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화용발달을 위한 DvT 연극치료모델 집단 언어치료 = Group Language Therapy for Development of Pragmatic Skills of Children with ASD -DvT Theatrical Model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793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cerns theatrical group language therapy based on DvT model for children with ASD. We describe and discuss the working process and resul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pragmatic skills of participants, especially social interaction, turn-taking, and symbolic play. The program contains 10 sessions. For the first two session, the program focuses on sensory-motor activities such as gestures, vocalization, auditory sensation, and touch. For the following sessions, the program focuses on the role-play and synthetical activities using yellow chair, sound effects, and lighting effects. In the beginning of a session, the activities were gestures, vocalization, and auditory sensation. In main activities of the session, the participants played theatrical activities. At the beginning of this work, participating in activities was difficult for the ASD children, because of their behaviors such as crying and going away from the activity room. However, their negative behaviors were gradually attenuated, they are desensitized of sound and obscurity, and finally the participants could do their role-play. Although this program adopted the DvT model, we just reached to somewhere between the sensory-motor stage and pre-operational stage, not a mature stage because it was a short program of 10 weeks. Nevertheless, the fact that they could do their role-play shows a kind of symbolization on the fictive and symbolic space.
      번역하기

      This study concerns theatrical group language therapy based on DvT model for children with ASD. We describe and discuss the working process and resul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pragmatic skills of participants, especially social interac...

      This study concerns theatrical group language therapy based on DvT model for children with ASD. We describe and discuss the working process and resul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pragmatic skills of participants, especially social interaction, turn-taking, and symbolic play. The program contains 10 sessions. For the first two session, the program focuses on sensory-motor activities such as gestures, vocalization, auditory sensation, and touch. For the following sessions, the program focuses on the role-play and synthetical activities using yellow chair, sound effects, and lighting effects. In the beginning of a session, the activities were gestures, vocalization, and auditory sensation. In main activities of the session, the participants played theatrical activities. At the beginning of this work, participating in activities was difficult for the ASD children, because of their behaviors such as crying and going away from the activity room. However, their negative behaviors were gradually attenuated, they are desensitized of sound and obscurity, and finally the participants could do their role-play. Although this program adopted the DvT model, we just reached to somewhere between the sensory-motor stage and pre-operational stage, not a mature stage because it was a short program of 10 weeks. Nevertheless, the fact that they could do their role-play shows a kind of symbolization on the fictive and symbolic sp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네 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화용 능력 향상을 위한 연극치료적 집단 언어치료 프로그램 과정을 기술한다. ASD 아동을 대상으로 연극치료적 기법을 적용한 집단 언어치료를 실시한 까닭은 연극예술 매체가 갖고 있는 강력한 기능 중 하나가 체현과 상징화이고, 본 연구의 참여아동이 보인 공통적 결함이 상징화 능력의 결핍과 이로 인한 화용기술발달의 어려움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ASD 아동은 언어 습득 자체가 어려운 경우도 있지만, 비록 많은 단어를 습득하고 문장을 문법적으로 구성할 수있다 해도, 대화 상대자의 의도를 파악하거나, 주제를 유지하거나, 혹은 상황에 맞게 상호작용을 하면서 언어를 주고받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들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화용 기술의 향상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그로토프스키의 ‘가난한 연극’에 근거한 존슨의 발달변형모델을 기반으로 역할연기와 이야기를 활용한 연극치료적 기법을 집단 언어치료에 적용한다. 발달변형모델은 두 가지 측면에서 본 연구의 기초가 된다. 첫째, 매 회기몸을 활용한 움직임으로 대상 아동뿐 아니라 주 양육자까지 참여한 모든 구성원의 심리적 저항감을 줄이는 과정을 거치며 상호작용을 이끈다는 점이다. 둘째, 각 회기의 초반, 중반, 후반의 진행과 함께 전체 치료의 초반에서 중반, 후반의 진행 과정이 발달적 과정을 고려하였다는 점이다.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회기 당 백분으로 구성된 10주 10회기 프로그램 전후의 아동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현재 국내에 학령전기 아동의 화용 능력에 대한 표준화된 평가 도구가 없으므로 치료 전후의 화용 기술 변화 측정은 맥알리스터(McAlister)의 주관적 준거에 근거하여 치료 목표에 부합하는 참여의증가와 상호작용의 증가를 평가의 준거로 삼았다. 또한 갑작스러운 상황변화수용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이 프로그램을 거부하지 않고 참여할 수 있는지, 주어진 순서대로 자신의 역할을 소화할 수 있는지, 역할에 따른 의상을 입고 연기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사전 사후 동영상을 촬영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그결과, 치료 초기에 울거나 밖으로 뛰쳐나가거나 바닥에 눕는 등의 부정행동이 치료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줄어들었고, 순서에 따라 자신의 대사를 말할수 있게 되었으며, 어둠, 소리, 의상에 대한 거부감이 감소하였다. 마지막 회기에 아동들은 안정된 행동과 정서의 상태를 보이며 관객 앞에서 공연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 프로그램이 다양한 대상으로 확대되어 일관성 있는 결과로 이어진다면, 연극치료적 집단 언어치료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네 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화용 능력 향상을 위한 연극치료적 집단 언어치료 프로그램 과정을 기술한다. ASD 아동을 대상으로 연극치료적 기법을 적용...

