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류를 이용한 도서의 수출 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exporting Korean books to east asian countries by Hanryu(the Korean Wa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795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류와 도서수출 방안에 대한 관계를 기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첫째, 한류에 따른 도서의 수출 ...

      이 논문은 한류와 도서수출 방안에 대한 관계를 기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첫째, 한류에 따른 도서의 수출 현황은 어떠한가?
      한국도서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한류 열풍이 불고 있는 동아시아 국가인 중국, 일본, 대만등의 동아시아 국가이다. 동아시아 지역의 도서 수출 특징을 분석해 보면 한국 드라마, 영화 등의 원작소설의 저작권 수출이 주류를 이룬다.
      국가별로 분석해 해보면 다음과 같다. 200년부터 2004년 까지 5년 동안 분석해본 결과출판 저작권 건수를 가장 많이 수출 한 국가는 대만(41.4%), 중국(24.4%), 일본(18.8%)의 순서를 보이고 있다.
      도서수출의 장르는 문학, 아동도서, 만화의 순서로 나타났다. 문학류가 제일 많이 나타난 이유는 한류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러한 수출 경향은 국내시장에서 많이 판매되는 도서와 유사한 시장동향을 보인다.
      연구문제2: 도서수출을 위한 대응 전략은 무엇인가?
      첫째, 한류열풍이 불고 있는 동아시아 국가에 출판작권 수출을 위해서 집중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한국 도서에 대한 저작권 수출은 동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이다.
      둘째, 훌륭한 번역가를 양성하여야 한다. 그래서 원작과 번역판의 차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셋째, 한국에서 성공한 베스트셀러를 우선적으로 수출하여야 한다.
      넷째, 한류열풍을 도서수출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현지 사장에 대해서 과학적인 조사와 마케팅 기법을 활용하여야 한다. 중국, 일본, 대만이 처한 정치, 경제, 문화적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개별국가의 시장상황에 대한 정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다양한 매체를 가진 거대 복합 기업이 선진마케팅을 동원하여 해외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전문에이전시를 양성하여야 한다.
      한국의 도서가 수출되기 위해서는 현지의 대중적 수요가 조재해야 한다. 드라마, 영화가 현지에서 상영되었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관심이 생기고 한국에 대한 도서를 수출할 수 있었다. 한국문화산업 전반에 대한 경쟁력 향상이 한국출판저작물 수출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look for how to export Korean books to other countries. Hanryu is the wave that Korean popular culture is loved by people , mostly east asians. Two question are suggested to look for the answer. Question: What is the relation Hanr...

      This study is to look for how to export Korean books to other countries. Hanryu is the wave that Korean popular culture is loved by people , mostly east asians.
      Two question are suggested to look for the answer.
      Question: What is the relation Hanryu and exporting books?
      Korean books mostly(copy right of publication) exported to China, Japan, Taiwan in which Korean popular dramas and movies are watched because they want to read the story of Korean dramas and movies.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2000 to 20004, Taiwan had imported Korean books the most in the world . China the second and Japan the third.
      The most genre of exported books is literature and the next is children books and cartoons.
      Hanryu influencd that the literature genre of books had been exported the most. This tendency is similar with domestic book market.
      Question 2: What is the way to export books much?
      First, much investigation and interest is needed to the east asian countries in which the Korean wave is flourished because the exporting of Korean copy right of publication has been exported to east asian countries.
      Second, Much Good translator is educated to export books much because good interpretation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ransition and original works.
      Third, the best seller in Korean book store should be to exported.
      Fourth, Scientific survey and elaborate marketing skill is needed to use Hanryu because the Korean Wave(Hanryu) is different from one another.
      Fifth, Big and global media company has ruled over the world, therefore Korean publishing company also needs tod be big to export books effectively.
      Sixth, Professional dealing exporting and importing books have to be developed in Korea.
      People in world want to know about Korea, to travel Korea. to read Korean original works of Korean drams. That is made by the Korean Wave(Hanryu). It depends on the competitive power of Korean popular culture to export Korean books to foreign count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한류의 배경
      • Ⅲ. 출판저작권수출 현황
      • Ⅴ. 출판저작권 수출방안
      • 초록
      • Ⅰ. 서론
      • Ⅱ. 한류의 배경
      • Ⅲ. 출판저작권수출 현황
      • Ⅴ. 출판저작권 수출방안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중일 문화콘텐츠산업 경쟁력 비교분석" 문화관광부 2004

      2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3 "한류 관광조사 실태 보고서" 한국 관광공사 2003

      4 "한국출판의 수출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2004

      5 "한국출판의 동북아 시장 진출 전략 연구" 통 (통): 2004

      6 "한국출판물의 해외소개현황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43) : 2001

      7 "한국과 일본의 도서수출에 관한 비교 연구" 2001

      8 "출판 저작권 수출 진흥방안에 관한 연구" 20002년8월

      9 "중국의 한류현상과 그 수용에 관한 연구" 2002

      10 "중국의 한국서적 출판열기"

      1 "한중일 문화콘텐츠산업 경쟁력 비교분석" 문화관광부 2004

      2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3 "한류 관광조사 실태 보고서" 한국 관광공사 2003

      4 "한국출판의 수출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2004

      5 "한국출판의 동북아 시장 진출 전략 연구" 통 (통): 2004

      6 "한국출판물의 해외소개현황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43) : 2001

      7 "한국과 일본의 도서수출에 관한 비교 연구" 2001

      8 "출판 저작권 수출 진흥방안에 관한 연구" 20002년8월

      9 "중국의 한류현상과 그 수용에 관한 연구" 2002

      10 "중국의 한국서적 출판열기"

      11 "중국 한류현상의 사회문화적 의미" 2002

      12 "동북아 문화콘텐츠 산업현황" 한국문화콘텐츠 진흥원 2003

      13 "도서와 출판저작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통 (통): 2003

      14 "도서 및 저작권의 수출입에 관한 연구" 1998

      15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한울 2004

      16 김창남, "대중문화와 문화실천" 한울 1995

      17 "대중문화와 문화산업론" 나남 출판사 1998

      18 "국내 도서전 수출을 통한 저작권 수출증대에 관한 연구" 2005

      19 "‘한류’와 한중문화교류"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 연구센터 종합연구소 2001

      20 "<<신동아 2005년 4월호 통권 547호>>" 2005

      21 "2003년 문화산업 백서" 문화관광부 2004

      22 "2002년 문화산업 백서" 문화관광부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1 0.7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