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택견 품밟기의 운동학적 접근 = The Kinesiological approach of Taekkyeon poombarbg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88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value of martial arts movement as poombarbgi approach to kinesiological tactility, a unique gesture of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Taekkyeon. The poombarbgi can be divided into two steps: ogeumgil is rhythm of the third beat, rhythmic bending of the knee, and step of moving the foot in a triangular shape. Here, the ogeumgil quality is a method of manifesting the force by us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and the rhythm of the 3-piece rhythm is a method of mak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force become the sole by relaxing the tension of the upper body. Also, the step that moves the foot to the triangle is a method of training how to move the body to the actual competition field by using the hypotenuse of the triangle. Using your reaction force by you lower your weight, using the hypotenuse of a triangle, we can see it in Chinese and Japanese martial artsUse your reaction force by you lower your weight, using the hypotenuse of a triangle, Poobarbgi that Coexist with elements that exert their power and use that power effectively, was a highly martial performing metho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value of martial arts movement as poombarbgi approach to kinesiological tactility, a unique gesture of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Taekkyeon. The poombarbgi can be divided into two steps: ogeumgil is rhythm of the third beat...

      This study examines the value of martial arts movement as poombarbgi approach to kinesiological tactility, a unique gesture of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Taekkyeon. The poombarbgi can be divided into two steps: ogeumgil is rhythm of the third beat, rhythmic bending of the knee, and step of moving the foot in a triangular shape. Here, the ogeumgil quality is a method of manifesting the force by us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and the rhythm of the 3-piece rhythm is a method of mak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force become the sole by relaxing the tension of the upper body. Also, the step that moves the foot to the triangle is a method of training how to move the body to the actual competition field by using the hypotenuse of the triangle. Using your reaction force by you lower your weight, using the hypotenuse of a triangle, we can see it in Chinese and Japanese martial artsUse your reaction force by you lower your weight, using the hypotenuse of a triangle, Poobarbgi that Coexist with elements that exert their power and use that power effectively, was a highly martial performing meth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품밟기는 한국의 전통무예인 택견을 다른 지역의 무예들과 구분할 수 있는 독특한 움직임이며, 이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포괄적인 운동학적 관점으로 품밟기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택견의 품밟기를 운동학적 관점으로 품밟기가 가지는 무예 동작으로서의 가치를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품밟기는 3박자의 리듬을 사용하여 무릎을 리드미컬하게 구부리는 오금질과 삼각형 모양으로 발을 움직이는 스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오금질은 결국 지면반력을 사용하여 힘을 발현하는 방법이며, 3박지의 리듬은 상체의 긴장을 완화하게 하여 힘의 시작점을 발바닥으로 만들게 하는 방법이다. 또한 삼각형으로 발을 움직이는 스텝은 삼각형의 빗변을 이용하는 몸놀림으로 실제 겨루는 현장에 맞게 몸을 움직이는 방법에 대한 수련법인 것이다. 자신의 몸무게를 낮추어 지면 반력을 사용하는 것이나 삼각형의 빗변을 사용하는 방법은 중국이나 일본의 무예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나, 힘을 발휘하고 그 힘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요소가 함께 공존하는 품밟기는 완성도 높은 무예적 수행 방법이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품밟기는 한국의 전통무예인 택견을 다른 지역의 무예들과 구분할 수 있는 독특한 움직임이며, 이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포괄적인 운동학적 관점으로 품밟기에 대한 연구는...

      품밟기는 한국의 전통무예인 택견을 다른 지역의 무예들과 구분할 수 있는 독특한 움직임이며, 이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포괄적인 운동학적 관점으로 품밟기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택견의 품밟기를 운동학적 관점으로 품밟기가 가지는 무예 동작으로서의 가치를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품밟기는 3박자의 리듬을 사용하여 무릎을 리드미컬하게 구부리는 오금질과 삼각형 모양으로 발을 움직이는 스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오금질은 결국 지면반력을 사용하여 힘을 발현하는 방법이며, 3박지의 리듬은 상체의 긴장을 완화하게 하여 힘의 시작점을 발바닥으로 만들게 하는 방법이다. 또한 삼각형으로 발을 움직이는 스텝은 삼각형의 빗변을 이용하는 몸놀림으로 실제 겨루는 현장에 맞게 몸을 움직이는 방법에 대한 수련법인 것이다. 자신의 몸무게를 낮추어 지면 반력을 사용하는 것이나 삼각형의 빗변을 사용하는 방법은 중국이나 일본의 무예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나, 힘을 발휘하고 그 힘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요소가 함께 공존하는 품밟기는 완성도 높은 무예적 수행 방법이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복, "한국무예 택견" 학민사 1990

      2 이선행, "품밟기․활갯짓을 통한 택견철학 연구" 1 (1): 71-120, 2007

      3 김영만, "품밟기 동작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9 (19): 231-240, 2010

      4 전락준, "품밝기의 원형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0

      5 김신택, "택견의 실제와 원리 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0

      6 심성섭, "택견의 동작원리에 대한 운동역학적 접근"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175-1184, 2009

      7 정경화, "택견원론" 보경문화사 2004

      8 김영만, "택견(태껸) 단체의 품밟기 원리에 관한 연구" 대한무도학회 16 (16): 29-41, 2014

      9 김영만, "택견(태껸) 단체의 품밟기 동선과 용어에 관한 연구" 대한무도학회 16 (16): 1-13, 2014

      10 오성근, "택견 품밟기 유형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과 지면반력 차이 분석" 한국운동역학회 20 (20): 57-65, 2010

      1 이용복, "한국무예 택견" 학민사 1990

      2 이선행, "품밟기․활갯짓을 통한 택견철학 연구" 1 (1): 71-120, 2007

      3 김영만, "품밟기 동작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9 (19): 231-240, 2010

      4 전락준, "품밝기의 원형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0

      5 김신택, "택견의 실제와 원리 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0

      6 심성섭, "택견의 동작원리에 대한 운동역학적 접근"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175-1184, 2009

      7 정경화, "택견원론" 보경문화사 2004

      8 김영만, "택견(태껸) 단체의 품밟기 원리에 관한 연구" 대한무도학회 16 (16): 29-41, 2014

      9 김영만, "택견(태껸) 단체의 품밟기 동선과 용어에 관한 연구" 대한무도학회 16 (16): 1-13, 2014

      10 오성근, "택견 품밟기 유형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과 지면반력 차이 분석" 한국운동역학회 20 (20): 57-65, 2010

      11 장경태, "택견 품밟기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8 (8): 173-188, 2006

      12 정만영, "택견 전수단체의 현황과 기예의 비교" 1 (1): 71-101, 2007

      13 오장환, "택견 전수교본" 영언문화사 1991

      14 박종관, "택견" 서림문화사 1995

      15 이용복, "택견" 대원사 1995

      16 松田隆智, "쿵후․중국권법 螳螂拳敎本" 일신서적공사 1984

      17 이성우, "최신 유도 기법" 서림문화사 1993

      18 이우진, "중국권법 쿵-후 敎本" 내외출판사 1985

      19 정재성, "전통무예로서 택견의 특성"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6

      20 도기현, "우리무예 택견" 동재 2007

      21 박상혁, "송덕기의 택견 기술과 구한말 경기규칙에 대한 고찰"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4

      22 안재식, "답지저앙(踏地低昻) 수족상응(手足相應)으로 표현되는 택견 동작의 형태 연구 -대한택견연맹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11, 2015

      23 中山正敏, "空手道全書 2" 서림문화사 1995

      24 康戈武, "中國武術實用大全" 今日中國出版社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