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촉법소년 연령 정책에 관한 정책분석과 시사점 연구 -Kingdon의 정책 흐름 모형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licy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Age Policy for Law-intruding Juveniles- Focusing on the Model of Kingdon’s Policy Stream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22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teenagers aged 10 to 14 are required to receive protective measures instead of criminal punishment even if they commit a crime. Recently, cases in which teenagers who abused it intentionally provoked by committing illegal acts have been reported in the media, causing social resentment, etc it has been consistently argued that have to lower age group of Law-intruding juveniles.
      However, most academic experts argue that age adjustment for punishment can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and civic groups are also opposed to age adjustment for juvenile offenders. Therefore, even if previous governments made policy decisions to adjust the age of young people, things that could not be implemented have been repea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decis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right policy by analyzing the decision process of Law-intruding juveniles age group adjustment policy in the past gover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implications by analyzing factors such as policy problem recognition, alternative flow, and political flow over time by using Kingdon's policy stream theory that policy decisions have a certain flow.
      There is a limit to the study that research on Law-intruding juveniles can be somewhat boring as a subject that has been continuously dealt with for a long time.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repeated a Law-intruding juveniles policy for young people in accordance with policy theory to find the cause of not being able to present an alternative to policy for a long tim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olicy establishment.
      번역하기

      Currently, teenagers aged 10 to 14 are required to receive protective measures instead of criminal punishment even if they commit a crime. Recently, cases in which teenagers who abused it intentionally provoked by committing illegal acts have been rep...

      Currently, teenagers aged 10 to 14 are required to receive protective measures instead of criminal punishment even if they commit a crime. Recently, cases in which teenagers who abused it intentionally provoked by committing illegal acts have been reported in the media, causing social resentment, etc it has been consistently argued that have to lower age group of Law-intruding juveniles.
      However, most academic experts argue that age adjustment for punishment can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and civic groups are also opposed to age adjustment for juvenile offenders. Therefore, even if previous governments made policy decisions to adjust the age of young people, things that could not be implemented have been repea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decis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right policy by analyzing the decision process of Law-intruding juveniles age group adjustment policy in the past gover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implications by analyzing factors such as policy problem recognition, alternative flow, and political flow over time by using Kingdon's policy stream theory that policy decisions have a certain flow.
      There is a limit to the study that research on Law-intruding juveniles can be somewhat boring as a subject that has been continuously dealt with for a long time.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repeated a Law-intruding juveniles policy for young people in accordance with policy theory to find the cause of not being able to present an alternative to policy for a long tim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olicy establish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회, "회의록"

      2 김두상 ; 박상식, "형사처벌 대상자의 연령인하와 치유사법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24 (24): 1-20, 2016

      3 김혁, "형사책임연령과 소년법 개정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1 (21): 257-286, 2019

      4 이덕인,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형사미성년과 촉법소년을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3 (23): 5-40, 2012

      5 최영훈 ; 하영채, "형사미성년자 상한연령 하향에 관한 이론 모형 :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안전 범죄정보학회 7 (7): 195-209, 2021

      6 박지혜 ; 이수정, "형사미성년자 기준연령 하한에 대한 고찰" 아시아교정포럼 16 (16): 221-251, 2022

      7 하권삼 ; 양문승, "현행 소년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경찰학연구소 13 (13): 281-311, 2018

      8 점승헌, "촉법소년의 연령 하향"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10 (10): 345-367, 2022

      9 정책브리핑, "청소년 폭력은 예방하고 재발은 막는다. “정부 합동 「학교 안팎 청소년 폭력 예방 대책」 마련”"

      10 이인영, "청소년 뇌과학 연구가 미국의 소년사법에 미친 영향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16 (16): 433-455, 2015

      1 국회, "회의록"

      2 김두상 ; 박상식, "형사처벌 대상자의 연령인하와 치유사법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24 (24): 1-20, 2016

      3 김혁, "형사책임연령과 소년법 개정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1 (21): 257-286, 2019

      4 이덕인,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형사미성년과 촉법소년을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3 (23): 5-40, 2012

