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물질적 기억과 사진-사진의 연금술적 기원과 기억의 물질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28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at approaching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phase of photographic medial operation in between Korean modernity and Chinese cultural tradition of literati paintings, which is able to be carried through extending the medial potentiality of photography into materiality. Photography is usually misunderstood or very narrowly understood as a mere visual medium and s visual sign in a modern point of view. But there had been so many alchemic practices by so many eastern and western alchemists during very long time before the inven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Therefore photography has its prehistoric material layers in its own potential-actual power. And the universality of experiences of alchemic material practices for ages makes the so-called "old" Chinese literati paintings and "modern" photographs meet in a certain a-historical correspondency. The point of unexpectable meeting of them is alchemic materiality and meterial memory.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at approaching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phase of photographic medial operation in between Korean modernity and Chinese cultural tradition of literati paintings, which is able to be carried through extending the medial potential...

      This research aims at approaching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phase of photographic medial operation in between Korean modernity and Chinese cultural tradition of literati paintings, which is able to be carried through extending the medial potentiality of photography into materiality. Photography is usually misunderstood or very narrowly understood as a mere visual medium and s visual sign in a modern point of view. But there had been so many alchemic practices by so many eastern and western alchemists during very long time before the inven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Therefore photography has its prehistoric material layers in its own potential-actual power. And the universality of experiences of alchemic material practices for ages makes the so-called "old" Chinese literati paintings and "modern" photographs meet in a certain a-historical correspondency. The point of unexpectable meeting of them is alchemic materiality and meterial mem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장치의 범용화는 사진을 탈물질화(정보이미지화)함으로써 미디어 유저들의 임의적 사진 조작과 유희적 실천, 디지털이미지 아카이빙을 통한 예술적 실천 등을 가능케 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근대 이전 동서양에서 실행되었던 연금술적 실천의 물질적 상상력과 수행에 잇닿아 있는 사진 발명의 풍부한 기원에 대한 망각을 촉진하면서 사진은 더 이상 새롭지 않은, 진부한, 죽은 매체인 것처럼 간주되는 현상을 수반하고 있다. 그러나 매체의 새로움은 기술적 진보 및 정치-자본-지식 권력과 대중 간의 합의에 의해서 선형적으로 주어지는 것이라기보다, 매체와의 실천에 참여하는 수행자가 언제나 매체를 경유하는 물질적 얽힘에 대해 성찰하고 매체의 가능한 잠재성을 물질화하는 재발명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우리에게 제시될 수 있다. 새로운 매체 대 낡은 매체, 과거 대 현재의 이분법에서 비껴날 때, 사진과의 새로운 마주침이 가능할 수 있다.
      번역하기

      디지털 장치의 범용화는 사진을 탈물질화(정보이미지화)함으로써 미디어 유저들의 임의적 사진 조작과 유희적 실천, 디지털이미지 아카이빙을 통한 예술적 실천 등을 가능케 했다. 하지만 ...

      디지털 장치의 범용화는 사진을 탈물질화(정보이미지화)함으로써 미디어 유저들의 임의적 사진 조작과 유희적 실천, 디지털이미지 아카이빙을 통한 예술적 실천 등을 가능케 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근대 이전 동서양에서 실행되었던 연금술적 실천의 물질적 상상력과 수행에 잇닿아 있는 사진 발명의 풍부한 기원에 대한 망각을 촉진하면서 사진은 더 이상 새롭지 않은, 진부한, 죽은 매체인 것처럼 간주되는 현상을 수반하고 있다. 그러나 매체의 새로움은 기술적 진보 및 정치-자본-지식 권력과 대중 간의 합의에 의해서 선형적으로 주어지는 것이라기보다, 매체와의 실천에 참여하는 수행자가 언제나 매체를 경유하는 물질적 얽힘에 대해 성찰하고 매체의 가능한 잠재성을 물질화하는 재발명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우리에게 제시될 수 있다. 새로운 매체 대 낡은 매체, 과거 대 현재의 이분법에서 비껴날 때, 사진과의 새로운 마주침이 가능할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