      본 연구는 네 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화용 능력 향상을 위한 연극치료적 집단 언어치료 프로그램 과정을 기술한다. ASD 아동을 대상으로 연극치료적 기법을 적용한 집단 언어치료를 실시한 까닭은 연극예술 매체가 갖고 있는 강력한 기능 중 하나가 체현과 상징화이고, 본 연구의 참여아동이 보인 공통적 결함이 상징화 능력의 결핍과 이로 인한 화용기술발달의 어려움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ASD 아동은 언어 습득 자체가 어려운 경우도 있지만, 비록 많은 단어를 습득하고 문장을 문법적으로 구성할 수있다 해도, 대화 상대자의 의도를 파악하거나, 주제를 유지하거나, 혹은 상황에 맞게 상호작용을 하면서 언어를 주고받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들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화용 기술의 향상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그로토프스키의 ‘가난한 연극’에 근거한 존슨의 발달변형모델을 기반으로 역할연기와 이야기를 활용한 연극치료적 기법을 집단 언어치료에 적용한다. 발달변형모델은 두 가지 측면에서 본 연구의 기초가 된다. 첫째, 매 회기몸을 활용한 움직임으로 대상 아동뿐 아니라 주 양육자까지 참여한 모든 구성원의 심리적 저항감을 줄이는 과정을 거치며 상호작용을 이끈다는 점이다. 둘째, 각 회기의 초반, 중반, 후반의 진행과 함께 전체 치료의 초반에서 중반, 후반의 진행 과정이 발달적 과정을 고려하였다는 점이다.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회기 당 백분으로 구성된 10주 10회기 프로그램 전후의 아동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현재 국내에 학령전기 아동의 화용 능력에 대한 표준화된 평가 도구가 없으므로 치료 전후의 화용 기술 변화 측정은 맥알리스터(McAlister)의 주관적 준거에 근거하여 치료 목표에 부합하는 참여의증가와 상호작용의 증가를 평가의 준거로 삼았다. 또한 갑작스러운 상황변화수용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이 프로그램을 거부하지 않고 참여할 수 있는지, 주어진 순서대로 자신의 역할을 소화할 수 있는지, 역할에 따른 의상을 입고 연기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사전 사후 동영상을 촬영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그결과, 치료 초기에 울거나 밖으로 뛰쳐나가거나 바닥에 눕는 등의 부정행동이 치료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줄어들었고, 순서에 따라 자신의 대사를 말할수 있게 되었으며, 어둠, 소리, 의상에 대한 거부감이 감소하였다. 마지막 회기에 아동들은 안정된 행동과 정서의 상태를 보이며 관객 앞에서 공연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 프로그램이 다양한 대상으로 확대되어 일관성 있는 결과로 이어진다면, 연극치료적 집단 언어치료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척도"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7

