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남한강 하류 북측 수계의 오염부하량 조사 = Investigation of pollution loads on the northern watershed of the lower Namhan-riv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09654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요약문(Summary) = 14
      • 제1장 서론(Introduction)
      • 제1절 사업의 배경(Background) = 57
      • 제2절 조사연구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Necessity and objects) = 58
      • 목차
      • 요약문(Summary) = 14
      • 제1장 서론(Introduction)
      • 제1절 사업의 배경(Background) = 57
      • 제2절 조사연구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Necessity and objects) = 58
      • 제3절 목표 및 내용(Goal and contents) = 60
      • 1. 최종 목표 = 60
      • 2. 당해 연도 목표 = 60
      • 제4절 사업의 주요 내용 및 범위(Main contents and scope) = 62
      • 1. 사업의 주요 내용 = 63
      • 가. 기초 자료 조사 = 63
      • 나. 하천 오염 해석을 위한 수질 조사 = 63
      • (1) 조사개요 = 63
      • (2) 조사지점 = 64
      • (3) 조사시기 = 64
      • 다. 발생 및 배출 오염부하량 산정 = 67
      • (1) 가정하수의 오염부하량 = 67
      • (2) 공장 및 사업장 등의 폐수의 오염 부하량 = 67
      • (3) 가축폐수의 오염 부하량 = 67
      • (4) 면적 오염 부하량 = 68
      • (5) 기타 오염 부하량 = 68
      • 라. 토구 현황 및 하천유입 오염부하량 조사 = 68
      • 마. 한강 유역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사업의 지원 = 68
      • 바. 연구방법 = 69
      • 사. 사업의 평가방법 및 평가항목 = 71
      • 아. 기술개발 추진체계 = 72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Present condition of watershed management technology)
      • 제1절 유역관리(Watershed management) = 75
      • 1. 유역의 정의(Definition of watershed management) = 75
      • 2. 우리나라의 유역관리 단위(Watershed Management Units)(watershed management unit in Korea) = 75
      • 3. 유역관리(watershed management) = 77
      • 가. 유역관리의 정의 = 77
      • 나. 유역관리의 필요성 = 78
      • 다. 유역관리의 원칙 = 79
      • (1) 상·하류간 관계를 정립하는 원칙 = 79
      • (가) 절대적 영토 주권론(The Harmon Doctrine of Absolute Sovereignty) = 79
      • (나) 절대적 연안일체론(The Doctrine of Absolute Riverian Integrity) = 79
      • (다) 제한적 영토 주권론(The Doctrine of Limited Territorial Sovereignty) = 79
      • (라) 유역 공동체론(The Doctrine of the Communality of International Waters) = 80
      • (2) 비용부담의 원칙 = 80
      • (가) 오염자 부담원칙(The Polluter Pays Principle; PPP) = 80
      • (나) 사용자 부담원칙(The User Pays Principle; UPP) = 81
      • 제2절 우리나라의 오염 총량관리제의 현황 및 향후 계획(Total amount of pollutant management system) = 81
      • 1. 오염 총량관리 제도의 개요(background) = 81
      • 가. 오염 총량관리제의 정의 = 81
      • 나. 도입의 필요성 = 81
      • 2. 오염 총량관리제 시행 체계(system) = 81
      • 가. 한강 수계 임의제 총량관리제 = 81
      • 나. 낙동강, 금강, 영산강 특별법안의 의무제 오염 총량관리제 = 82
      • 3. 그간의 오염 총량관리제 도입 추진 현황(Present condition) = 84
      • 가. 한강 수계 = 84
      • 나. 낙동강 수계 = 84
      • 다. 영산강, 금강 수계 = 84
      • 4. 향후 추진 계획(Future Plan) = 85
      • 가. 공통 사항 = 85
      • 나. 한강 수계 = 85
      • 다. 낙동강, 금강 영산강 유역 = 85
      • 제3절 오염 총관리제의 외국 사례(Example instance) = 87
