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회적, 교육적 교실 즉흥극의 생성 원리 탐구  :  "의미 구성"을 중심으로 = The Principles of Construction of Social, Pedagogical Classroom Improvis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793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atre or drama has become varied for the last 25 years. O``Toole divides these theatre into four categories in terms of aims, linguistic/communicative purpose, expressive/developmental purpose, social/pedagogical purpose and aesthetic/cognitive purpose. Especially, as social/pedagogical purpose of classroom drama has been increased, this study attempt to explore the principles of meaning-making of social/pedagogical classroom drama. When social/pedagogical classroom drama is interpreted in the wider sense, it points to ‘the change of understanding of self and the world’. This drama is based on improvisation which features ‘identification’ and is built upon role which involves historical, social, philosophical meaning. Since role and context have these dimensions, social/pedagogical meaning can be produced. At this point, metaxis effect needs to be encouraged and peer-participants and teacher need to intervene in order to expand meaning. Metaxis effect expands meaning from fiction to reality and the intervention of peer-participants and teacher brings about change of present participants`` cognitive level. Participants produces meaning from within fiction and go to expand meaning from fiction to meaning across fiction and reality. Finally they reaches the change of their present cognitive level. Such expansion of meaning needs to go through the experience of fiction, metaxis effect, the intervention of peer-participants and teacher. Eventually, the expanded meaning is holistic understanding which is cognitive, emotional and affective. These principles are variously embodied in T.I.E(Theatre in Education), forum theatre and process drama. T.I.E and forum theatre embody meanings brought about by metaxis effect due to materials close to reality. Process drama can produce the change of present cognitive level depending on active conversation among participants.
      번역하기

      Theatre or drama has become varied for the last 25 years. O``Toole divides these theatre into four categories in terms of aims, linguistic/communicative purpose, expressive/developmental purpose, social/pedagogical purpose and aesthetic/cognitive purp...

      Theatre or drama has become varied for the last 25 years. O``Toole divides these theatre into four categories in terms of aims, linguistic/communicative purpose, expressive/developmental purpose, social/pedagogical purpose and aesthetic/cognitive purpose. Especially, as social/pedagogical purpose of classroom drama has been increased, this study attempt to explore the principles of meaning-making of social/pedagogical classroom drama. When social/pedagogical classroom drama is interpreted in the wider sense, it points to ‘the change of understanding of self and the world’. This drama is based on improvisation which features ‘identification’ and is built upon role which involves historical, social, philosophical meaning. Since role and context have these dimensions, social/pedagogical meaning can be produced. At this point, metaxis effect needs to be encouraged and peer-participants and teacher need to intervene in order to expand meaning. Metaxis effect expands meaning from fiction to reality and the intervention of peer-participants and teacher brings about change of present participants`` cognitive level. Participants produces meaning from within fiction and go to expand meaning from fiction to meaning across fiction and reality. Finally they reaches the change of their present cognitive level. Such expansion of meaning needs to go through the experience of fiction, metaxis effect, the intervention of peer-participants and teacher. Eventually, the expanded meaning is holistic understanding which is cognitive, emotional and affective. These principles are variously embodied in T.I.E(Theatre in Education), forum theatre and process drama. T.I.E and forum theatre embody meanings brought about by metaxis effect due to materials close to reality. Process drama can produce the change of present cognitive level depending on active conversation among participa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25년간 학교에서 연극은 다양화되었다. 오툴(O``Toole)은 다양화된 학교 연극을 목적측면에서 범주화하여 언어적/소통적(linguistic/communicative), 표현적/발달적(expressive/developmental), 사회적/교육적(social/pedagogical), 미적/인지적(aesthetic/cognitive)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사회적/교육적 목적의 학교 연극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본 글에서는 사회적/교육적 학교 연극의 의미가 어떤 원리로 생성되는지 탐구하였다. 사회적/교육적 학교 연극은 광의로 해석했을 때 ‘자신과 세계에 대한 이해의변화’를 목적으로 이뤄지는 연극을 일컫는다. 이는 주로 동일시(identification)의 성격을 띤 즉흥극으로 진행되는데, 역사적, 사회적, 철학적 함의를 띤 역할을 허구세계 구축의 기본바탕으로 삼는다. 역할(role)과 배경(context)을 기본 축으로 삼았을 때 사회적/교육적 의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생성되는 의미를 확장하기 위해서, 메탁시스 효과 발생과 동료와 교사의 개입이 필요하다. 메탁시스 효과는 허구세계에 머무를 수 있는 의미를 현실세계에 까지 확장시키는 효과를 낳으며, 동료와 교사의 개입은 현재의 수준에 머무르기 쉬운 참가자들의 이해수준에 변화를 가져온다. 허구세계 경험, 메탁시스 효과, 동료와 교사의 개입 과정을 거쳐 참가자들이 형성하는 의미는, 기존의 이해수준에서의 허구세계의 의미, 그리고 현실세계에 대한 의미 그리고 최종적으로 기존의 이해수준의 변화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지식은 인지적, 감각적, 정서적 이해를 아우르는 통합적 이해가 된다. 국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사회적/교육적 패러다임 교실 즉흥극의 대표적 실천들인 티아이이(T.I.E), 토론연극, 과정드라마를 허구세계 내 의미 구성, 허구세계와 현실세계에 대한 메탁시스 의미 구성, 현존하는 의미체계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분석해보았다. 현재 티아이이는 현실과 밀착한 소재를 선택하여, 메탁시스 의미 구성을 자연스럽게 일어나도록 한다. 본드에 의해 시도되고 있는 보편적 의미로의 확대라는 삼차적 의미는 국내에서 실천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토론연극은 드라마 세계 내 갈등의 문제 해결을 관객들의 적극적 개입으로 탐구하는 형식을 띠고 있어, 소재는 현실과 더욱더 밀착되어 메탁시스적 의미 구성이 더욱 용이하도록 구축된다. 드라마적 몰입과 비판적 거리두기로 이뤄진 과정드라마는 반추 활동의 상호작용정도에 따라 삼차적 의미 구성까지 가능하다. 학교연극에서 허구세계 즉 ‘극’을 어떻게 구성할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활발했던 반면, 이를 통해 의미는 어떻게 형성되고 어디까지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않았다. 본 글은 학교연극의 사회적/교육적 목적을 실현하는데 있어 의미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탐구함으로써 현재의 모습과 앞으로의 방향을 가늠해보려는 시도 중의 하나이다.
      번역하기

