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망 높이의 차이가 초래한 감각적 간섭이 시각단기기억 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Sensory Interference Arising from View-Height Differences on Visual Short-Term Memory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98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wering observers’ view-height may increase the amount of occlusion across objects in a visual scene and prevent the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objects in the scene. Based on this possibility, memory stimuli in relation to their expected views from different heights were displayed in this study. Thereafter, visual short-term memory (VSTM) performance for the stimuli was measured. In Experiment 1, the memory stimuli were presented on a grid-background drawn according to linear perspectives, which varied across observers’ three different view-heights (high, middle, and low). This allowed the participants to remember both the color and position of each memory stimulus. The results revealed that testing participants’ VSTM performance for the stimuli under a different memory load of two set-sizes (3 vs. 6) demonstrated an evident drop of performance in the lowest view-height condition. In Experiment 2, the performance for six stimuli with or without the grid-background was tested. A similar pattern of performance drop in the lowest condition as in Experiment 1 was foun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t view-heights of an observer can change the amount of occlusion across objects in the visual field, and the sensory interference driven by the occlusion may further influence VSTM performance for those objects.
      번역하기

      Lowering observers’ view-height may increase the amount of occlusion across objects in a visual scene and prevent the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objects in the scene. Based on this possibility, memory stimuli in relation to their expected views ...

      Lowering observers’ view-height may increase the amount of occlusion across objects in a visual scene and prevent the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objects in the scene. Based on this possibility, memory stimuli in relation to their expected views from different heights were displayed in this study. Thereafter, visual short-term memory (VSTM) performance for the stimuli was measured. In Experiment 1, the memory stimuli were presented on a grid-background drawn according to linear perspectives, which varied across observers’ three different view-heights (high, middle, and low). This allowed the participants to remember both the color and position of each memory stimulus. The results revealed that testing participants’ VSTM performance for the stimuli under a different memory load of two set-sizes (3 vs. 6) demonstrated an evident drop of performance in the lowest view-height condition. In Experiment 2, the performance for six stimuli with or without the grid-background was tested. A similar pattern of performance drop in the lowest condition as in Experiment 1 was foun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t view-heights of an observer can change the amount of occlusion across objects in the visual field, and the sensory interference driven by the occlusion may further influence VSTM performance for those ob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관찰자의 조망 높이의 감소는 시각장면 내의 사물들 간 중첩의 증가를 초래해 해당 사물들의 정체 파악을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능성에 기초해 조망 높이를 달리한 시야 상에 기억이 요구되는 자극들을 제시하고 해당 자극에 대한 시각단기기억 수행을 조사했다. 실험 1에서는 관찰자의 조망 높이(고, 중, 저) 차이를 반영한 격자무늬 배경과 기억 자극을 구성해 해당 자극들의 위치와 색상을 파지하는 단기기억 과제가 실시되었다. 기억 자극의 개수 증감(3 vs. 6)을 통해 기억부담의 수준을 달리해 가면서 기억 수행을 조사한 결과, 조망 높이가 가장 낮은 경우 기억부담의 증가에 따른 기억수행의 저하가 가장 분명한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 2에서는 선형조망을 제공하는 격자무늬 배경의 유무에 따른 기억 수행을 관찰한 결과 실험 1과 동일하게 조망 높이가 가장 낮은 경우 수행이 역시 저하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망 높이의 차이가 시야 상의 사물들 간 중첩 단서량의 변화 를 초래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변화가 초래하는 감각적 간섭이 시각단기기억 수행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관찰자의 조망 높이의 감소는 시각장면 내의 사물들 간 중첩의 증가를 초래해 해당 사물들의 정체 파악을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능성에 기초해 조망 높이를 달리...

      관찰자의 조망 높이의 감소는 시각장면 내의 사물들 간 중첩의 증가를 초래해 해당 사물들의 정체 파악을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능성에 기초해 조망 높이를 달리한 시야 상에 기억이 요구되는 자극들을 제시하고 해당 자극에 대한 시각단기기억 수행을 조사했다. 실험 1에서는 관찰자의 조망 높이(고, 중, 저) 차이를 반영한 격자무늬 배경과 기억 자극을 구성해 해당 자극들의 위치와 색상을 파지하는 단기기억 과제가 실시되었다. 기억 자극의 개수 증감(3 vs. 6)을 통해 기억부담의 수준을 달리해 가면서 기억 수행을 조사한 결과, 조망 높이가 가장 낮은 경우 기억부담의 증가에 따른 기억수행의 저하가 가장 분명한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 2에서는 선형조망을 제공하는 격자무늬 배경의 유무에 따른 기억 수행을 관찰한 결과 실험 1과 동일하게 조망 높이가 가장 낮은 경우 수행이 역시 저하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망 높이의 차이가 시야 상의 사물들 간 중첩 단서량의 변화 를 초래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변화가 초래하는 감각적 간섭이 시각단기기억 수행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지은, "얼굴표정의 긍정적 정서에 의한 시각작업기억 향상 효과" 한국감성과학회 14 (14): 605-616, 2011

