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한국산 발아 벼 추출물의 여러 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2636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산 벼 6종(일품벼, 백진주벼, 설갱벼, 고아미2호, 거대배아벼 및 흑광벼)의 발아 및 무발아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암세포주 증식 억제효과를 위암세포주(MKN45), 대장암세포(HCT116) 및 폐암...

      한국산 벼 6종(일품벼, 백진주벼, 설갱벼, 고아미2호, 거대배아벼 및 흑광벼)의 발아 및 무발아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암세포주 증식 억제효과를 위암세포주(MKN45), 대장암세포(HCT116) 및 폐암세포(NCI-H460)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일부 품종의 경우 발아 후에 1 ㎎/mL 농도에서 암세포증식 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 대장암세포주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가 가장 좋았던 품종은 흑광벼로 발아 에탄올 추출물 18.89%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폐암세포주에 대해서는 일품, 고아미2호, 백진주 및 설갱벼 발아 에탄올 추출물은 5~10%의 생존율을 보였다. 위암세포에 대해서는 일품, 고아미2호, 백진주 및 설갱벼에 대하여 5~10%의 생존율을 보여 대조군에 비해 암세포주 증식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벼를 발아시킬 경우 항암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발아 후 벼의 성분분석 및 추후 항암실험의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항암활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수행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70% ethanol extracts of various germinated-rough rice cultivars: (‘Ilpum’, ‘Goami2’, ‘Keunnun’, ‘Sulgaeng’, ‘Baegjinju’, and ‘Heugkwang’) on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70% ethanol extracts of various germinated-rough rice cultivars: (‘Ilpum’, ‘Goami2’, ‘Keunnun’, ‘Sulgaeng’, ‘Baegjinju’, and ‘Heugkwang’) on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MKN-45, HCT116 and NCI-H460).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rough rice on different cancer cell lines were higher in after germination than before germination. The viability of HCT-116 colon cancer cells was lowest at 18.89% in after germination of ‘Heugkwang’ at 1.0 ㎎/mL. The cell viability of MKN-45lung cancer cells and MKN-45 stomach cancer cells were in the range of 5~10% in after germination of ‘Ilpum’, ‘Goami2’, ‘Baegjinju’, and ‘Sulgaeng’, and ‘Heugkwang’ at 1.0 m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rminated rough rice might have a potential preventive effect on human cancer cel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흠숙, "현미의 발아정도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389-394, 2006

      2 이동진, "한국 재래종 벼 종실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8 (18): 2006

      3 곽태순, "벼 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등숙 및 이화학적 특성의 품종변이"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6 (16): 130-135, 2004

      4 강미영, "발아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6 (36): 624-630, 2004

      5 Kim IS,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germination" 17 : 371-376, 1985

      6 Craig WJ, "Phytochemicals: guardians of our health" 97 : S119-S204, 1997

      7 Tian S,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rice" 1063 : 121-128, 2005

      8 Ikeda K, "Effect on buck-wheat protein quality of seed germination and changes in trypsin inhibitor content" 61 : 236-240, 1984

      9 Colmenarse DRAS,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s of amaranth grain" 67 : 519-523, 1990

      10 Hsu D, "Effect of germination on nutritive value and baking properties of dry peas, lentils and faba beans" 45 : 87-91, 1980

      1 이흠숙, "현미의 발아정도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389-394, 2006

      2 이동진, "한국 재래종 벼 종실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8 (18): 2006

      3 곽태순, "벼 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등숙 및 이화학적 특성의 품종변이"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6 (16): 130-135, 2004

      4 강미영, "발아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6 (36): 624-630, 2004

      5 Kim IS,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germination" 17 : 371-376, 1985

      6 Craig WJ, "Phytochemicals: guardians of our health" 97 : S119-S204, 1997

      7 Tian S,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rice" 1063 : 121-128, 2005

      8 Ikeda K, "Effect on buck-wheat protein quality of seed germination and changes in trypsin inhibitor content" 61 : 236-240, 1984

      9 Colmenarse DRAS,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s of amaranth grain" 67 : 519-523, 1990

      10 Hsu D, "Effect of germination on nutritive value and baking properties of dry peas, lentils and faba beans" 45 : 87-91, 1980

      11 Kim LS,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46 : 221-228, 2001

      12 Kuno T, "Chemoprevention of mouse urinary bladder carcinogenesis by fermented brown rice and rice bran" 15 : 533-538, 2006

      13 Heon Sang Jeong,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한국식품과학회 16 (16): 1006-1010, 2007

      14 Lee MH,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7 : 267-273, 1994

      15 Choi KS,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bean" 17 : 271-275, 1985

      16 Cho BM, "Changes in amino acid and fatty acids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rapeseed" 45 : 87-91, 1985

      17 Manson MM, "Blocking and suppressing mechanism of chemoprevention by dietary constituents" 112 : 499-505, 2000

      18 Adom KK, "Antioxidant activity of grains" 50 : 6182-6187, 2002

      19 Hong MY, "Anticancer effects of Chinese red yeast rice versus monacolin K alone on colon cancer cells" 19 : 448-458, 2008

      20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public of Korea, "Agricultural and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 Agricultural and Forestry Major Statistics, Stock Farm Product Annual per Consumption Trend" 2005

      21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public of Korea, "Agricultural and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 Agricultural and Forestry Major Statistics" 2005

      22 Ishiyama M, "A combined assay of cell viabil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with a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neutral red and crystal violet" 19 : 1518-1520,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