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친환경 패션 주얼리의 조형적 특성-네크리스를 중심으로- =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Fashion Jewelry - With the Focus on Neckla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19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얼리는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의 부족한 감성을 보완하기도 하고 개성을 더하는 역할을 하기에 패션에서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최근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주얼리 산...

      주얼리는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의 부족한 감성을 보완하기도 하고 개성을 더하는 역할을 하기에 패션에서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최근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주얼리 산업도 친환경 소재와 재활용한 주얼리가 등장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친환경 네크리스의 전반적인 특성과 친환경 네크리스 디자인의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고 친환경 네크리스의 조형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인터넷 검색 사이트 구글(google)에서 `에코 주얼리`, `친환경 주얼리`, `에코장신구`, `친환경 장신구`, `에코악세사리`, `친환경 악세사리`의 키워드 검색을 통해 친환경 주얼리 관련 웹사이트 32개를 중심으로 친환경 네크리스 사진을 수집하였다. 대표적으로 189개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내용분석과 통계분석(SPAW Statistics 18) 을 사용하였다.
      첫째, 친환경 네크리스의 전반적인 특성은 길이는 Matinee, 라인은 복합라인, Y-라인, 색채는 유채색 복합, 소재는 복합, 재활용플라스틱과 나무, 조합은 이질, 동일조합, 이미지는 다양한 이미지의 복합이 많이 나타났다. 둘째, 친환경 네크리스 디자인의 유형은 재활용, 자연적, 토속적, 복합적, 다기능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에서 재활용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친환경 네크리스 디자인은 재활용과 자연적 소재와 모티브의 활용, 컬러조합이 중요하다. 셋째, 친환경 네크리스의 조형성은 조화성, 유일성, 영속성, 향상성, 재현성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contemporary fashion, jewelry takes so much importance that it sets the trend. They carry a sensible message that expresses esthetic desire and originality. In addition, more recently, with growing interest in health and in the environment, the jew...

      In contemporary fashion, jewelry takes so much importance that it sets the trend. They carry a sensible message that expresses esthetic desire and originality. In addition, more recently, with growing interest in health and in the environment, the jewelry industry is being transformed as more and more jewelry is made of eco-friendly or recycled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esign qualities as well as types of eco-friendly Necklace an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 qualities. For data collection, 32 web sites* related to eco-friendly jewelry as found by looking up keywords such as eco jewelry, eco-friendly jewelry, eco ornaments, eco-friendly ornaments, eco accessory, and eco-friendly accessory, as well as related images on an internet search site were used as the source for 189 necklace photos, which were analyzed following collection. As for the analysis method, SPSS statistical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Necklace were Matinee, Y-line, chromatic composition, material composition, recycled plastic and wood and a variety of images. Second, The types of eco-friendly Necklace design were recycling, natural, folk, complex, multi-function. Among those types was most frequently observed eco-friendly necklace design, recycling and natural materials and inspired use of color combinations are the most important. Thir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Necklace were harmony, uniqueness, permanence, improvement, and reproduci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진, "폐원단을 이용한 친환경 패션디자인" 복식문화학회 17 (17): 225-237, 2009

      2 이경희, "패션 디자인 플러스 발상" 교문사 2008

      3 하승연, "친환경패션에 나타난 가치와 디자인 요소" 한양대학교 2009

      4 최우현, "최우현의 보석이야기" 책사람 2004

      5 김새봄, "재활용 패션의 미적 특성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0 (10): 436-444, 2008

      6 이상직, "자연주의 양식을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계명대학교 2000

      7 남미경, "웰빙친화형 제품디자인 트렌드 및 산업동향 분석 -주얼리제품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5 (15): 72-80, 2009

      8 신용직, "원의 형태를 이용한 목걸이 디자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2000

      9 남화경, "아르누보 장신구의 조형적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5 (15): 110-121, 2009

      10 권진영, "식물 이미지로 표현된 목걸이 연구: 마디(Unit)의 연결방식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1999

      1 김은진, "폐원단을 이용한 친환경 패션디자인" 복식문화학회 17 (17): 225-237, 2009

      2 이경희, "패션 디자인 플러스 발상" 교문사 2008

      3 하승연, "친환경패션에 나타난 가치와 디자인 요소" 한양대학교 2009

      4 최우현, "최우현의 보석이야기" 책사람 2004

      5 김새봄, "재활용 패션의 미적 특성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0 (10): 436-444, 2008

      6 이상직, "자연주의 양식을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계명대학교 2000

      7 남미경, "웰빙친화형 제품디자인 트렌드 및 산업동향 분석 -주얼리제품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5 (15): 72-80, 2009

      8 신용직, "원의 형태를 이용한 목걸이 디자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2000

      9 남화경, "아르누보 장신구의 조형적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5 (15): 110-121, 2009

      10 권진영, "식물 이미지로 표현된 목걸이 연구: 마디(Unit)의 연결방식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1999

      11 서현수, "시스템․카오스 관점에 의한 에코 패션디자인 연구" 서울대학교 2005

      12 정흥숙, "서양복식문화사" 교문사 2009

      13 박지영, "기하학적 조형요소를 활용한 장신구 제작연구:원형과 사각형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2005

      14 김은정, "금속 장신구에 표현된 아르누보양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221-231, 2008

      15 이형규, "고대 수메르, 이집트, 미논, 미케네, 그리스의 목걸이에 관한 연구" 6 (6): 23-30, 2003

      16 곽태혁, "감성 요인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연구: 주얼리 브랜드를 중심으로" 중앙 대학교 2010

      17 김현숙, "陶製 목걸이 디자인에 관한 硏究" 단국대학교 1995

      18 "www.yokoizawa.com"

      19 "www.w-market.co.kr"

      20 "www.vianativa.com"

      21 "www.thierryvendome.com"

      22 "www.tanvikant.co.uk"

      23 "www.stylehive.com"

      24 "www.pueblito.ca"

      25 "www.moonrisejewelry.com"

      26 "www.molliedash.com"

      27 "www.modishblog.com"

      28 "www.kararossny.com"

      29 "www.justind.co.uk"

      30 "www.jewelrybloguncovered.com"

      31 "www.instylekrea.com"

      32 "www.inhabitat.com"

      33 "www.greemfeet.com"

      34 "www.greatgreengoods.com"

      35 "www.forgedfiber.net"

      36 "www.fiveaccessories.com"

      37 "www.esprit-mystique.com"

      38 "www.ecouterre.com"

      39 "www.ecofriend.org"

      40 "www.ecoeco.blogspot.co"

      41 "www.ecoartisticproducts.com"

      42 "www.designflux.co.kr"

      43 "www.cariareiter.com"

      44 "www.blog.designsquish.com"

      45 "www.blackberrywinter.co.uk"

      46 "www.beadinggem.com"

      47 "www.amazoniajewels.com"

      48 "www.alyssazukas.com"

      49 "www.alixrose.co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