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사와 연구를 통한 공연 텍스트 구성하기 -여성의 중년 경험에 관한 드라마투르기 구성 과정의 기록 = Composing Performance Text based on Practice as Research -To Document the Dramaturgy process for Women`s Midlife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79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actice as research or the practice-based research implies conscious raising process for one’s own including the other participants against ready-made views as well as distribution of methodology. This work corresponds to the theatre making process based on practice as research, interview, and analysis centering on a theme, the experience of midlife in Korean women. At a certain stage of life, we find ourselves that we are aging and have already crossed the half a lifetime. As we get to be aware of the situation, we realized this is the untrodden aspect of life even though we seem to have been informed enough how we get old and follow the life cycle. Especially being in midlife in Korea has its own cultural and historical connotation. We(a dramaturg, five performers) made thirty questionaires regarding how middle aged individuals from late 45s to early 60s are experiencing and anticipating being aged from how they spend the daily life, what kind of family relationship, when they feel lonely and how they get it over, to when and how they want to die. The interviews were part of practice based research which focused on individuals’ experiences and aimed to explore and awaken what is ahead in or after their midlife different from abstract theory and cultural generalization. After this dramaturg constructed a text with the materials of recorded voices and the discussions. The practice on the stage was taken by six performers as a play-reading. It took place at the small theatre within the library of Sanbon, Gyunggydo. As the theatre was located in the regional civic library, the audience were local residents naturally, including some interviewees. The practice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general theatre performance. It foreground the intention to listen to the real and individual experience about Korean middle aged women. This paper was a record regarding how the practice could be intertwined with research as a British verbatim theatre. It was a talk show, or narrative theatre to share each one’s experience as a kind a outreach conscious raising theatre and a proof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ology which mixed research with practice. In the process doing the research as a practice, the dramaturg, researchers as performers, and the interviewees had special experience that their former thought and attitude about their midlife has changed from the negative to positive one. Nonetheless, we also found some insufficient parts to develop more according to the feedback after the play-reading.
      번역하기

      The practice as research or the practice-based research implies conscious raising process for one’s own including the other participants against ready-made views as well as distribution of methodology. This work corresponds to the theatre making pro...