      5 최영훈 ; 하영채, "형사미성년자 상한연령 하향에 관한 이론 모형 :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안전 범죄정보학회 7 (7): 195-209, 2021

      6 박지혜 ; 이수정, "형사미성년자 기준연령 하한에 대한 고찰" 아시아교정포럼 16 (16): 221-251, 2022

      7 하권삼 ; 양문승, "현행 소년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경찰학연구소 13 (13): 281-311, 2018

      8 점승헌, "촉법소년의 연령 하향"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10 (10): 345-367, 2022

      9 정책브리핑, "청소년 폭력은 예방하고 재발은 막는다. “정부 합동 「학교 안팎 청소년 폭력 예방 대책」 마련”"

      10 이인영, "청소년 뇌과학 연구가 미국의 소년사법에 미친 영향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16 (16): 433-455, 2015

      11 박찬걸, "제20대 국회에 제출된 소년법 개정법률안에 대한 검토 - 제재강화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학회 32 (32): 149-178, 2020

      12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19

      13 이제광 ; 이상원, "일본의 형사 미성년자제도에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학회 16 (16): 191-216, 2019

      14 이현정, "인권위 “형사미성년자 연령 13세 하향, 바람직하지 않아”"

      15 국회 입법조사처, "이슈와 논점, 제2020호"

      16 강욱, "실종자 수색용 드론 개발 결정에 대한 연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보안관리학회 9-32, 2017

      17 정신교 ; 차시환, "소년의 형사책임연령에 대한 재검토" 법학연구소 22 (22): 203-228, 2014

      18 주호노, "소년의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형사책임능력을 중심으로 -" 법조협회 59 (59): 41-76, 2010

      19 박영규, "소년의 형사연령에 관한 고찰" 한국소년정책학회 29 (29): 97-123, 2016

      20 문희태 ; 류병관, "소년의 연령과 형사책임능력에 관한 고찰 - 최근 일본의 논의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소년정책학회 30 (30): 73-103, 2017

      21 박영규, "소년법상의 소년연령에 관한 고찰" 한국소년정책학회 28 (28): 97-126, 2015

      22 박영규, "소년법상 소년형사사건의 특례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정포럼 8 (8): 163-188, 2014

      23 손동권, "소년법상 범죄소년에 대한 특수처우의 내용과 그 개선방향" 한국소년정책학회 26 : 147-176, 2014

      24 홍성삼, "소년법 폐지론 문제점과 대안 연구" 한국경찰학회 22 (22): 249-272, 2020

      25 윤태현, "소년범죄의 흐름과 특성 검토를 통한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 한국소년정책학회 30 (30): 63-96, 2017

      26 김봉수, "소년범죄의 최근 동향과 대책" 법학연구소 33 (33): 173-197, 2013

      27 박상식, "소년범의 연령하향과 처벌강화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25 (25): 99-125, 2017

      28 법무부, "보도자료 “소년범죄 종합대책 마련”"

      29 법무부, "보도자료 “2019~2023 제1차 소년비행예방 기본계획 수립 :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 지원을 위한 청사진 제시”"

      30 정책브리핑, "법무부, ‘촉법소년 연령 13세로 하향’ 개정안 입법예고"

      31 박상완, "드라마 <소년심판>에 나타난 치료적 사법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드라마학회 (67) : 99-144, 2022

      32 김강현, "교화와 처벌의 정책 딜레마 : 촉법소년제도의 분석" 국회입법조사처 14 (14): 179-208, 2022

      33 김봉수 ; 추봉조, "경찰의 청소년 선도 및 보호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비교법문화연구소 21 (21): 69-100, 2021

      34 오영근, "개정소년법의 과제와 전망"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19 (19): 5-24, 2008

      35 이진만 ; 전영상, "Kingdon의 정책의 창(Policy Window) 모형을 적용한 한국콘텐츠진흥원 설립과정"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9 (19): 283-305, 2009

      36 Kingdon, J. W., "Agendas,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Pearson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