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좌주간부 관동맥 중재술에 있어 선택된 환자에서 시행된요골동맥을 이용한 중재술의 유용성 = The Clinical Feasibility of Transradial Coronary Intervention in Selective Patients Undergoing Left Main Coronary Interv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88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transradial approach has been increasingly us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transfemoral intervention. However, there is little data on the efficacy of transradial coronary intervention (TRI)in left main coronary arterial (LMCA)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RI inselective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for LMCA disease. Subjects and Methods:Between Jan 2003 and May 2005, 83 patients with LMCA stenosis were treated with PCI. Of these, 40 selectedpatients having undergone TRI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The patients included 30 males and 10 females,with a mean age of 61±12 years. There were 28 cases (70%) involving coronary arteries other than theLMCA and 24 cases (60%) with bifurcation lesion involvement. In 28 cases (70%), a 6 Fr sized guiding catheterwas used. No case required crossover from TRI to TFI due to procedural failure. During hospitalization, 2 patientswho underwent primary PCI in the setting of STEMI died, but there were no other clinical events. Conclusion:In selected patients with LMCA disease, TRI can be a feasible and safe approach for PCI. (Korean Circulation J2006;36:732-736)
      번역하기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transradial approach has been increasingly us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transfemoral intervention. However, there is little data on the efficacy of transradial coronary intervention (TRI)in left main coronary a...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transradial approach has been increasingly us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transfemoral intervention. However, there is little data on the efficacy of transradial coronary intervention (TRI)in left main coronary arterial (LMCA)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RI inselective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for LMCA disease. Subjects and Methods:Between Jan 2003 and May 2005, 83 patients with LMCA stenosis were treated with PCI. Of these, 40 selectedpatients having undergone TRI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The patients included 30 males and 10 females,with a mean age of 61±12 years. There were 28 cases (70%) involving coronary arteries other than theLMCA and 24 cases (60%) with bifurcation lesion involvement. In 28 cases (70%), a 6 Fr sized guiding catheterwas used. No case required crossover from TRI to TFI due to procedural failure. During hospitalization, 2 patientswho underwent primary PCI in the setting of STEMI died, but there were no other clinical events. Conclusion:In selected patients with LMCA disease, TRI can be a feasible and safe approach for PCI. (Korean Circulation J2006;36:732-736)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요골 동맥을 이용한 관동맥 중재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방법으로서 시행 빈도가 증가되어 왔다. 그러나, 이를 통한 좌주간부 관동맥 중재술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선택된 환자에서 요골 동맥을 이용한 좌주간부 관동맥 중재술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방 법:2003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에서 좌주간부 관동맥 협착증으로 중재술을 시행 받은 83명의 환자 중 대퇴 동맥을 이용하여 중재술을 시행한 43명을 제외한 후, 요골 동맥을 이용하여 중재술을 시행 받은 40명의 선택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의 평균 나이는 61±12세였으며, 남자가 30명이었다. 대상 환자의 관동맥 조영술 결과, 좌주간부 동맥 이외의 혈관에 협착이 동반된 경우가 28예(70%)였고, 분지 병변이
      있었던 경우가 24예(60%)였다. 사용된 유도관 크기는 6 Fr가
      28예(70%)로 가장 많았다. 요골 동맥을 통한 중재술을 시도
      한 환자 중 중재술 도중 여의치 않아 대퇴 동맥을 재천자한 경
      우는 없었다. 전체 대상 환자 중 2명의 환자가 입원 도중 사
      망하였고, 이 외의 환자에서 입원기간 중 주요 심장 합병증은
      발생되지 않았다.
      결 론:
      복잡한 시술이 필요하지 않은 선택된 환자의 경우, 요골 동
      맥을 이용한 좌주간부 관동맥 중재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배경 및 목적:요골 동맥을 이용한 관동맥 중재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방법으로서 시행 빈도가 증가되어 왔다. 그러나, 이를 통한 좌주간부 관동맥 중재술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었다. 본 ...