      The practice as research or the practice-based research implies conscious raising process for one’s own including the other participants against ready-made views as well as distribution of methodology. This work corresponds to the theatre making process based on practice as research, interview, and analysis centering on a theme, the experience of midlife in Korean women. At a certain stage of life, we find ourselves that we are aging and have already crossed the half a lifetime. As we get to be aware of the situation, we realized this is the untrodden aspect of life even though we seem to have been informed enough how we get old and follow the life cycle. Especially being in midlife in Korea has its own cultural and historical connotation. We(a dramaturg, five performers) made thirty questionaires regarding how middle aged individuals from late 45s to early 60s are experiencing and anticipating being aged from how they spend the daily life, what kind of family relationship, when they feel lonely and how they get it over, to when and how they want to die. The interviews were part of practice based research which focused on individuals’ experiences and aimed to explore and awaken what is ahead in or after their midlife different from abstract theory and cultural generalization. After this dramaturg constructed a text with the materials of recorded voices and the discussions. The practice on the stage was taken by six performers as a play-reading. It took place at the small theatre within the library of Sanbon, Gyunggydo. As the theatre was located in the regional civic library, the audience were local residents naturally, including some interviewees. The practice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general theatre performance. It foreground the intention to listen to the real and individual experience about Korean middle aged women. This paper was a record regarding how the practice could be intertwined with research as a British verbatim theatre. It was a talk show, or narrative theatre to share each one’s experience as a kind a outreach conscious raising theatre and a proof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ology which mixed research with practice. In the process doing the research as a practice, the dramaturg, researchers as performers, and the interviewees had special experience that their former thought and attitude about their midlife has changed from the negative to positive one. Nonetheless, we also found some insufficient parts to develop more according to the feedback after the play-read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공연 예술의 경우 ‘실천으로서의 리서치’ 혹은 ‘실천에 토대를 둔 리서치’ 등의 최근 논의되고 있는 연구 방식은 공연 참여자들이 실천과 이론적 논의를 결합하여 방법론을 공유하며 이론적 결과물을 생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이론과 실천의 이분법적 괴리 속에서 소외되어 온 실천가들을 학문적 영역 안으로 포용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실천으로서의 리서치’ 방식을 영국의 버바팀 연극의 방식과 결합하여 중년 여성의 삶을 이해하고 인터뷰를 통해 드라마투르기를 구성한 것에 대한 기록이자 보고서라고 할 있다. 먼저 드라마투르그는 스스로 중년이 되면서 중년이라는 경험이 낯선 영역이며 매스컴에 의해 익숙해진 중년에 대한 상식이 왜곡된 이미지로 균질화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리서치의 모티브로 삼았다. 이 점에 동의하는 6명의 배우들과 드라마투르그는 중년에 대한 저술서를 읽고 토의를 하면서 인터뷰 설문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나서 60명의 중년 여성을 상대로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중년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를 파악하고 인터뷰를 통해 인물을 발견하며 개인들의 중년의 경험을 면밀히 살폈다. 인터뷰와 토의 기록을 자료로 드라마투르그는 텍스트를 하나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드라마투르그는 실제 삶의 생동감이 살아 있는 언어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이와 더불어 삶 속에서 ‘살아있는’ 인물을 발견하게 되었다. 버바팀 연극 방식을 응용하여 만들어진 중년을 주제로 한 텍스트는 기존의 알려진 담론에서 포착되지 않은 개인들의 다양한 경험을 포착하게 해 주었고, 또한 리서치 과정에서 드라마투르기 구성에 참여한 사람들은 스스로 의식이 성장하였다고 여기게 되었다. 텍스트는 낭독 공연으로 실천되었고 이에 대한 관객 반응을 리서치하여 재구성 중에 있다.
      번역하기

      공연 예술의 경우 ‘실천으로서의 리서치’ 혹은 ‘실천에 토대를 둔 리서치’ 등의 최근 논의되고 있는 연구 방식은 공연 참여자들이 실천과 이론적 논의를 결합하여 방법론을 공유하며 ...

      공연 예술의 경우 ‘실천으로서의 리서치’ 혹은 ‘실천에 토대를 둔 리서치’ 등의 최근 논의되고 있는 연구 방식은 공연 참여자들이 실천과 이론적 논의를 결합하여 방법론을 공유하며 이론적 결과물을 생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이론과 실천의 이분법적 괴리 속에서 소외되어 온 실천가들을 학문적 영역 안으로 포용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실천으로서의 리서치’ 방식을 영국의 버바팀 연극의 방식과 결합하여 중년 여성의 삶을 이해하고 인터뷰를 통해 드라마투르기를 구성한 것에 대한 기록이자 보고서라고 할 있다. 먼저 드라마투르그는 스스로 중년이 되면서 중년이라는 경험이 낯선 영역이며 매스컴에 의해 익숙해진 중년에 대한 상식이 왜곡된 이미지로 균질화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리서치의 모티브로 삼았다. 이 점에 동의하는 6명의 배우들과 드라마투르그는 중년에 대한 저술서를 읽고 토의를 하면서 인터뷰 설문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나서 60명의 중년 여성을 상대로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중년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를 파악하고 인터뷰를 통해 인물을 발견하며 개인들의 중년의 경험을 면밀히 살폈다. 인터뷰와 토의 기록을 자료로 드라마투르그는 텍스트를 하나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드라마투르그는 실제 삶의 생동감이 살아 있는 언어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이와 더불어 삶 속에서 ‘살아있는’ 인물을 발견하게 되었다. 버바팀 연극 방식을 응용하여 만들어진 중년을 주제로 한 텍스트는 기존의 알려진 담론에서 포착되지 않은 개인들의 다양한 경험을 포착하게 해 주었고, 또한 리서치 과정에서 드라마투르기 구성에 참여한 사람들은 스스로 의식이 성장하였다고 여기게 되었다. 텍스트는 낭독 공연으로 실천되었고 이에 대한 관객 반응을 리서치하여 재구성 중에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성호, "중년의 사회학" 살림 2012

