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가 한국 썰매종목 발전에 미친 영향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494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가 스켈레톤, 봅슬레이 종목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해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스켈레톤과 봅슬레이와 관련된 문헌들을 분석함과 더불어 종목의 발전과정에 대해 객관적 진술을 해줄 수 있는 대상자들에 대하여 선수군, 지도자군, 행정가군, 전문가군으로 나누어 총 6명을 선정하였고, 이들에 대한 인터뷰 내용이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가 스켈레톤, 봅슬레이 종목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노력에 일환으로 스켈레톤, 봅슬레이 실업팀 창단과 실업팀 선수 증원, 국가대표선수 증원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그 결과 선수인원 부족 때문에 겪던 어려움이 해소되며 이는 경기력 발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둘째, IOC실사단의 동계올림픽 개최지 점검을 앞두고, 훈련시설에 대한 어필을 위해 슬라이딩 경기장 건설보다도 앞서 스타트 훈련장을 건설을 하게 되었다. 이는 선수들의 스타트 능력향상과 더불어 선수선발의 과학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셋째, 동계올림픽유치로 인한 국가지원금과 후원업체, 스폰서 증가에 따라 전문 외국인 지도자 영입으로 훈련의 양과 질이 근본적으로 변하게 되었다. 또한 이와 더불어 평창 동계올림픽은 슬라이딩센터 건설, 전국동계체육대회 종목 포함, 한국체육대학교 썰매부 창단 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가 스켈레톤, 봅슬레이 종목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해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스켈레톤과 봅슬레이와 관련된 문헌...

      본 연구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가 스켈레톤, 봅슬레이 종목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해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스켈레톤과 봅슬레이와 관련된 문헌들을 분석함과 더불어 종목의 발전과정에 대해 객관적 진술을 해줄 수 있는 대상자들에 대하여 선수군, 지도자군, 행정가군, 전문가군으로 나누어 총 6명을 선정하였고, 이들에 대한 인터뷰 내용이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가 스켈레톤, 봅슬레이 종목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노력에 일환으로 스켈레톤, 봅슬레이 실업팀 창단과 실업팀 선수 증원, 국가대표선수 증원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그 결과 선수인원 부족 때문에 겪던 어려움이 해소되며 이는 경기력 발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둘째, IOC실사단의 동계올림픽 개최지 점검을 앞두고, 훈련시설에 대한 어필을 위해 슬라이딩 경기장 건설보다도 앞서 스타트 훈련장을 건설을 하게 되었다. 이는 선수들의 스타트 능력향상과 더불어 선수선발의 과학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셋째, 동계올림픽유치로 인한 국가지원금과 후원업체, 스폰서 증가에 따라 전문 외국인 지도자 영입으로 훈련의 양과 질이 근본적으로 변하게 되었다. 또한 이와 더불어 평창 동계올림픽은 슬라이딩센터 건설, 전국동계체육대회 종목 포함, 한국체육대학교 썰매부 창단 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hosting of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ffected the advancement of the skeleton and bobsleigh events. For this, in addition to analyzing literature related to skeleton and bobsleigh, the study selected total 6 persons who can make objective statements on the advancement process of the events from the player group, trainer group, administrator group, and expert group,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ith these people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effects of hosting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on the skeleton and bobsleigh events confirmed through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corporate-sponsored skeleton team and bobsleigh team were founded respectively as an effort to attract the Winter Olympic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rporate-sponsored team players and national team players were achieved, This resolved the difficulty stemmed from the scarcity of players and therefore had a positive effect on advancement in the athletic performance. Second, a training facility specializing in track start was constructed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stadiums in order to draw attention on training facilities before the examination on the winter olympic venue carried out by the IOC survey team. This improved the start ability of players and facilitated the scientification of selecting players. Third, the amount and quality of training fundamentally changed by scouting professional foreign directors as the amount of national aid and sponsors increased as the amount of national aid, and sponsors increased, as a result of hosting the winter olympics. In addition, the winter olympics affected the construction of skeleton and bobsleigh stadiums, inclusion of these events in National Winter Sports Festivals, and the foundation of a sleigh team in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and so on.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hosting of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ffected the advancement of the skeleton and bobsleigh events. For this, in addition to analyzing literature related to skeleton and bobsleigh, the study sele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hosting of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ffected the advancement of the skeleton and bobsleigh events. For this, in addition to analyzing literature related to skeleton and bobsleigh, the study selected total 6 persons who can make objective statements on the advancement process of the events from the player group, trainer group, administrator group, and expert group,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ith these people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effects of hosting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on the skeleton and bobsleigh events confirmed through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corporate-sponsored skeleton team and bobsleigh team were founded respectively as an effort to attract the Winter Olympic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rporate-sponsored team players and national team players were achieved, This resolved the difficulty stemmed from the scarcity of players and therefore had a positive effect on advancement in the athletic performance. Second, a training facility specializing in track start was constructed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stadiums in order to draw attention on training facilities before the examination on the winter olympic venue carried out by the IOC survey team. This improved the start ability of players and facilitated the scientification of selecting players. Third, the amount and quality of training fundamentally changed by scouting professional foreign directors as the amount of national aid and sponsors increased as the amount of national aid, and sponsors increased, as a result of hosting the winter olympics. In addition, the winter olympics affected the construction of skeleton and bobsleigh stadiums, inclusion of these events in National Winter Sports Festivals, and the foundation of a sleigh team in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and so 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I. 서론
      • Ⅱ. 경기력 발전의 기초 토대 제공
      • Ⅲ. 동계올림픽 유치에 따른 부수 효과
      • Abstract
      • 국문초록
      • I. 서론
      • Ⅱ. 경기력 발전의 기초 토대 제공
      • Ⅲ. 동계올림픽 유치에 따른 부수 효과
      • V. 결론 및 제언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세중, "한국 스켈레톤의 경기력 성장 과정 및 배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7 (37): 177-193, 2019