      지난 25년간 학교에서 연극은 다양화되었다. 오툴(O``Toole)은 다양화된 학교 연극을 목적측면에서 범주화하여 언어적/소통적(linguistic/communicative), 표현적/발달적(expressive/developmental), 사회적/교...

      지난 25년간 학교에서 연극은 다양화되었다. 오툴(O``Toole)은 다양화된 학교 연극을 목적측면에서 범주화하여 언어적/소통적(linguistic/communicative), 표현적/발달적(expressive/developmental), 사회적/교육적(social/pedagogical), 미적/인지적(aesthetic/cognitive)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사회적/교육적 목적의 학교 연극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본 글에서는 사회적/교육적 학교 연극의 의미가 어떤 원리로 생성되는지 탐구하였다. 사회적/교육적 학교 연극은 광의로 해석했을 때 ‘자신과 세계에 대한 이해의변화’를 목적으로 이뤄지는 연극을 일컫는다. 이는 주로 동일시(identification)의 성격을 띤 즉흥극으로 진행되는데, 역사적, 사회적, 철학적 함의를 띤 역할을 허구세계 구축의 기본바탕으로 삼는다. 역할(role)과 배경(context)을 기본 축으로 삼았을 때 사회적/교육적 의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생성되는 의미를 확장하기 위해서, 메탁시스 효과 발생과 동료와 교사의 개입이 필요하다. 메탁시스 효과는 허구세계에 머무를 수 있는 의미를 현실세계에 까지 확장시키는 효과를 낳으며, 동료와 교사의 개입은 현재의 수준에 머무르기 쉬운 참가자들의 이해수준에 변화를 가져온다. 허구세계 경험, 메탁시스 효과, 동료와 교사의 개입 과정을 거쳐 참가자들이 형성하는 의미는, 기존의 이해수준에서의 허구세계의 의미, 그리고 현실세계에 대한 의미 그리고 최종적으로 기존의 이해수준의 변화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지식은 인지적, 감각적, 정서적 이해를 아우르는 통합적 이해가 된다. 국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사회적/교육적 패러다임 교실 즉흥극의 대표적 실천들인 티아이이(T.I.E), 토론연극, 과정드라마를 허구세계 내 의미 구성, 허구세계와 현실세계에 대한 메탁시스 의미 구성, 현존하는 의미체계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분석해보았다. 현재 티아이이는 현실과 밀착한 소재를 선택하여, 메탁시스 의미 구성을 자연스럽게 일어나도록 한다. 본드에 의해 시도되고 있는 보편적 의미로의 확대라는 삼차적 의미는 국내에서 실천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토론연극은 드라마 세계 내 갈등의 문제 해결을 관객들의 적극적 개입으로 탐구하는 형식을 띠고 있어, 소재는 현실과 더욱더 밀착되어 메탁시스적 의미 구성이 더욱 용이하도록 구축된다. 드라마적 몰입과 비판적 거리두기로 이뤄진 과정드라마는 반추 활동의 상호작용정도에 따라 삼차적 의미 구성까지 가능하다. 학교연극에서 허구세계 즉 ‘극’을 어떻게 구성할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활발했던 반면, 이를 통해 의미는 어떻게 형성되고 어디까지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않았다. 본 글은 학교연극의 사회적/교육적 목적을 실현하는데 있어 의미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탐구함으로써 현재의 모습과 앞으로의 방향을 가늠해보려는 시도 중의 하나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정현,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 연극 Drama in Education의 이해" 1 (1): 2001