      배경 및 목적:요골 동맥을 이용한 관동맥 중재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방법으로서 시행 빈도가 증가되어 왔다. 그러나, 이를 통한 좌주간부 관동맥 중재술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선택된 환자에서 요골 동맥을 이용한 좌주간부 관동맥 중재술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방 법:2003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에서 좌주간부 관동맥 협착증으로 중재술을 시행 받은 83명의 환자 중 대퇴 동맥을 이용하여 중재술을 시행한 43명을 제외한 후, 요골 동맥을 이용하여 중재술을 시행 받은 40명의 선택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의 평균 나이는 61±12세였으며, 남자가 30명이었다. 대상 환자의 관동맥 조영술 결과, 좌주간부 동맥 이외의 혈관에 협착이 동반된 경우가 28예(70%)였고, 분지 병변이
      있었던 경우가 24예(60%)였다. 사용된 유도관 크기는 6 Fr가
      28예(70%)로 가장 많았다. 요골 동맥을 통한 중재술을 시도
      한 환자 중 중재술 도중 여의치 않아 대퇴 동맥을 재천자한 경
      우는 없었다. 전체 대상 환자 중 2명의 환자가 입원 도중 사
      망하였고, 이 외의 환자에서 입원기간 중 주요 심장 합병증은
      발생되지 않았다.
      결 론:
      복잡한 시술이 필요하지 않은 선택된 환자의 경우, 요골 동
      맥을 이용한 좌주간부 관동맥 중재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ransradialcoronary angiography and angioplasty in Chinese patients" 40 : 159-163, 1997

      2 "Transradial interventions in coronaryartery disease:comparison with transfemoral interventions" 28 : 1941-1952, 1998

      3 "Transradial artery coronaryangioplasty" 129 : 1-7, 1995

      4 "Transradial approach forcoronary angioplasty in the setting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a dual center registry" 55 : 206-211, 2002

      5 "Trans-radial coronary stentingin two hospital:comparison with trans-femoral approach" 30 : 827-832, 2000

      6 "Stenting in acute coronarysyndromes a comparison of radial vs" 32 : 572-576, 1998

      7 "Safety of transradial coronaryintervention with early discharge in selected patients" 31 : 1013-1018, 2001

      8 "Safety of one-day admissiontransradial coronary intervention" 34 : 647-654, 2004

      9 "Radialversus femoral approach for percutaneous coronary diagnosticand interventional procedures:systemiatic overview and metaanalysisof randomized trial" 44 : 349-356, 2004

      10 "Percutaneous radial artery approach for coronaryaniography" 16 : 3-7, 1989

      1 "Transradialcoronary angiography and angioplasty in Chinese patients" 40 : 159-163, 1997

      2 "Transradial interventions in coronaryartery disease:comparison with transfemoral interventions" 28 : 1941-1952, 1998

      3 "Transradial artery coronaryangioplasty" 129 : 1-7, 1995

      4 "Transradial approach forcoronary angioplasty in the setting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a dual center registry" 55 : 206-211, 2002

      5 "Trans-radial coronary stentingin two hospital:comparison with trans-femoral approach" 30 : 827-832, 2000

      6 "Stenting in acute coronarysyndromes a comparison of radial vs" 32 : 572-576, 1998

      7 "Safety of transradial coronaryintervention with early discharge in selected patients" 31 : 1013-1018, 2001

      8 "Safety of one-day admissiontransradial coronary intervention" 34 : 647-654, 2004

      9 "Radialversus femoral approach for percutaneous coronary diagnosticand interventional procedures:systemiatic overview and metaanalysisof randomized trial" 44 : 349-356, 2004

      10 "Percutaneous radial artery approach for coronaryaniography" 16 : 3-7, 1989

      11 "Mini-invasive strategy in acute coronary syndromes:directcoronary stenting using 5 Fr guiding catheters and trans-radialapproach" 55 : 340-343, 2002

      12 "Direct coronarystenting by transradial approach:rationale and technical issues" 63 : 215-219, 2004

      13 "Comparison of the radialand femoral approaches in left main percutaneous coronaryintervention:a retrospective study" 7 : 93-96, Intervent2005

      14 "Comparative study on transradialapproach vs transfemoral approach in primary stent implantationfor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sultsof the test for myocardial infarction by prospective unicenterrandomization for access sites(TEMPURA) trial" 59 : 26-33, 2003

      15 "Anatomical consideration of theradial artery for transradial coronary procedures:arterial diameter,branching anomaly and vessel tortuosity" 101 : 421-427, 2005

      16 "A randomized trial of 5 vs.6 French trans-radial percutaneouscoronary interventions" 57 : 172-176, 2002

      17 "A randomized comparison of percutaneous transluminalcoronary angioplasty by the radial, brachial and femoral approaches:the access study" 29 : 1269-1275,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순환기학회 -> 대한심장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ircul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ardiolog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8-02 학술지등록 한글명 : Korean Circulation Journal
      외국어명 : Korean Circulation Journal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0.34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36 0.5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