      2 Hyun, J. -S., "Visual working memory as the substrate for mental rotation" 14 (14): 154-158, 2007

      3 Vogel, E. K., "The time course of consolidation in visual working memory" 32 (32): 1436-1451, 2006

      4 Brainard, D. H., "The psychophysics toolbox" 10 : 433-436, 1997

      5 Gibson, J. J.,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Houghton Mifflin 1979

      6 Luck, S. J., "The capacity of visual working memory for features and conjunctions" 390 : 279-281, 1997

      7 Alvarez, G. A., "The capacity of visual short-term memory is set both by information load and by number of objects" 15 (15): 106-111, 2004

      8 Vogel, E. K., "Storage of features, conjunctions and objects in visual working memory" 27 (27): 92-114, 2001

      9 Mon-Williams, M., "Some recent studies on the extraretinal contribution to distance perception" 28 : 167-181, 1999

      10 Goldstein, E. B., "Sensation and Perception" Cengage Learning 2017

      1 한지은, "얼굴표정의 긍정적 정서에 의한 시각작업기억 향상 효과" 한국감성과학회 14 (14): 605-616, 2011

      2 Hyun, J. -S., "Visual working memory as the substrate for mental rotation" 14 (14): 154-158, 2007

      3 Vogel, E. K., "The time course of consolidation in visual working memory" 32 (32): 1436-1451, 2006

      4 Brainard, D. H., "The psychophysics toolbox" 10 : 433-436, 1997

      5 Gibson, J. J.,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Houghton Mifflin 1979

      6 Luck, S. J., "The capacity of visual working memory for features and conjunctions" 390 : 279-281, 1997

      7 Alvarez, G. A., "The capacity of visual short-term memory is set both by information load and by number of objects" 15 (15): 106-111, 2004

      8 Vogel, E. K., "Storage of features, conjunctions and objects in visual working memory" 27 (27): 92-114, 2001

      9 Mon-Williams, M., "Some recent studies on the extraretinal contribution to distance perception" 28 : 167-181, 1999

      10 Goldstein, E. B., "Sensation and Perception" Cengage Learning 2017

      11 Goldstein, E. B., "Pictorial perception and art" Blackwell 2001

      12 Kaufman, L., "Perceptual distance and the constancy of size and steroscopic depth" 19 (19): 439-457, 2006

      13 Flock, H., "Optical texture and linear perspective as stimuli for slant perception" 72 (72): 505-514, 1965

      14 Mitroff, S. R., "Nothing compares 2 views: change blindness can occur despite preserved access to the changed information" 66 : 1268-1281, 2004

      15 Smith, L. B., "Not your mother's view: the dynamics of toddler visual experience" 14 (14): 9-17, 2011

      16 Twedt, E., "Memory for target height is scaled to observer height" 40 : 339-351, 2012

      17 Clearfield, M. W., "Learning by looking: Infants' social looking behavior across the transition from crawling to walking" 100 : 297-307, 2008

      18 Julesz, B., "Foundation of cyclopean percep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1

      19 Pashler, H., "Familiarity and visual change detection" 44 (44): 369-378, 1988

      20 Linke, A. C., "Encoding strategy accounts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change detection measures of VSTM" 49 (49): 1476-1486, 2011

      21 Bridgeman, B., "Effect of eye height on estimated slopes of hills" 44 (44): 755-763, 2015

      22 Kretch, K. S., "Crawling and walking infants see the world differently" 85 (85): 1503-1518, 2014

      23 Fernandez-Duque, D., "Change detection without awareness: Do explicit reports underestimate the representation of change in the visual system?" 7 (7): 323-344, 2000

      24 Rensink, R. A., "Change detection" 53 : 245-277, 2002

      25 Simons, D. J., "Change blindness: Past, present, and future" 9 (9): 16-20,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2 0.77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