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히치콕 〈The Man Who Knew Too Much(1956)〉 영화 사운드의 기호학적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70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히치콕 영화 <The Man Who Knew Too Much(1956)>의 사운드를 퍼스의 기호학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본고는 기호학적 논의에 앞서 퍼스의 이론을 살펴보고, 대사, 배경소리, 음악으로 ...

      본 연구는 히치콕 영화 <The Man Who Knew Too Much(1956)>의 사운드를 퍼스의 기호학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본고는 기호학적 논의에 앞서 퍼스의 이론을 살펴보고, 대사, 배경소리, 음악으로 구성된 사운드의 3요소를 그가 제시한 기호의 부류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음악은 음정을 통해 지표기호로서 감정을 나타내기도 하며, 일차성 범주의 악기소리는 내러티브적 요소로 작용하여 이차성의 발화기호로 전이되면서 역동적 대상이 되기도 한다. 또한, 낱말기호로서의 대사 한 단어는 영화에서 도상기호를 통해 암시적으로 대상을 재현하기도 하며, 지표기호로서의 배경소리와 음악은 영화의 긴장감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한편, 병치관계의 두 다른 장르의 음악은 발화기호로서 서술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렇듯, 히치콕에 있어 사운드는 컨텍스트에 따라 의미작용을 달리하는 기호학적 특질을 갖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aling with sound of Hitchcocks movie <The Man Who Knew Too Much (1956)> from Peirces semiotic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d Peirces theory prior to semiotic discussion, and analyzed the three elements of sound(speech, noise, m...

      This study is dealing with sound of Hitchcocks movie <The Man Who Knew Too Much (1956)> from Peirces semiotic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d Peirces theory prior to semiotic discussion, and analyzed the three elements of sound(speech, noise, music) depending on the type of sign that he presented. Music is possible to express emotions as an index through intervals. The instrument sound under firstness works as the element of narrative and it may be a dynamic object, transferred to the dicisign of secondness. Also, a word in speech is possible to represent an object allusively through an icon in the film. Noise and music as an index are serving to increase the tension of film. Meanwhile, two different genres of music on the juxtaposition are in charge of narrative function as a dicisign. Thus, Hitchcocks sound has various semiotic qualities of signification depending on the contex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퍼스의 기호학
      • Ⅲ. 영화 사운드 분석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퍼스의 기호학
      • Ⅲ. 영화 사운드 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프랑수아 트뤼포, "히치콕과의 대화" 한나래 106-, 1994

      2 김치수, "현대기호학의발전" 서울대학교출판부 33-, 1998

      3 R. 랩슬리, "현대 영화이론의 이해" 시각과 언어 70-, 1999

      4 김덕수, "현대 영화 이론" 한국문화사 2012

      5 찰스 샌더스 퍼스, "퍼스의 기호 사상" 민음사 2006

      6 이윤희,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3

      7 이수진,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2권" 문학과지성사 124-, 2011

      8 이수진,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권" 문학과지성사 75-, 2011

      9 이동환, "영화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기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626-637, 2013

      10 질 들뢰즈, "시네마 Ⅱ 시간-이미지" 시각과 언어 73-, 2005

      1 프랑수아 트뤼포, "히치콕과의 대화" 한나래 106-, 1994

      2 김치수, "현대기호학의발전" 서울대학교출판부 33-, 1998

      3 R. 랩슬리, "현대 영화이론의 이해" 시각과 언어 70-, 1999

      4 김덕수, "현대 영화 이론" 한국문화사 2012

      5 찰스 샌더스 퍼스, "퍼스의 기호 사상" 민음사 2006

      6 이윤희,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3

      7 이수진,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2권" 문학과지성사 124-, 2011

      8 이수진,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권" 문학과지성사 75-, 2011

      9 이동환, "영화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기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626-637, 2013

      10 질 들뢰즈, "시네마 Ⅱ 시간-이미지" 시각과 언어 73-, 2005

      11 질 들뢰즈, "시네마 Ⅰ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2002

      12 김미애, "바로크 시대의 감정이론에 관한 고찰" 3 : 36-, 1999

      13 세미오시스 연구센터, "감정의 코드 감정의 해석" 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6-, 2013

      14 L. Bernstein, "The unanswered question : six talks at Harvard" Harvard University Press 131-, 1976

      15 J. Ph. Kirnberger, "The art of strict musical composition" Yale University Press 373-, 1982

      16 P. Wollen, "Signs and meaning in the cinema" Indiana University Press 141-, 1972

      17 S. Hervey, "Semiotic Perspectives" Allen &Unwin 36-, 1982

      18 S. Sadie, "Rhetoric and Music" McMillan 798-, 1980

      19 B. F. Kawin, "Mindscreen" Princeton Univ Press 1978

      20 B. Krohn, "Hitchcock at work" Phaidon 158-, 2003

      21 C. McArthur, "DIALECTIC!" Key Texts 38-, 1982

      22 G. Bruce, "Bernard Herrmann : film music and narrative" UMI Research Press 124-, 1985

      23 S. C. Smith, "A Heart at Fire's Center: The Life and Music of Bernard Herrman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 2002

      24 김호, "<환타지아>와 <환타지아 2000>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와 내러티브 상관관계의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18-12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