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러닝을 통한 인적자원개발 비전과 전략 = Vision and strategies of HRD by e-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166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교육 분야에서 e-러닝의 확산이 두드러졌지만 도입 초기 e-러닝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편익이 그 가능성만으로 지나치게 확대 포장되어왔음은 부인할 수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교육 분야에서 e-러닝의 확산이 두드러졌지만 도입 초기 e-러닝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편익이 그 가능성만으로 지나치게 확대 포장되어왔음은 부인할 수 없다. 또한 그동안 알게 모르게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융합은 교육현장을 Technology-driven policy에 내몰았으며, 패러다임 변화를 유행처럼 노래했지만 변한 것은 교육이 아니라 기술이었다. 오늘날 한국에서 회자되는 e-러닝을 통한 국가인적자원개발은 HRD와 e-러닝의 진지한 만남보다는 초.중등학교 교육정보화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교육정보화 담론의 확대 재생산이며, 시대의 화두인 인적자원개발과 애써 결부시켜 e-러닝의 몸집을 불리기 위한 규모의 경제 실현 논리로 해석될 여지를 남기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e-러닝은 초기의 거품기를 지나 이상과 현실을 조율하는 조정기에 있으며, 새로운 가치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국면에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차분하게 e-러닝과 인적자원개발의 개념부터 되짚어보고, e-러닝과 인적자원개발의 관계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새로운 인적자원개발의 비전과 전략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e-러닝 담론의 형성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e-러닝 산업의 문제점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e-러닝을 통한 인적자원개발의 비전과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e-learning became proliferate in education nowadays. But it is true that various benefits from e-learning were made a big deal just out of its possibility when it was initially introduced. 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e-learning became proliferate in education nowadays. But it is true that various benefits from e-learning were made a big deal just out of its possibility when it was initially introduced.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IT have forced classrooms to adopt technology-driven policy so far at odd moments. This paradigm shift were prevailed all around, but it was about technology and not about education. NHRD by e-learning, which is popular in Korea these days, results in mere extension and reproduction of discourse about educational informatization in the same context of educational informatiz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rather than meaningful integration of HRD and e-learning. It is also likely to be regarded as a rationale for Economics of scale that is intended to enlarge e-learning by forcibly relating it to the issue of our times, HRD. Currently, e-learning in Korea is seeking for a compromise between its ideal and reality after the burst of its bubble and is about to enter upon a phase of revitalized market for creating new value. At this time we need to review a general concept of e-learning and HRD back again, and establish vision and strategies for new HRD by seeking the relation between e-learning and HRD.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vision and strategies of HRD by e-learning through reviewing the development progress of discourse about e-learning critically and making an analysis of problems within e-learning indus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e-러닝 원년 선포와 한 여름 밤의 꿈
      • II. 우리나라 e-러닝 담론의 형성과정
      • III. e-러닝을 통한 인적자원개발 비전과 전략을 찾아서
      • I. e-러닝 원년 선포와 한 여름 밤의 꿈
      • II. 우리나라 e-러닝 담론의 형성과정
      • III. e-러닝을 통한 인적자원개발 비전과 전략을 찾아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