      • 1. 미국의 TMDL(Total Maximum Daily Loads) 제도(U.S.A) = 87
      • 2. 일본 오염 총량관리 제도(Japan) = 89
      • 3. 독일의 폐수배출 규제 제도(Germany) = 90
      •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Contents and Results)
      • 제1절 자료에 의한 일반현황(General condition by data) = 93
      • 1. 자연환경(Natural environment) = 93
      • 가. 하천 및 수자원 수문 현황(River and water resource) = 93
      • (1) 하천 현황 = 93
      • (2) 수자원 현황 = 95
      • (3) 수문 현황 = 97
      • 나. 기상현황(Weather condition) = 97
      • 다. 지형 및 지질(Topography and geology) = 100
      • 라. 생태현황(Ecological condition) = 100
      • (1) 식물상 및 식생 = 100
      • (2) 동물상 = 100
      • (가) 포유류, 양서파충류 = 100
      • (나) 조류 = 101
      • (다) 어류 = 101
      • (라) 저서성 무척추 동물 = 101
      • 마. 토양 현황 및 피복상태(Soil and covering condition) = 101
      • (1) 토양 종류 = 101
      • (2) 토지 피복현황 = 102
      • (3) 배수 특성 = 102
      • (4) 토양 특성 현황 = 103
      • 2. 인문·사회환경(Social environment) = 103
      • 가. 행정구역 현황(Administrative division) = 103
      • 나. 토지이용 현황(Land) = 105
      • 다. 인구 현황(Population) = 106
      • 라. 축산 현황(Livestock) = 109
      • 마. 폐수배출업체 현황(Industry) = 109
      • 바. 양식장 현황(Raising) = 111
      • 3. 환경관련시설 현황(Environment fundamental facility) = 112
      • 가. 수질측정망 현황(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 112
      • 나. 상수도 현황(Waterworks system) = 113
      • (1) 정수장 현황 = 113
      • (2) 취수장 현황 = 113
      • 다. 하수종말처리장 현황(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114
      • 라. 마을하수도 현황(Smoll scale sewage treatment system) = 115
      • 마. 축산폐수 처리시설 현황(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117
      • 바. 분뇨처리장 현황(Night soil treatment system) = 117
      • 사. 쓰레기 매립장 현황(Landfill) = 118
      • 제2절 실측에 의한 오염원 조사(Present condition of pollutant source to the survey) = 119
      • 1. 생활하수(Domestic wastewater) = 119
      • 가. 조사 목적(Purpose) = 119
      • 나. 조사 방법(Method) = 120
      • (1) 조사 지점 = 120
      • (2) 조사 방법 = 120
      • 다. 조사 결과(Result) = 121
      • (1) 하수종말처리장 = 121
      • (2) 마을 하수도 = 130
      • (3) 오수처리시설 = 158
      • 2. 산업폐수(Industrial wastewater) = 163
      • 가. 조사 목적(Purpose) = 163
      • 나. 조사 방법(Method) = 163
      • 다. 조사 결과(Result) = 164
      • (1) 폐수 공동처리장 = 164
      • (2) 산업폐수 개별처리시설 = 165
      • 3. 축산폐수(Livestock wastewater) = 167
      • 가. 조사 목적(Purpose) = 167
      • 나. 조사 방법(Method) = 167
      • 다. 조사 결과(Result) = 168
      • (1) 축산폐수 공동처리장 = 168
      • (2) 개별 축산시설 = 170
      • 제3절 하천 수질조사(River water quality survey) = 172
      • 1. 평수시(월별) 하천 수질조사(Normal river water quality) = 172
      • 가. 조사 목적 및 개요(Purpose) = 172
      • 나. 조사 방법(Method) = 173
      • (1) 조사 대상 개요 = 173
      • (2) 조사 지점 = 173
      • (3) 조사 시기 및 횟수 = 174
      • (4) 조사항목 및 분석방법 = 179
      • 다. 조사 결과(Result) = 181
      • (1) 공간적 수질분포 = 181
      • (가) 남한강 하류구간 본류에서의 수질 분포 = 181
      • (나) 흑천과 금당천 본류에서의 수질분포 = 186
