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수성, "초기 부적응 도식, 정서조절곤란, 그리고 SNS 중독의 관계" 한국감성과학회 20 (20): 33-44, 2017
2 김효정, "청소년의 불안정 애착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역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51-659, 2018
3 최선우, "청소년의 부모와의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2 (12): 365-383, 2015
4 이현덕, "중학생의 애착과 인터넷 중독성향간의 관계: 외로움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71-294, 2011
5 이윤미, "중학생의 부모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59) : 55-79, 2019
6 김종운,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와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055-1076, 2016
7 이연정, "아동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의견 조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54 (54): 556-563, 2015
8 민윤기,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정보 민감성의 차이"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787-794, 2011
9 김교헌,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사회과학연구소 27 (27): 131-154, 2016
10 최윤영, "불안전 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충동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749-772, 2015
1 김수성, "초기 부적응 도식, 정서조절곤란, 그리고 SNS 중독의 관계" 한국감성과학회 20 (20): 33-44, 2017
2 김효정, "청소년의 불안정 애착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역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51-659, 2018
3 최선우, "청소년의 부모와의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2 (12): 365-383, 2015
4 이현덕, "중학생의 애착과 인터넷 중독성향간의 관계: 외로움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71-294, 2011
5 이윤미, "중학생의 부모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59) : 55-79, 2019
6 김종운,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와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055-1076, 2016
7 이연정, "아동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의견 조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54 (54): 556-563, 2015
8 민윤기,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정보 민감성의 차이"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787-794, 2011
9 김교헌,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사회과학연구소 27 (27): 131-154, 2016
10 최윤영, "불안전 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충동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749-772, 2015
11 김효정, "불안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외로움과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157-179, 2016
12 민윤기, "대학생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 자기 효능감의 차이"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163-171, 2011
13 김보성, "대학생들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차이"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1611-1619, 2016
14 이지은, "대학생들의 성인 불안정애착과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229-237, 2019
15 제현채, "내현적 자기애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477-489, 2014
16 정병완,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부부공감과 결혼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183-201, 2015
17 강선희,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05-723, 2002
18 이계정, "내현적 자기애 성격성향과 인터넷 보상경험이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55-70, 2007
19 장혜진, "기술중독에 빠진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휴대폰 사용 중독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839-852, 2006
20 박진희, "기독청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과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학문연구회 18 (18): 141-164, 2013
21 Kohut, H., "The restoration of the self"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977
22 Mannion, K., "The effect of smartphones on anxiety: An attachment issue or fear of missing out?" 2018
23 Hwang, K. O.,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tyle, 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Wonkwang University 2001
24 Nadeem, M., "The Impa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Self-Control, Impulsivity and Narcissism among University Students" 2019
25 Lee, Y. C., "The Effects of the adult attachment and covert narcissism on smart-phone addiction i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371-372, 2019
26 Ihm, J., "Social implications of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The role of support networks and social engagement" 7 (7): 473-481, 2018
27 Kuss, D. J.,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8 (8): 3528-3552, 2011
28 Konok, V., "Humans' attachment to their mobile phones and its relationship with interpersonal attachment style" 61 : 537-547, 2016
29 Kim, B.,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level on regulation ability of learning motivation in college students" 1 (1): 25-29, 2017
30 Kang, D.,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smartphone addiction" 32-, 2017
31 Kemberg, O. F.,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Jason Aronson 1975
32 Zapf, J. L., "Attachment styles and male sex addiction" 1 (1): 158-175, 2008
33 Brennan, K. A.,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 Guilford Press 46-76, 1998
34 Flores, P., "Addiction as an attachment disorder" Jason Aronson Inc 2004
35 Gallup, "2012-2018 smartphone usage, Available from Gallup Korea Daily Opinion Database" Gall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