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분자막전해질 연료전지의 열관리 = Thermal Management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930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두 개의 중요 모델은 연료전지 스택 모델과 비정상에서 연료전지의 온도 응답을 조절하는ParametersValueFuel cell length(l)0.196(m)Fuel cell width(w)0.196(m)Catalyst layer thickness(zact)1.2910-5(m)Membrane thickness(tmem)1.0810-4(m) Characteristic length(L)1(mm)Ratio of specific area to char. thickness of electrolyte (d/a) 6.5×10-10(cm2)Fuel cell temperature(TFC) 75(℃)Total pressure (PC, PA)3(atm)Number of cells in FC stack400nH2, nO21.05, 2.0Equivalent weight(Mm)1100(kg/kmol)Dry density of membrane(rdry) 2.0(kg/m3)Charge transfer coefficient(b)1.24냉각계통 모델이다. 연료전지 스택 모델은 다시 전기 화학 반응을 모사하기 위한 군집체에서의 전기화학 반응 모델(agglomerate structured electrochemical reaction model)과, 막 전해질에서의 습증기 수송을 모사하기 위한 습증기 수송 모델(water transport model), 그리고 비정상 온도 응답을 모사하는 열전달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냉각계통은 방열판, 냉각팬, 냉각 펌프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비 정상 상태 온도 응답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공기 공급계, 수소 공급계, 습도 공급계 등은 단순히 필요량을 공급해 줄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Table 1에서는 연료전지 스택의 사양을 찾을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두 개의 중요 모델은 연료전지 스택 모델과 비정상에서 연료전지의 온도 응답을 조절하는ParametersValueFuel cell length(l)0.196(m)Fuel cell width(w)0.196(m)Catalyst layer thickness(zact)1.29...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두 개의 중요 모델은 연료전지 스택 모델과 비정상에서 연료전지의 온도 응답을 조절하는ParametersValueFuel cell length(l)0.196(m)Fuel cell width(w)0.196(m)Catalyst layer thickness(zact)1.2910-5(m)Membrane thickness(tmem)1.0810-4(m) Characteristic length(L)1(mm)Ratio of specific area to char. thickness of electrolyte (d/a) 6.5×10-10(cm2)Fuel cell temperature(TFC) 75(℃)Total pressure (PC, PA)3(atm)Number of cells in FC stack400nH2, nO21.05, 2.0Equivalent weight(Mm)1100(kg/kmol)Dry density of membrane(rdry) 2.0(kg/m3)Charge transfer coefficient(b)1.24냉각계통 모델이다. 연료전지 스택 모델은 다시 전기 화학 반응을 모사하기 위한 군집체에서의 전기화학 반응 모델(agglomerate structured electrochemical reaction model)과, 막 전해질에서의 습증기 수송을 모사하기 위한 습증기 수송 모델(water transport model), 그리고 비정상 온도 응답을 모사하는 열전달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냉각계통은 방열판, 냉각팬, 냉각 펌프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비 정상 상태 온도 응답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공기 공급계, 수소 공급계, 습도 공급계 등은 단순히 필요량을 공급해 줄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Table 1에서는 연료전지 스택의 사양을 찾을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ater and Thermal Management in Solid-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1218-1225, 1993

      2 "Thermal modeling of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2006

      3 "The Properties of Gases & Liquids" McGraw-Hill 611-614, 1989

      4 "The Development of Ford's P2000 Fuel Cell Vehicle" 2000

      5 "Start-up analysis for automotive PEM fuel cell systems" 108 : 41-52, 2002

      6 "PEM Fuel Cell System Solution for Transportation" 2000

      7 "Oxygen and Hydrogen Permeation Properties and Water Uptake of Nafion 117 Membrane and Recast Film for PEM Fuel Cell" 26 : 117-123, 1996

      8 "Numerical Modeling of Cross Flow Compact Heat Exchanger with Louvered Fins using Thermal Resistance Concept" 2006

      9 "Modeling the PEM Fuel Cell Cathode" 27 : 281-289, 1997

      10 "Modeling of Experimental Diagnostics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3513-3526, 1993

      1 "Water and Thermal Management in Solid-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1218-1225, 1993

      2 "Thermal modeling of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2006

      3 "The Properties of Gases & Liquids" McGraw-Hill 611-614, 1989

      4 "The Development of Ford's P2000 Fuel Cell Vehicle" 2000

      5 "Start-up analysis for automotive PEM fuel cell systems" 108 : 41-52, 2002

      6 "PEM Fuel Cell System Solution for Transportation" 2000

      7 "Oxygen and Hydrogen Permeation Properties and Water Uptake of Nafion 117 Membrane and Recast Film for PEM Fuel Cell" 26 : 117-123, 1996

      8 "Numerical Modeling of Cross Flow Compact Heat Exchanger with Louvered Fins using Thermal Resistance Concept" 2006

      9 "Modeling the PEM Fuel Cell Cathode" 27 : 281-289, 1997

      10 "Modeling of Experimental Diagnostics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3513-3526, 1993

      11 "Mathematical Model of a Gas Diffusion Electrode Bonded to a Polymer Electrolyte" 37 : 1151-1163, 1991

      12 "Influence of Fan System Electric Power on the Heat Performance of Engine Cooling Module" 2003

      13 "Fundamentals of Heat and Mass Transfer" JOHN WILEY & SONS 420-450, 1996

      14 "A model predicting transient responses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61 : 183-188, 1996

      15 "A Water and Heat Management Model for Proton-Exchange Membrane Fuel Cells" 2178-2186, 1993

      16 "A Mathematical Model of the Solid-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2477-2491,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8-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3 0.371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