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황정현,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 연극 Drama in Education의 이해" 1 (1): 2001
2 김병주, "학교폭력예방 교육연극 TIE의 가능성과 초등교육에의 시사점" 초등교육연구원 24 (24): 75-96, 2013
3 "학교 폭력 이제 그만! 무대속 이야기로 찾아가는 해결의 실마리" (182) : 2012
4 이명주, "추체험을 통한 초등미술감상 지도방안–과정드라마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5 황정현, "총체적 언어교육 방법론으로서의 교육연극의 이해" (15) : 1999
6 구민정, "자! 세상의 중심엔 네가 있다: 민주시민을 기르는 문예체 교육" (봄) : 2012
7 "용인문화재단, 브랜드에 반하다, 2013/11/27"
8 나무를 심는 사람들, "연극으로 놀며 배우며" 나라말 2002
9 이영숙, "연극놀이 저널 3호" 도서출판 연극, 놀이 그리고 교육 2009
10 이시원, "스트럭처링 드라마" 달라진책 2011
1 황정현,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 연극 Drama in Education의 이해" 1 (1): 2001
2 김병주, "학교폭력예방 교육연극 TIE의 가능성과 초등교육에의 시사점" 초등교육연구원 24 (24): 75-96, 2013
3 "학교 폭력 이제 그만! 무대속 이야기로 찾아가는 해결의 실마리" (182) : 2012
4 이명주, "추체험을 통한 초등미술감상 지도방안–과정드라마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5 황정현, "총체적 언어교육 방법론으로서의 교육연극의 이해" (15) : 1999
6 구민정, "자! 세상의 중심엔 네가 있다: 민주시민을 기르는 문예체 교육" (봄) : 2012
7 "용인문화재단, 브랜드에 반하다, 2013/11/27"
8 나무를 심는 사람들, "연극으로 놀며 배우며" 나라말 2002
9 이영숙, "연극놀이 저널 3호" 도서출판 연극, 놀이 그리고 교육 2009
10 이시원, "스트럭처링 드라마" 달라진책 2011
11 김주연, "드라마의 교육 방법적 활용 방안 모색 -과정 드라마를 통한 개념 탐구-" 한국드라마학회 (38) : 81-109, 2012
12 김주연, "드라마 관습 활동을 통한 사회세계의 이해"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73-192, 2011
13 김현정, "내목소리가 들리니?! 서로 다른 목소리의 대화" (여름) : 2012
14 김주연, "구조와 즉흥의 관점으로 바라본 교육 연극 실천들" 한국연극교육학회 17 : 79-105, 2010
15 소꿉놀이, "교육연극 수업 어떻게 할까" 정인출판사 2008
16 Bolton, G, "교실연기란 무엇인가" 연극과 인간 251-, 2012
17 "경기교육청 민주시민 체험학습 20개교 첫 운영, 2013/9/16"
18 Boal, A, "games for actors and non-actors" routledge 2002
19 Davis, D, "dward Bond and Dramatic child: Edward Bond's plays for young people" Trentham Books 2005
20 Gillham, G, "What life is for: Analysis of Dorothy Heathcote's “levels” of explanation" 1 : 1998
21 Bolton, G, "Towards A Theory Of Drama In Education" Longman 1979
22 Vygotsky, L, "Thought and Language" MIT Press 1962
23 Feral, J, "Theatricality: The Specificity of Theatrical Language" 31 (31): 2002
24 O'Toole, J, "The Process of Drama: Negotiating Art and Meaning" Routledge 1992
25 Gee, M, "Remaking the Curriculum: Re-engaging young people in secondary school" Trentham Books 2011
26 O'Conner, P, "Reflection and refraction—The dimpled mirror of process drama" Griffith University 2003
27 Courtney, R, "R. Drama and Intelligence : A Cognitive Theory" McGill Queen's University Press 1999
28 Vygotsky, L.S, "Play and its role in the mental development of the child" 5 (5): 2009
29 Davis, D, "Imagining the Real" A Trentham Books 2014
30 Dunn, J, "How drama activates learning: contemporary research and practice" Bloomsbury Academic 2013
31 Taylor, P, "Drama of Cecily O'Neill: the Process Drama of Cecily O'Neill" 2006
32 Bolton, G, "Drama as Education" Longman 1984
33 O'Toole, J, "Drama and Curriculum: A Giant at the Door" Springer 2009
34 Bolton, G, "Changes in Thinking about Drama in Education" 24 (24):
35 Morgan, N, "Asking Better Questions" Pembroke Publishers 2006
36 Linds, W, "A journey in Metaxis: Been, being, becoming, imag(in)ing drama facilitation"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01
37 이수연, "<코리아쉐이크>를 돌아보며: 다문화, TIE와 만나다" (5) : 2012
38 권덕원, "2013 예술강사 사업관련 교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39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2012 학교 문화예술교육 우수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연구_연극"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40 이원현,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