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육상부원이 생각하고 표현하는 육상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을 분석을 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청운초등학교 4-6학년 육상부(남학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544262
인천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체육교육 전공 , 2009. 2
2009
한국어
인천
ⅱ, 59 p. ; 26cm
지도교수:이재용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육상부원이 생각하고 표현하는 육상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을 분석을 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청운초등학교 4-6학년 육상부(남학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육상부원이 생각하고 표현하는 육상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을 분석을 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청운초등학교 4-6학년 육상부(남학생 7명, 여학생 7명) 14명을 선정하였다.
참여 관찰, 면담 및 수업 소감문 작성을 통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해석은 자료의 정리, 자료의 정독, 범주의 개발, 범주 자료의 재배치, 범주 체계의 개발과 범주의 목록 작성 단계를 거쳤다. 지속적 관찰, 동료참고인 선정, 부정적 사례 분석, 연구 참여자 확인과 삼각검증을 통해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였다. 초등학교 육상부원이 경험한 육상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을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었다.
첫째, 새로운 개념의 육상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육상부원의 반응은 ‘재미 만끽’, ‘훈련 공감’, ‘활동 이해’, ‘놀이 애착’, ‘실천 의지’ 및 ‘고강도 훈련 기피’로 대변되는 6가지 주제로 나타낼 수 있었다.
둘째, 육상부원이 재미를 만끽하게 되는 이유는 이 프로그램에서 ‘새로운 놀이’, ‘피로도 잊게 하는 놀이’를 하게하고, ‘세심한 장비 고안’과 ‘창의적 시도’를 권장하는 지도교사의 노력과 관계가 있었다.
셋째, 육상부원이 재미있게 참여하며, 훈련에 공감하고 지속적으로 체력 단련을 시키려는 실천 의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elementary school track & field athletes' perceptions of the track & field training program. Fourteen track & field athletes (7 boys and 7 girl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elementary school track & field athletes' perceptions of the track & field training program. Fourteen track & field athletes (7 boys and 7 girl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Participant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 analysis were used for the data collection. The data included video files, audio taped files of the interviews, observation checklists, and lesson plan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cesses of "organizing data", "careful reading of the data", "developing category", "relocation of categorized data", "developing categorization system", and "writing the lists of categorization". To achieve the trustworthiness of the data, prolonged and consistent observations, triangulation, peer debriefing, negative analysis, and member checks were used. The perceptions of the track & field athletes were as follows.
First, the track & field athletes' responses to the innovative track & field training program were classified into the six categories: "full of fun", "training sympathy", "understanding training activity", "attached to play", "practice will" and "avoidance of high intensity training".
Second, the athletes could experience full of fun because they could enjoy "whole new different game" and "tireless play" and because the teacher made an effort to provide the ingenuous equipments and to encourage "creative attempts".
Third, the practices of making the track & field athletes participate in the program more enjoyably, having sympathy with goal of the training, and making them fitness training enthusiasts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