      2 바르다 뮬 바우어, "중년 여성의 심리" 학지사 2011

      3 앤 G 토마스, "여자로 나이 든다는 것" 열대림 2013

      4 퍼트리샤 투더산달, "여자 나이 50" 에코리브르 2006

      5 최영주, "드라마투르기란 무엇인가?" 태학사 2013

      6 Blythe, Alecky, "Verbatim Verbatim" Oberon 2008

      7 Hare, David, "Verbatim Verbatim" Oberon 2008

      8 Paget, Derek, "Verbatim Theatre: Oral History and Documentary Theatre Techniqu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3): 1987

      9 David Whitton/김문기, "The Practical Turn in Theatre Research[번역] 연극연구에 나타난 실기 지향의 새로운 연구 경향" 한국연극학회 (33) : 267-314, 2007

      10 Linden, Jane, "The Monster in our Midst: The Materialization of Practice as Research in British Academy" 2014

      1 정성호, "중년의 사회학" 살림 2012

      2 바르다 뮬 바우어, "중년 여성의 심리" 학지사 2011

      3 앤 G 토마스, "여자로 나이 든다는 것" 열대림 2013

      4 퍼트리샤 투더산달, "여자 나이 50" 에코리브르 2006

      5 최영주, "드라마투르기란 무엇인가?" 태학사 2013

      6 Blythe, Alecky, "Verbatim Verbatim" Oberon 2008

      7 Hare, David, "Verbatim Verbatim" Oberon 2008

      8 Paget, Derek, "Verbatim Theatre: Oral History and Documentary Theatre Techniqu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3): 1987

      9 David Whitton/김문기, "The Practical Turn in Theatre Research[번역] 연극연구에 나타난 실기 지향의 새로운 연구 경향" 한국연극학회 (33) : 267-314, 2007

      10 Linden, Jane, "The Monster in our Midst: The Materialization of Practice as Research in British Academy" 2014

      11 Martin, Carol, "The Drama Review, 50" MIT Press 2006

      12 Green, Lelia, "Recognizing Practice-led Research … at Last" Proceedings of the Hatched 07 Arts Research

      13 Smith, Hazel, "Practice-led Research, Research-led Practice in the Creative Art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9

      14 Kershaw, Baz, "Practice-led Research, Research-led Practice in the Creative Arts" Palgrave Macmillan 2009

      15 Barrett, Estelle, "Practice as Research: Approaches to Creative Arts Inquiry" I. B. Tauris 2010

      16 Haseman, Brad, "Practice as Research: Approaches to Creative Arts Enquiry" I.B. Tauris 2010

      17 Barrett, Estelle, "Practice as Research: Approaches to Creative Arts Enquiry" I.B. Tauris 2010

      18 Jones, Simon, "Practice as Research in Performance and Screen" Palgrave Macmillan 2009

      19 Nelson, Robin, "Practice as Research in Performance and Screen" Palgrave Macmillan 2009

      20 Kershaw, Baz, "Practice as Research in Performance and Screen" Palgrave Macmillan 2009

      21 Merlin, Bella, "New Theatre Quarter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2 Oxford Dictionary, "Art"

      23 Piccini, Angela, "An Historiographic Perspective on Practice as Research" Chicago University Press 23 (23):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9-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rama Research -> The Journal of Drama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Drama Society KCI등재후보
      2014-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Drama Association of Korea -> Drama Research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87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