      2 윤대중, "한국 동계스포츠의 발전과정과 전망" 한국체육사학회 20 (20): 55-66, 2015

      3 이세중, "스켈레톤 종목의 국내 도입과정 고찰" 한국체육학회 47 (47): 15-23, 2008

      4 이세중, "봅슬레이의 도입 및 전개과정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48 (48): 25-36, 2009

      5 이세중, "봅슬레이 종목의 경기력 성장 배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2 : 193-204, 2018

      6 이세중, "봅슬레이 선수들의 운동경험과 성장" 한국체육철학회 18 (18): 29-43, 2010

      7 윤대중, "구술로 본 동계체육대회: 발전과정과 향후 과제" 한국체육사학회 18 (18): 1-10, 2013

      8 "https://www.ibsf.org/en/tracks"

      9 "https://www.ibsf.org/en/races-results?season=2016&session=ALL"

      10 "https://www.ibsf.org/en/races-results"

      1 이세중, "한국 스켈레톤의 경기력 성장 과정 및 배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7 (37): 177-193, 2019

      2 윤대중, "한국 동계스포츠의 발전과정과 전망" 한국체육사학회 20 (20): 55-66, 2015

      3 이세중, "스켈레톤 종목의 국내 도입과정 고찰" 한국체육학회 47 (47): 15-23, 2008

      4 이세중, "봅슬레이의 도입 및 전개과정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48 (48): 25-36, 2009

      5 이세중, "봅슬레이 종목의 경기력 성장 배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2 : 193-204, 2018

      6 이세중, "봅슬레이 선수들의 운동경험과 성장" 한국체육철학회 18 (18): 29-43, 2010

      7 윤대중, "구술로 본 동계체육대회: 발전과정과 향후 과제" 한국체육사학회 18 (18): 1-10, 2013

      8 "https://www.ibsf.org/en/tracks"

      9 "https://www.ibsf.org/en/races-results?season=2016&session=ALL"

      10 "https://www.ibsf.org/en/races-results"

      11 "https://www.ibsf.org/en/our-sports/bobsleigh-history"

      12 "https://www.ibsf.org/en/our-sports"

      13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9&aid=0002361431"

      14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 =0003209483"

      15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3&aid=0000550842"

      16 Jo Young hwan, "history of education and science" 2005

      17 Lee Se joong, "Study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keleton in Korea" Yonsei University 2007

      18 Korea Bobsleigh Skeleton Federation, "Report of bobsleigh Skeleton 2020" Korea bobsleigh Skeleton Federation 3-, 2020

      19 Korea Bobsleigh Skeleton Federation, "Report of bobsleigh Skeleton 2018" Korea bobsleigh Skeleton Federation 3-, 2019

      20 Korea Bobsleigh Skeleton Federation, "Report of bobsleigh Skeleton 2017" Korea bobsleigh Skeleton Federation 3-,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