히고 있다는 점을 부인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양극화문제는 지난 18대 대선에서 매우 중요한 현안이었으며, 현재 박...

      지금 우리사회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서 ‘사회 양극화’ 문제가 꼽히고 있다는 점을 부인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양극화문제는 지난 18대 대선에서 매우 중요한 현안이었으며, 현재 박근혜 정부의 중요한 국정목표 가운데 하나이다. 양극화 문제는 한국교회에게도 중요한 과제이며 도전이다. 왜냐하면 교회는 사회적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양극화 해소를 위한 교회의 참여와 역할은 사회에게도 중요하다. 양극화 문제는 사회 전체의 문제이기에 따라서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사회 각 부분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양극화는 일반적으로 “중간층의 붕괴, 경제 부문 간 산업 연관의 단절, 사회적 배제층의 증대”라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지니계수”와 “소득 5분위 배율”이라는 통계는 양극화 현상을 보다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무엇보다 신자유주의 정책과 글로벌화를 들 수 있다. 신자유주의적 정책들 가운데 양극화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동시장의 유연화이다. 이것은 노동자에 대한 해고를 법적으로 명문화하고 비정규직을 확대하는 곳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노동시장 유연화는 노동시장에서 비정규직을 확대재생산함으로써 결국 근로자들과 자영업자들의 소득을 하락시킨다. 그 결과 중산층은 서서히 줄기 시작해서 양극화를 가속시킬 수밖에 없다. 글로벌화는 신자유주의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이다. 글로벌화의 제도적 산물로서 FTA는 수입 자유화와 금융 자유화를 핵심으로 하는데, 그 결과 경쟁력이 취약한 국내 산업은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고 결국 시장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서 수출 부문과 내수 부문 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중산층의 몰락을 더욱 가속화시켜 소득 양극화를 고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양극화 해소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핵심적인 가치를 제시한다. 첫째, 인간성의 가치는 파멸적인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방향을 제시해준다. 약육강식과 적자생존은 동물의 법칙이지 인간사회의 법칙이 아니다. 신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은 동물과는 달리 이성과 의지를 지닌 존재이다. 토의와 합의를 통해서 자멸과 공멸의 길이 아닌 상생과 평등의 길을 열수 있다. 인간이 모여 사는 사회는 동물의 세계가 아니라 인간의 세계이다. 둘째, 양극화 문제는 공동체성의 가치 위에서 해결되어야 한다. 신자유주의가 확산되는 곳에는 자유로운 시장이 아닌 독점적인 시장만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진정 자유로운 시장은 오로지 공동체성의 가치가 지배하는 곳에서만 가능하다. 그것은 생명을 위한, 상생을 위한 규제에서 실현된다. 따라서 규제는 시장에서 개인과 기업의 자유와 창의성을 억누르는 족쇄가 아니라 자멸과 공멸을 막아주는 최소한의 제동장치이다. 시장은 그 탄생부터 사회공동체를 위한 것이었으며, 계속 그렇게 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골목상권의 보호는 매우 중요하다. 셋째, 양극화 문제는 시혜의 관점이 아니라 연대성의 관점에서 접근되고 해결되어야 한다. 기독교윤리는 연대성을 계약적 연대성으로 파악한다. 세계최초의 사회보험 제도로 인정받고 있는 독일의 사회보험이 기독교적 연대성 이념과 가치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연대성의 가치는 양극화 해소를 위해 무엇보다 고용보험의 확대와 강화를 요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훈태, "「‘2010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교적 의미" 생명과 말씀 4 : 51 ~ 78, 2010

      2 김문조, "한국사회의 양극화 : 97년 외환위기와 사회불편등" 집문당, 2008

      3 신호균, "한국교회의 양극화 현실과 실천적인 해소방안에 관한 탐색적 접근" 로고스경영연구 5 (1) : 1 ~ 19, 2007

      4 김형기, "한국경제 제3의 길" 한울, 2006

      5 정종성, "하나님 나라의 양극화 해소" 기독신학저널 15 : 129 ~ 155, 2008

      6 정한울, "최우선 국정과제 : 양극화 해소 37.4 , 경제성장 20.8" 동아시아연구원, 2010

      7 Stegemann, E, "초기 그리스도교의 사회사" 동연, 2009

      8 이재규, "지식사회" 한경제신문사, 2009

      9 Walterstorff, N, "정의와 평화가 입 맞출 때까지" IVP, 2007

      10 Sandel, M,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2010

      1 장훈태, "「‘2010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교적 의미" 생명과 말씀 4 : 51 ~ 78, 2010