      • (다) 남한강, 흑천 그리고 금당천 유입 지천의 수질분포 = 191
      • (라) 섬강 수계 주요 하천의 본류 및 유입 지천에서의 수질분포 = 198
      • (2) 시간적 수질 변동 = 201
      • (가) 남한강 본류의 주요 지점별 년간 수질변화 = 202
      • (나) 섬강과 원주천의 주요 지점별 년간 수질변동 = 219
      • (다) 흑천과 금당천의 주요 지점별 년간 수질변동 = 219
      • (3) 하천 수질 조사 결과의 비교 검토 = 231
      • 라. 남측과의 QA/QC(QA/QC with southern watershed team) = 231
      • (1) 조사 목적 = 231
      • (2) 조사 지점 = 231
      • (3) 조사 결과 = 231
      • 2. 강우시 하천 수질조사(Storm water quality) = 236
      • 가. 조사 목적 및 개요(Purpose) = 236
      • 나. 조사방법(Method) = 236
      • (1) 조사지점 선정 = 236
      • (2) 조사대상 유역 개황 = 239
      • (3) 조사시기 및 횟수 = 240
      • (4) 시료채취 및 수질 항목별 측정방법 = 240
      • 다. 조사결과(Result) = 240
      • (1) 조사시기의 강우량 = 240
      • (2) 유역 특성에 따른 수질 항목별 분석 결과 = 244
      • (가) 농지 유역에 대한 조사 결과 = 244
      • (나) 개발 단계의 도시 유역에 대한 조사 결과 = 244
      • (다) 산지 유역에 대한 조사 결과 = 248
      • (3) 주요 지점에 대한 수질 항목별 유출 특성 = 253
      • (가) 유량과 수질 항목간 상관성 분석 = 253
      • (나) 유량가중 평균 농도 = 260
      • 3. 강하물에 의한 오염부하량 조사(Water Quality Monitoring during Rainfalls) = 262
      • 가. 조사 목적(Purpose) = 262
      • 나. 조사 방법(Method) = 262
      • (1) 강하물 시표 체취 지점 및 채취 기간 = 262
      • (2) 시료 채취 방법 = 263
      • (3) 조사 항목 및 항목별 분석 방법 = 266
      • 다. 조사 결과(Result) = 267
      • 제4절 하천 유입 토구 현황 및 오염부하량 조사(Survey and estimation of sewage conduit) = 268
      • 1. 하천유입 토구현황 조사(Survey of sewerage outlet) = 268
      • 가. 조사 개요(Introduction) = 268
      • 나. 조사 대상(Region of investigation) = 268
      • (1) 대상 유역 = 268
      • (2) 조사 대상 = 270
      • 다. 조사 내용(Contents of investigation) = 275
      • 라. 조사 방법(Methods) = 275
      • 마. 조사 결과(Results) = 276
      • (1) 원주시에 위치한 토구 조사 = 276
      • (2) 양평군에 위치한 토구 조사 = 276
      • (3) 횡성군에 위치한 토구 조사 = 291
      • (4) 여주군에 위치한 토구 조사 = 294
      • (5) 충주시에 위치한 토구 조사 = 297
      • 2. 하수 하천 유입 오염부하량 조사(Survey of pollution load by sewer) = 299
      • 가. 조사 개요(Introduction) = 299
      • 나. 조사내용 및 방법(Contents and Methods) = 299
      • (1) 대상지점 선정 = 299
      • (2) 조사지점 현황 = 302
      • (3) 수질조사 대상 항목 = 314
      • (4)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 = 314
      • 다. 조사 결과(Results) = 318
      • (1) 오염도 조사 = 318
      • (2) 하수 하천 유입 오염부하량 산정 = 332
      • 제5절 오염부하량 산정(Pollutant load) = 344
      • 1. 오염부하량 산정방법(Methodology) = 345
      • 가. 인구에 의한 오염부하량 산정방법(Population) = 345
      • 나. 산업체에 의한 오염부하량 산정방법(Industries) = 347
      • 다. 가축에 의한 오염부하량 산정방법(Livestock) = 354
      • 라. 양식장에 의한 오염부하량 산정방법(Fishery) = 357
      • 2. 산정결과(Results) = 359
      • 가. 인구에 의한 부하량(Population) = 359
      • (1) 발생부하량 = 359
      • (2) 배출부하량 = 364
      • 나. 산업체에 의한 부하량(Industries) = 369
      • (1) 발생부하량 = 369
      • (2) 배출부하량 = 373
      • 다. 축산에 의한 부하량(Livestock) = 378
      • (1) 발생부하량 = 378
      • (2) 배출부하량 = 382
      • 라. 양식장에 의한 부하량(Fishery) = 386
      • (1) 발생부하량 = 386
      • (2) 배출부하량 = 390