      2 김병주, "학교폭력예방 교육연극 TIE의 가능성과 초등교육에의 시사점" 초등교육연구원 24 (24): 75-96, 2013

      3 "학교 폭력 이제 그만! 무대속 이야기로 찾아가는 해결의 실마리" (182) : 2012

      4 이명주, "추체험을 통한 초등미술감상 지도방안–과정드라마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5 황정현, "총체적 언어교육 방법론으로서의 교육연극의 이해" (15) : 1999

      6 구민정, "자! 세상의 중심엔 네가 있다: 민주시민을 기르는 문예체 교육" (봄) : 2012

      7 "용인문화재단, 브랜드에 반하다, 2013/11/27"

      8 나무를 심는 사람들, "연극으로 놀며 배우며" 나라말 2002

      9 이영숙, "연극놀이 저널 3호" 도서출판 연극, 놀이 그리고 교육 2009

      10 이시원, "스트럭처링 드라마" 달라진책 2011

      1 황정현,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 연극 Drama in Education의 이해" 1 (1): 2001

      2 김병주, "학교폭력예방 교육연극 TIE의 가능성과 초등교육에의 시사점" 초등교육연구원 24 (24): 75-96, 2013

      3 "학교 폭력 이제 그만! 무대속 이야기로 찾아가는 해결의 실마리" (182) : 2012

      4 이명주, "추체험을 통한 초등미술감상 지도방안–과정드라마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5 황정현, "총체적 언어교육 방법론으로서의 교육연극의 이해" (15) : 1999

      6 구민정, "자! 세상의 중심엔 네가 있다: 민주시민을 기르는 문예체 교육" (봄) : 2012

      7 "용인문화재단, 브랜드에 반하다, 2013/11/27"

      8 나무를 심는 사람들, "연극으로 놀며 배우며" 나라말 2002

      9 이영숙, "연극놀이 저널 3호" 도서출판 연극, 놀이 그리고 교육 2009

      10 이시원, "스트럭처링 드라마" 달라진책 2011

      11 김주연, "드라마의 교육 방법적 활용 방안 모색 -과정 드라마를 통한 개념 탐구-" 한국드라마학회 (38) : 81-109, 2012

      12 김주연, "드라마 관습 활동을 통한 사회세계의 이해"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73-192, 2011

      13 김현정, "내목소리가 들리니?! 서로 다른 목소리의 대화" (여름) : 2012

      14 김주연, "구조와 즉흥의 관점으로 바라본 교육 연극 실천들" 한국연극교육학회 17 : 79-105, 2010

      15 소꿉놀이, "교육연극 수업 어떻게 할까" 정인출판사 2008

      16 Bolton, G, "교실연기란 무엇인가" 연극과 인간 251-, 2012

      17 "경기교육청 민주시민 체험학습 20개교 첫 운영, 2013/9/16"

      18 Boal, A, "games for actors and non-actors" routledge 2002

      19 Davis, D, "dward Bond and Dramatic child: Edward Bond's plays for young people" Trentham Books 2005

      20 Gillham, G, "What life is for: Analysis of Dorothy Heathcote's “levels” of explanation" 1 : 1998

      21 Bolton, G, "Towards A Theory Of Drama In Education" Longman 1979

      22 Vygotsky, L, "Thought and Language" MIT Press 1962

      23 Feral, J, "Theatricality: The Specificity of Theatrical Language" 31 (31): 2002

      24 O'Toole, J, "The Process of Drama: Negotiating Art and Meaning" Routledge 1992

      25 Gee, M, "Remaking the Curriculum: Re-engaging young people in secondary school" Trentham Books 2011

      26 O'Conner, P, "Reflection and refraction—The dimpled mirror of process drama" Griffith University 2003

      27 Courtney, R, "R. Drama and Intelligence : A Cognitive Theory" McGill Queen's University Press 1999

      28 Vygotsky, L.S, "Play and its role in the mental development of the child" 5 (5): 2009

      29 Davis, D, "Imagining the Real" A Trentham Books 2014

      30 Dunn, J, "How drama activates learning: contemporary research and practice" Bloomsbury Academic 2013

      31 Taylor, P, "Drama of Cecily O'Neill: the Process Drama of Cecily O'Neill" 2006

      32 Bolton, G, "Drama as Education" Longman 1984

      33 O'Toole, J, "Drama and Curriculum: A Giant at the Door" Springer 2009

      34 Bolton, G, "Changes in Thinking about Drama in Education" 24 (24):

      35 Morgan, N, "Asking Better Questions" Pembroke Publishers 2006

      36 Linds, W, "A journey in Metaxis: Been, being, becoming, imag(in)ing drama facilitation"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01

      37 이수연, "<코리아쉐이크>를 돌아보며: 다문화, TIE와 만나다" (5) : 2012

      38 권덕원, "2013 예술강사 사업관련 교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39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2012 학교 문화예술교육 우수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연구_연극"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40 이원현,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연극"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9-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rama Research -> The Journal of Drama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Drama Society KCI등재후보
      2014-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Drama Association of Korea -> Drama Research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87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