      2 김문조, "한국사회의 양극화 : 97년 외환위기와 사회불편등" 집문당, 2008

      3 신호균, "한국교회의 양극화 현실과 실천적인 해소방안에 관한 탐색적 접근" 로고스경영연구 5 (1) : 1 ~ 19, 2007

      4 김형기, "한국경제 제3의 길" 한울, 2006

      5 정종성, "하나님 나라의 양극화 해소" 기독신학저널 15 : 129 ~ 155, 2008

      6 정한울, "최우선 국정과제 : 양극화 해소 37.4 , 경제성장 20.8" 동아시아연구원, 2010

      7 Stegemann, E, "초기 그리스도교의 사회사" 동연, 2009

      8 이재규, "지식사회" 한경제신문사, 2009

      9 Walterstorff, N, "정의와 평화가 입 맞출 때까지" IVP, 2007

      10 Sandel, M,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2010

      11 Naohiko, J, "인간회복의 경제학" 북포스, 2002

      12 김병권, "이명박 정부 경제정책 전망 : 신자유주의·시장지상주의가 핵심기조 : 기업·성장 우선, 양극화 해소 가능할까" 민족21 : 94 ~ 97, 2008

      13 김용조, "위기이후 한국경제의 이해" 새미, 2005

      14 Bonhoeffer, D, "옥중서신" 대한기독교서회, 1998

      15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양극화문제 해소방안 연구 요약보고서. 2006" 2007

      16 윤철원, "양극화 해소와 성서신학의 대안 모색" 基督敎社會福祉 (15) : 10 ~ 19, 2006

      17 윤진호, "양극화 해소를 위한 경제정책: 금융, 노동시장, 부동산, 지역" 한울, 2006

      18 대통령자문 양극화ㆍ민생대책위원회, "양극화 해소 및 민생안정 종합계획 수립(안)" 대통령자문 양극화ㆍ민생대책위원회. 내용구분 보도자료, 2007

      19 Ulrich, P, "신자유주의시대 경제윤리" 바이북스, 2010

      20 유경준, "소득양극화 해소를 위하여" 한국개발연구원, 2012

      21 이관직, "생명과 말씀 5권" 생명과 말씀 : 179 ~ 215, 2012

      22 김선빈, "상생의 경제학" 삼성경제연구소 : 33 ~, 2009

      23 Rawls, J, "사회정의론" 서광사, 1985

      24 최재천,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산지니, 2008

      25 김광기, "사회는 무엇으로 사는가?" 김영사, 2007

      26 김순환,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성찬 신학적 고찰과 제언" 신학과 실천 (11) : 41 ~ 69, 2006

      27 정상훈, "막스 베버의 개신교 윤리를 통한 한국교회 양극화 문제 해소 방안 연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8

      28 김정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 해소 방안에 대한 고찰 : 대기업 S사와 중소기업 C사의 실례를 통하여" 인천대 경영대학원 : 35 ~ 67, 2011

      29 이승길, "노동시장의 양극화 해소를 위한 대응방안" 산업연구원, 2006

      30 황종률, "노동시장 유연화와 양극화" 일자리정책 (5) : 21 ~ 50, 2010

      31 안계정, "기독교와 정의" 한국학술정보, 2013

      32 이대성, "교회내에서의 양극화 해소 극복 방안" 침례신학대학교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33 이신열, "공정한 한국사회를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 칼빈의 견해를 중심으로" 개혁주의이론과 실천 2 : 65 ~ 95, 2011

      34 Yuichi, S, "경제와 윤리" 필맥, 2006

      35 강신욱, "경제ㆍ사회적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과제 : 총괄보고서 : 경제ㆍ사회 양극화의 현황과 대응 방안(3차년도)" 2009

      36 신규섭, "‘근혜노믹스’ 입체 분석: 양극화 해소·경제 민주화가 ‘두 기둥’" 한경비즈니스 : 16 ~ 17, 2013

      37 "http://www.newspim.com/api/portal.jsp?newsId=20130524000262"

      38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4935475&cp=nv"

      39 Thielicke, H, "Theologische Ethik. Bd. III" JCB Mohr, 1964

      40 Thielicke, H, "Theologische Ethik Bd. II/2" JCB Mohr, 1958

      41 Nozick, R. Anarchy, "State and Utopia" Basic Books, 1974

      42 Moltmann, J, "Politische Theologie Politische Ethik" Grünewald, 1984

      43 Kant, I,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Suhrkamp, 1974

      44 Körtner, U, "Evangleische Sozialethik" V&R, 1999

      45 Thielicke, H, "Der evangelische Glaube. Bd. II" JCB Mohr, 1973

      46 Thielicke, H, "Der evangelische Glaube. Bd. I" JCB Mohr, 1968

      47 Thielicke, H, "Der evangelische Glaube Bd. III" JCB Mohr,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