      • 마. 토지이용에 의한 부하량(Land-use) = 394
      • 바. 부하량 산정결과 종합(Conclusion for Estimation of Pollution Loads) = 394
      • (1) 발생부하량 = 394
      • (2) 배출부하량 = 399
      • 제6절 유역 및 수질모형의 적용(Application of Basin Model and Water Quality Model) = 404
      • 1. 유역모델 적용(Watershed Model) = 404
      • 가. 북측수계의 배수구역도(Watershed in the northern Basin in the Namhan River) = 404
      • 나. AnnAGNPS 모델의 개요(Outline) = 407
      • 다. AnnAGNPS 모델의 원리(Theories in AnnAGNPS) = 409
      • (1) 지표유출수 = 409
      • (2) 토사 유출량 = 409
      • (3) 오염물질 부하량 = 412
      • (4) 기타 요소 = 413
      • 라. AnnAGNPS의 입력자료(Input data for AnnAGNPS) = 413
      • (1) 지형자료 = 414
      • (2) 기상자료 = 414
      • (3) 토지이용 분석 = 418
      • (4) 토양특성 분석 = 422
      • (5) 비료 사용 현황 분석 = 423
      • (6) 농작물 입력자료 = 424
      • 마. 모델적용(Model Application) = 424
      • 2. 수질모델 적용(Water Quality Model) = 434
      • 가. 모델 개요(Outline) = 434
      • 나. 모델 원리(Theories in Water Quality Model) = 434
      • 다. 유달율 산정(Estimation of Delivery Ratio) = 437
      • 라. 모델 구성(Model Structure) = 438
      • 마. 모델 적용(Model Application) = 440
      • 바. 모델 보정 및 검증(Model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 441
      • (1) 모델보정 = 442
      • (2) 모델 검증 = 443
      • 제7절 오염부하량 삭감량 할당방안 및 삭감대책(Allocation and Reduction Plans for Pollution Loads) = 456
      • 1. 허용총량 산정(Estimation of Total Allowable Loads) = 456
      • 가. 오염 총량관리 목표량(The Goal of Total Management Loads) = 456
      • 나. 허용총량(Total Allowable Loads) = 460
      • 다. 총배출부하량(Total discharging loads) = 460
      • 2. 수질개선을 위한 오염부하 삭감량 산정 및 할당방안(Allocation and Reduction Plan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 460
      • 가. 오염부하 삭감목표량 산정(Estimation of Goal Reduction Loads) = 461
      • (1) 소유역 대상 삭감목표량 산정(시나리오 1) = 461
      • (2) 본류 유입 지천 대상 삭감목표량 선정(시나리오 2) = 463
      • (3) 본유 유입 지천 대상 삭감목표량 산정Ⅱ - 목표수질 2등급(시나리오 3) = 465
      • (4) 목표삭감량 달성 이후의 수질 예측 = 466
      • 나. 오염부하 삭감량 할당 및 삭감 대책(Estimation of Pollution Reduction Loads and Reduction Plans) = 467
      • (1) 오염부하량 삭감 대책 - 섬강 = 468
      • (2) 종합토의 = 474
      •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Attainment and contribution of this study's goal) = 477
      • 제1절 목표 달성도(Attainment of this Study Goal) = 477
      • 제2절 대외 기여도(Contribution of this Study) = 480
      • 1. 행정구역별, 배수구역별 오염원 상세 현황 제시 = 480
      • 2. 소규모 오수처리시설에 대한 실측 수질조사 결과 도출 = 480
      • 3. 현장의 정기적인 방문을 통한 문제점 도출을 통한 대안에 제시 = 480
      • 4. 단위구역별 하천의 상세 수질조사 및 유달율 산정 = 481
      • 5. 강우시 하천 수질조사를 통한 비점오염원 대책수립의 기초 자료 제공 = 481
      • 6. 토구의 수질조사를 통한 오염부하량 산정 = 481
      • 7. 유역모델과 수질모델의 적용을 통한 오염부하량의 산출 = 482
      • 8. 한강유역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 = 482
      •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Application plan of this study) = 485
      • 제6장 참고문헌(Reference) = 4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