      2 이선형, "집단창작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일반통합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377-394, 2013

      3 김현숙, "집단 미술치료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5

      4 윤지영, "집단 놀이 활동이 자폐성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5 박미경, "집단 놀이 활동 프로그램이 자폐성 아동의 자폐행동과 사회성 기초기능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5

      6 민용아, "전조작기 자폐아의 인지발달 특성 : 행동모방, 상징놀이, 언어기능을 중심으로"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6

      7 황선숙, "자폐증 학생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연극의 활용 방안"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8 Watson, L, "자폐아와 발달장애 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 지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9

      9 장미연, "자폐성향 유아의 상징놀이 향상 단기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9 (9): 47-61, 2005

      10 배정의,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응력 향상과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개별치료를 병행한 소집단 미술치료 사례 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7

      1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척도"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7

      2 이선형, "집단창작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일반통합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377-394, 2013

      3 김현숙, "집단 미술치료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5

      4 윤지영, "집단 놀이 활동이 자폐성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5 박미경, "집단 놀이 활동 프로그램이 자폐성 아동의 자폐행동과 사회성 기초기능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5

      6 민용아, "전조작기 자폐아의 인지발달 특성 : 행동모방, 상징놀이, 언어기능을 중심으로"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6

      7 황선숙, "자폐증 학생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연극의 활용 방안"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8 Watson, L, "자폐아와 발달장애 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 지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9

      9 장미연, "자폐성향 유아의 상징놀이 향상 단기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9 (9): 47-61, 2005

      10 배정의,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응력 향상과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개별치료를 병행한 소집단 미술치료 사례 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7

      11 이선형, "예술치료를 위한 역할개념 연구" 한국연극학회 1 (1): 189-219, 2011

      12 김숙현, "연극치료와 변형 -데이비드 리드 존슨(David Read Johnson)의 발달변형(Developmental Transformations)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회 1 (1): 5-38, 2013

      13 이선형, "연극치료에서 발달변형모델(DvT) 연구" (3) : 19-48, 2013

      14 Warren, M., A, "연극치료 접근법의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9

      15 배희숙, "연극을 활용한 집단 언어치료가 사회성 결핍 언어발달장애 아동의 언어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드라마학회 (34) : 223-252, 2011

      16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2판)" 학지사 2014

      17 양돈규, "심리학용어집" 학지사 2003

      18 김미희, "소집단 협동미술활동과 자폐성 아동의 언어 및 수업참여행동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19 전효진, "소집단 협동놀이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20 대한소아신경학회, "소아신경학" 군자출판사 2007

      21 권향미, "상호모방훈련이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자발적 상징놀이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2 김현정, "상징놀이를 통한 언어지도가 자폐성 아동의 표현언어에 미치는 효과" 又石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23 한홍석, "상징놀이 지도가 자폐증 아동의 놀이행동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6

      24 황인희, "발달장애자녀 부모의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25 Halprin, D, "동작중심표현예술치료" 시그마프레스 2006

      26 김화순, "교육연극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자발적 발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7 Johnson, D, "Towards a poor drama therapy" 23 : 1996

      28 Asperger H, "The psychically abnormal child" Wien Klin Wochenschr 1938

      29 Watson, L, "From, content, and function of the spontaneous communication of autistic students" 1986

      30 McAlister, M, "Dramatherapy and Destructiveness (Creating the Evidence Base, Playing with Thanatos)" Routledge 2011

      3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32 Swisher, L, "Communication problems in autism" Plenum 1985

      33 Watson, L, "Communication problems in autism" Plenum 1985

      34 Wetherby, A. M, "Autism Spectrum Disorders" Brookes Publishing Co 2000

      35 Reed, V, "An Introduction to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Pearson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9-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rama Research -> The Journal of Drama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Drama Society KCI등재후보
      2014-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Drama Association of Korea -> Drama Research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87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